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알려주세요 배낚시

[낚시일반]
2013.03.25 16:36

영등철의 우럭낚시… 바닥층???

profile
조회 수 7712 댓글 6




*  <어부지리>의 고수님들께서는 제 글을 패~쓰 해주시구요.
우럭낚시를 처음 시작하시려는 분들은 그저 심심풀이 삼아  가볍게 읽어주시길 바랍니다.^^*

오늘이 3월 25일이니까 음력으로는 2월 14일…
날짜로 계산하면 영등철의 끝을 하루만 남겨두고 있어 반가운 마음이 앞섭니다.
<국립해양조사원>이 제공하는 해양관측 정보에 따르면 영등철은 연중 최저로 떨어졌던 수온이 반등을 시도하는 시기입니다.
양력으로 2월 중순 경, 최저로 떨어졌던 수온이 3월 중순이 되면 약 1℃ 가량 상승함을 볼 수 있는데, 실제로 어초, 침선의 우럭 활성도가 꿈틀대며 살아나는 시기이기도 합니다.

지난 주 군산에서 출항하는 배를 타고 침선낚시를 다녀왔습니다.
수심 70~80m, 침선 높이는 10~13m, 로드는 침선을 타고 넘거나 고기를 걸었을 때 높이를 쉽게 확보할 수 있는 2.3m의 길이를 선택했습니다.
채비는 단차 120cm, 빙글뱅글 구슬을 이용해 채비 꼬임이 거의 없는 자작 2단 채비, 미끼는 오징어채만 사용해 보기로 했습니다.

우럭낚시를 웬만큼 해보신 분이라면 자작 채비를 만드는 방법은 누구나 알고 계시겠지만,  저는 요즘 빙글뱅글 구슬의 매력에 푹 빠져 있습니다.  채비 꼬임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 구슬이 대중 앞에 처음 모습을 보인 건 열기 채비부터 였습니다.
10단 많게는 20단까지의 복잡한(?) 열기 채비가 꼬이기 시작해 가짓줄을 정리하는 데 많은 시간을 허비하게 되면 낚시고 뭐고 그 귀찮음에 넌덜머리가 나겠지만, 빙글뱅글 구슬의 출현은 이런 불편함을 한 방에 정리해버린 해결사였습니다.
이 구슬이 꼬임에 강한 이유는 회전 방식의 차이에서 비롯됩니다.
지금까지의 우럭 채비는 가짓줄을 도래에 묶어 썼기 때문에 도래의 회전력에 따라 채비 꼬임의 정도가 달라지는 경향이 있었습니다.
회전력이 좋은 도래일수록 꼬임은 줄어들기 마련인데, 이 구슬은 도래의 회전력에 의존하지 않고 구멍을 관통한 가짓줄이 돌기 때문에 꼬임의 빈도를 확연히 줄여내게 됩니다.
이렇게 꼬임에 강하다는 장점이 있는 빙글뱅글 구슬이지만 물론 단점도 있습니다.
가짓줄을 넣는 구멍이 작기 때문에 눈이 나쁘신 분들은 꼴랑대는 뱃전에서 구멍을 찾는데 시간이 제법 걸리게 됩니다.  최근에 출시된 신형 구슬은 이런 불편함도 개선되었다고 하는데 아직 실물을 보진 못했습니다.

낚시가 시작되고 선장님은 수심과 침선의 최고 높이를 멘트로 알려주십니다.

“수심은 73m 나오고요.  침선 높이는 10m입니다.  바닥 찍고 약 8m 지점을 노려보시기 바랍니다.”

옆자리에서 낚시를 하시던 몽돌님은 6m 정도를 들고 계시다가 천천히 감아올리던 그 순간 입질을 받아내셨고, 잠시 뜸을 들이나 싶더니 의도한 3걸이를 작렬시키십니다.  4짜가 훌쩍 넘는 씨알…,  왕부럽~~^^*
바닥을 치고 있던 차가운 수온이었지만, 우럭의 생태는 그리 쉽게 바뀌는 게 아님을 확인하는 순간이기도 합니다.

우럭낚시 뿐만 아니라 갈치, 열기낚시 또한 ‘잡는 즐거움’을 만끽하기 위해서는 ‘물고기가 있는 곳(유영층)’에 ‘내 미끼 가져다주기’가 가장 중요합니다.
서두에서 채비에 관한 사설이 길어졌습니다만, 채비나 미끼에 대한 관심을 크게 가지면 크게 가질수록 포인트 특성에 대한 집중력은 흐트러지기 쉽습니다.
선상 우럭낚시는 밑밥 등으로 물고기를 유인해서 잡아내는 장르가 아닙니다.  고기가 있는 장소에 미끼가 들어가야 입질을 받아낼 수 있습니다.
고기가 있는 장소로 미끼를 보내주는 첫 번째 역할은 선장님들의 몫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계절과 물때에 맞춰 좋은 포인트를 선정하고, 바람과 조류의 영향을 감안해 고기를 잡을 수 있는 자리로 배를 밀어 넣게 됩니다.
배의 ‘운용술’이 뛰어난 선장님일수록 고기를 잡아내는 적중률은 당연히 높아지게 되는데, 그렇다고 해서 같은 배를 탄 모든 사람들이 고기를 잡아내는 건 아닙니다.
그 이유의 첫 번째는 ‘포인트에 닿는 기회‘의 횟수가 될 것 같습니다.  포인트에 닿는 횟수가 많을수록 고기를 잡을 수 있는 확률은 높아집니다.
속된 말로 ‘우럭낚시는 선장 놀음’이라는 푸념 아닌 푸념을 심심찮게 들을 수 있는 이유도 이런 이유 때문이지만, 꼭 그렇지만은 않은 경우도 있습니다.
포인트에 들어가지 않았는데도 고기를 잡아내는 신의 경지에 이른 낚시솜씨를 가진 사람이야 없겠지만, 포인트에 닿았는데도 고기를 ‘못먹는’ 일은 쉽게 볼 수 있습니다.
저는 그 이유를 채비나 미끼가 잘못되어서(?)가 아니라  잘못 맞춘 ‘높이’에 있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고기가 바닥권에 있는데 미끼는 허공을 가르고 있다거나, 반대로 고기가 떠있는데 미끼가 바닥을 기게 되면 입질의 기회는 점점 멀어지기 마련입니다.

영등철의 끝자락, 수온이 바닥을 치는 상황에서도 우럭은 한 여름과 마찬가지로 여전히 떠서 입질을 하고 있었습니다.
봄이 옴을  시샘하는 겨울의 차가운 바람이 여전히 기승을 부리는 요즘이지만, 바다 속의 우럭은 굳건히 자기 ‘높이’를 지키고 있네요.
‘높이’ 잘 맞추셔서 늘 즐낚 이어가시길 빕니다~^^*




Who's 감성킬러

profile
Comment '6'
  • ?
    퍼시픽 2013.03.25 18:27
    댓글이 없네요, 1빠~~ㅋㅋ
    잘 봤습니다, 욕심을 버리면 되나요?
  • profile
    감성킬러 2013.03.25 19:52
    퍼시픽님~ 오랜만에 보는 1빠놀이입니다.ㅋㅋ
    욕심도 인간의 감정 중 한 부분이라 굳이 버릴 필요가 있나 하는 생각을 하고 있습니다. 부모님이 회를 좋아하셔서, 또는 예쁜 자녀가 회를 잘 먹어서...라는 좋은(?) 욕심의 경우이긴 하지만요.ㅎ
    그런 얘기라기 보다는 예전의 <알.배> 코너는 낚시기법이나 재미있는 조행기 등 순수 과학적인 측면이 강하다는 느낌이었는데, 지금도 재미있는 조행기는 여전히 많긴 하지만 요즘의 <알.배> 코너는 어쩐지 사회 과학으로 분류해야 맞을 것 같다는, 만구 혼자만의 생각을 하고 있습니다. 그게 나쁘다는 뜻은 아니구요. 제 개인적으로는 별로 재미를 못 느끼겠네요.ㅎ
    1빠 댓글 감사 만땅입니다.^^*
  • profile
    이어도(강인병) 2013.03.26 08:50
    오랫만에 감킬님 글을 보네요..(어부지리를 통해서 말입니다)
    영등철에 맞춘 낚시 상식을 전해주고 계시네요..
    그런데요..
    이거 태클은 절대 아닙니다만..
    10미터 침선에서 6미터 들고 있다가 살살 감아서 쓰리걸이 했으면
    고기가 떠있는 건가요..바닥에 있는 건가요??..^.^;
    중간에 있는건가??...ㅋㅋㅋ
    암튼 소중한 정보 감사합니다.
    조만간 확인하러 나가보겠습니다..ㅎㅎㅎ..
    마지막으로 조황사진 찍을때 습관적으로 앞으로 내밀지 마세요..
    앞으로 뻗을땐 손가락을 숨기셔야죠..ㅎㅎㅎ...=3=3=3=3

  • profile
    감성킬러 2013.03.26 10:09
    바닥은 아니겠죠? 침선의 구조에 따라 포인트마다 고기가 나오는 유영층은 늘 '정해져 있다'는 느낌일 때가 많습니다. 바닥을 긁어도, 띄워도 입질이 없다....는 얘기를 자주 듣는데, 이럴 경우는 뭔가가 안맞는 날이거나 고기가 아직 안들어왔을 때 라고 보는 게 맞는 것 같구요.
    고기가 이미 들어와 있는 시기라면 그 유영층은 쉽게 바뀌지 않는다는 말씀을 드리고 싶었습니다.
    가만.... 그러고 보니 이어도님에게 제가 낚였네요. 우럭낚시 뿐 아니라 다방면의 고수이신 이어도님을 마발이로 생각했으니...나 원... 아무래도 제 감이 많이 떨어졌나 봅니다.ㅠㅠ^^::

    조황사진을 찍을 때 앞으로 내미는 습관은 선상낚시를 처음 배울 때부터 들었던 '가르침(?)'이라 고칠 생각이 별로 없습니다.
    "자~~ 고기 들고 쭈~~욱 내미세요!!!" ㅋㅋ
    손가락을 감안해도 제법 먹을만한 씨알 아닌가요? 저한테 저 정도의 씨알이면 거의 6짜급입니다만...ㅎㅎㅎ
  • ?
    곰(송재흥) 2013.03.26 10:37
    요즘같은 어한기에 무척이나 부럽습니다.
    밑에 사진 말고 위에 3걸이 하신분요!!!
    저도 빙글뱅글구슬채비는 아직 못만들어 봤습니다.
    이기회에 초보 자작채비인을 위하여 빙빙도는 구슬채비 사진좀 올려주세유~~~^,.^*
  • profile
    감성킬러 2013.03.26 10:41
    네. 곰님~ 3걸이 하신 분은 저도 왕부럽습니다.ㅎㅎ
    빙글뱅글 구슬 채비는 사진을 정리해서 올려 볼게요.^^*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날짜 조회 수
959 [낚시일반] 자작(自作) 빙글이 구슬 채비 만들기 42 file 2013.03.26 14826
» [낚시일반] 영등철의 우럭낚시… 바닥층??? 6 file 2013.03.25 7712
957 [낚시일반] 오랜세월 낚시인에서 점주 출조점 가이드 낚시 문화가 많이도 변해네요~ 7 file 2013.03.13 5257
956 [낚시일반] 우럭 산란기 5 2013.03.08 13081
955 [낚시일반] 왜들 이러는 걸까요?? 8 2013.03.07 5356
954 [낚시일반] 가거초 속보 10 2013.01.18 6468
953 [낚시일반] 제전장갑 + PVC장갑 + 목장갑 2 file 2013.01.06 4756
952 [낚시일반] 왕초짜 타조의 조행기를 읽고서..... 3 2013.01.01 3710
951 [낚시일반] 갈치낚시 미끼 질문드립니다 2 2012.12.18 6592
950 [낚시일반] '겨울바다의 꽃 - 열기' 시즌을 맞아 그 조법과 채비 운용방법 알아보기 43 file 2012.12.17 10479
949 [낚시일반] 갈치 낚시의 시기는 ? 2 2012.12.06 7571
948 [낚시일반] 우럭도 갈치처럼 아이스박스에 보관시 바닷물을 부어주면 어떨까요 ? 7 2012.11.24 9155
947 [낚시일반] 정말 인가요?여수 갈치낚시배 한척 침몰 13 2012.11.24 17129
946 [낚시일반] 다이와 전동릴 액정수리 가능한가요 2 2012.11.22 4823
945 [낚시일반] 궁금합니다 2 6 2012.11.21 4176
944 [낚시일반] 500MT에 16호나일론원줄 감기 질문예요.. 2 2012.11.17 4082
943 [낚시일반] 낙지 낚시로도 가능할까요? 7 2012.11.12 10587
942 [낚시일반] 궁금합니다 29 file 2012.11.11 6045
941 [낚시일반] 갈치배 자리 없을까요??(자유게시판으로 옮겼습니다-어부지리) 4 secret 2012.11.08 1028
940 [낚시일반] 갈치낚시 미끼 자작 해결법 아시는분 도움을..... 6 2012.11.05 876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 74 Next
/ 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