한국어
알려주세요 배낚시

2008.12.21(무쉬)
신진도 B호출조 .주의보여파인지 파도드샘.멀미환자속출.
두시간반정도항해후 첫입수.물색혼탁.  일미터침선 거의 깜팽이수준
주로 5미터에서 1미터 침선공략
2단채비에 미끼 오징어채.미꾸라지.(추운날씨에 경색심함)
오후들어 약간 바람잠잠해짐. 문제는 여기서부터 어부지리 싸이트의 겨울침선공략
법대로 대다수 조사들이 바닥찍고 반바퀴감고 올올히대기.. 거의입질못받음.
반대로 1미터-5미터침선에서 계속해서 개우럭히트하길래 자존심버리고 문의.
어라? 1미터 침선에서 2미터 띄우고 2미터에선 3미터띄우고...
도데체가 이추운계절에...그것도 쌍걸이.쓰리걸이..
어떤상황이었을까요?
아직도 풀지못하는 수수께끼입니다
참고로 바닥에선 아주간사스러운입질..좀더기다리면 그걸로끝..약간 들어올려도
그걸로끝..(미끼를작게도해보고.자주갈아줘도보고)
조언부탁드립니다
Comment '4'
  • ?
    강두석 2008.12.22 19:11
    좁은 소견으로 몇줄 남기고 갑니다. 우레기님께서는 선장님의 맨트가 자로 잰듯 정확한 침선높이라고 생각하진 않으실테고요, 또한 파도에 의한 높이(깊이) 가름에도 조금은 영향이 있을테고요, 제가 생각하기에 우럭들의 유영층 형성이 침선 높이보다 위에서 형성되지 않았나? 생각되는 군요. 전날 뿐 아니라 계속되는 높은 파도에 바닷속은 뒤집어지고, 동면에 대비하고자 주린배를 채우려 덤비는 우럭이들이 바닥보다는 상층에 먹이활동에 좋은 조견이 형성되어 있지 않았나 생각되는군요
  • profile
    민평기 2008.12.22 23:31
    우럭이 아무리 군집성 바닥고기라 하더라도
    상황에 따라 몇 미터 정도는 유영층을 일시적으로 바꿔 생활하지 않을까요.

    강두석님 말씀대로
    어떤 연유로 인해 몰려있는 층이 상부로 이동하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을 해 봅니다.

    일시적으로 고기의 유영층이 변하는 제일 큰 이유는
    수온의 불안정과 먹잇고기의 이동(갑작스런 출현)이라고 전문가들이 얘기하더군요.
  • profile
    이어도 2008.12.23 09:22
    저도 그날 그곳은 아니지만 다른곳의 어초낚시를 다녀왔는데요..
    어초의 상부를 찍고 0.5~1 미터를 들고 있었는데 3단채비의 중간채비에
    쓸만한 놈이 물어주더군요..
    이번에 들지 않고 바닥에 붙여주니 제일 상단채비에 입질이 있었습니다.
    결국은 그날 그 포인트에서는 어초 상부에서 1~2미터권에 고기가 있었다는
    이야기가 됩니다.
    우레기님께서는 보편적인 상황을 그대로 이해하신것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강두석님이나 어부지리님 말씀데로, 여러가지 변수로 인하여 고기의 유영층은
    수시로, 매일, 가는곳마다, 시간마다, 물때마다 틀리다는것으로 이해하시면
    좋을 듯 합니다..ㅎㅎㅎ..
    그렇다고 엄청난 차이를 보이는 정도는 아니고 몇미터 사이이므로 그때마다
    조정을 해주시는 것이 가장 합당한 대처법이 아닐까합니다..
    그런데 고기 유영층을 어떻게 아느냐면..저는 ..주변에 고기 올리신분께
    여쭤봅니다..어디서 얼마나 띄워서 입질을 받으셨는지..그리고 그분 채비의
    어느 바늘에서 고기가 올라오는지를 보고 유영층을 나름대로 계산합니다.
    뭐 어쩌다가 그 수심층을 알려주지 않는 밴댕이잡은(?) 조사님도 계시지만
    대부분 자세히 알려주십니다..수심층이 얼마인지 얼마에서 입질 받았는지
    여쭤보시는거는 자존심이 상하실일이 전혀 아니거든요..^.^;
    어복충만하시고 즐낚하세요..
  • ?
    감성킬러 2008.12.23 10:38
    이어도님께 1표.
    선상낚시를 한지 얼마 안되지만 비슷한 경험을 했습니다.
    뱁새가 황새 쫓아가다가 가랭이가 찢어진다지만,
    선배가 쓰는 5단채비가 그렇게 멋져보이더군요.
    해서 저도 5단채비를 자작해서 낚시를 하다가
    상단 4단,5단에만 입질이 들어오는 경험을 여러번 했습니다.
    그때 배가 그 포인트로 재진입한다면 4단,5단을 바닥 기준점으로 잡고,
    채비를 1.5~2m 가량 띄우니까 남들보다 입질빈도가 높더군요.
    옆 조사님들과 채비엉킴만 기술적으로 극복하면,
    다단채비의 장점이 이런데 있구나(고기의 입질층 파악이 용이함.) 하고
    느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날짜 조회 수
519 [낚시일반] 가자미 낚시 적기는---- 1 2009.01.29 4019
518 [낚시일반] 새해 에는 달라져야 겠지요? 14 2009.01.03 5832
517 [낚시일반] 동해 대구낚시 3 2009.01.01 6839
516 [낚시일반] Why? 수직(Vertical) 지깅 2 2008.12.31 3792
515 [낚시일반] 걍 참고만 하세요 file 2008.12.28 3665
514 [낚시일반] 2008년 '선상낚시' 10대 뉴스를 정리해 보고자 합니다. 9 2008.12.24 4339
513 [낚시일반] 어부지리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3 2008.12.24 3660
» [낚시일반] 선배 조사님들의 고귀한의견을 바람니다 4 2008.12.22 3675
511 [낚시일반] 목포 전문 침선배가 있나요? 11 2008.12.17 4425
510 [낚시일반] 물때 설명을 부탁 드립니다 4 2008.12.15 5095
509 [낚시일반] 요즘 갈치가~~~ 8 2008.12.13 5557
508 [낚시일반] 불친절하다못해 무례하기까지~~~ 6 2008.12.10 5325
507 [낚시일반] 소청도 출조에 관하여 2 2008.12.08 4366
506 [낚시일반] <b>┏2008┓</b>갈치낚시 초보用 1 1 file 2008.11.29 5401
505 [낚시일반] 타르덩어리를 삼켜버린 우럭이의 운명 3 2008.11.24 4940
504 [낚시일반] ☞ 가을은 무거운 쿨러와 보너스로 개우럭 애인을 만날 수 있는 낚시인의 계절 2006.09.22 14796
503 [낚시일반] ☞ 낚시는 과학이다.(겨울 배낚시) 2006.10.25 18427
502 [낚시일반] ☞ 여름철 여밭낚시 채비와 방법 2006.06.03 19573
501 [낚시일반] ☞ 우럭 쌍걸이는 어떻게 하면 잘 할 수 있을까? 2006.06.10 19451
500 [낚시일반] 낚시용바지 1 2008.11.21 527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 74 Next
/ 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