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알려주세요 배낚시

[장비관련]
2005.08.29 11:11

농어 루어장비 추천

조회 수 7818 댓글 1
농어루어낚시에 관심이 많은 초보입니다.
장비에 대해 여쭙고 싶습니다.
루어대, 릴. 라인 기타 필요한 장비를 구체적으로 소개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Comment '1'
  • ?
    초보농어 2005.08.30 11:22
    ***갯바위,방파제,부두 주변에서 할수있는 로드와 릴에 대해서 ***

    가벼운 채비로 황어, 가자미,우럭, 놀래미, 임연수어들을 대상으로하려면 배스용 스피닝로드 6'6"미디움(+라이트)급 패스트액션에 2500번 릴, 라인은 6파운드 전후, 쇼크리더 8~10파운드 2미터정도 필요하며 루어는 스푼, 스피너, 지그헤드+글럽, 플러그등등 대부분의 소형 루어들이 다 통용됩니다. 해동의 워리어스 정도면 좋겠고, 릴은 시마노 울테그라급 이상이면 무난합니다.

    중장비로 농어나 방어, 삼치등을 노리시려면 9~13피트급 농어용 루어 낚시대에 릴은 4000~5000번정도, 12~14파운드 원줄에 쇼크리더는 20파운드급 4미터정도가 필요하며 루어는 일반 농어용 플러그나 소형 메탈 지그(1~1.5온스전후)등이면 무난합니다.

    *** 농어용 루어 낚시대한 아주 자세한 내용입니다. ***
    농어전용로드는 캐스팅장소에 따라서 길이가 달라집니다. 보팅의 경우 짧게쓰고 (8피트~9피트), 갯바위등의 LBG (갯바위,백사장, 내만,항구 등에서 낚시)게임에서는 아무래도 원투와 여쓸림방지를 위해 길게 쓰는 경향이 지배적입니다. 이경우는 대략 11~14피트까지 사용합니다. 전자의 경우는 어깨부담이 적고 체력손실도 적은 반면 후자의 경우는 한철 농어낚시후 어깨가 고장나서 한 반년정도 고생한 적이 있을 정도로 체력손실이 큽니다.

    대상어종인 농어는 크게는 1미터 20센티까지 나오고 순간적인 파워도 대단하므로 이를 제압하기 위해서는 로드의 강력한 허리힘이 필요하게 됩니다. 더불어 사용하는 농어용 루어도 대부분 1온스이상 심지어 바이브레이션의 경우 45g까지 사용하므로 캐스팅시 강력하게 밀어주는 허리힘과 이를 잡아 끌어주는 팁의 유연성이 필요합니다.

    때문에 이런한 조건을 종합할 때 파워는 미디움~ 미디움라이트(길이에 따라 달라짐)급에 액션은 패스트액션이라야 모든 조건을 충족합니다. 가볍게 흔들었을 때 허리(버트), 몸통(밸리)는 그냥있고 초리(팁)부분이 흔들리며, 천장에 대고 부드럽게 휘어봤을 때 블랭크전체가 약 3:7 이내의 커브곡선을 그리면 이상적으로 볼수있습니다. 파워가 미디움급이면 약 20파운드급이상의 라인을 걸어서 무조건 당겨도 로드는 쉽게 부러지지 않는다고 보아도 됩니다.

    대물과 파이팅시에 로드 전체가 힘을 먹어준다는 사고방식은 가는 원줄과 목줄을 사용하는 바다장대의 경우에는 맞는 이야기입니다만 지금 우리는 루어낚시대에 대해서 고민하고 연구하는 입장입니다. 어디까지나 농어용 루어낚시대이지 바다장대가 아닌이상 이러한 소위 우리들이 말하는 <훌러덩 대> 로는 절대 캐스팅도 어렵고 가장 중요한 루어액션도 어렵고 결정적으로 농어의 제압도 어렵다고 봅니다.

    그 다음 꼽기식(페룰)과 뽑기식(텔레스코픽)의 경우 장년간 루어낚시를 해온 본인으로서는 우선은 길지만 원피스(1절 통대)가 제일 좋고 그 다음이 꼽기식 투피스 혹은 스리피스를 선호하고 뽑기식 텔레스코픽 타입은 그 편리성 하나만 갖고서는 절대로 선택하기 억울한 농어 루어낚시대라고 봅니다. 파워, 액션, 감도, 기능과 성능 모든 면에서 열세입니다.

    낚시대의 경우 NS사의 농어대 인 블랙홀 시배스 시리즈를 광적으로 신뢰합니다. 톱가이드의 형상을 잘보시면 뉴 수퍼 오션가이드 스타일로 줄꼬임이 배제된 타입이고 버트가이드를 잘 보시면 가이드 풋이 반대로 달려있는 것을 알게 될 겁니다. 이 역시 줄꼬임 억제 방안으로 최신 유행스타일입니다. 9피트의 경우는 총무게 170그램이며 전체적인 밸런스가 최상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전 모델의 가이드와 릴 시트는 얄미운 후지SIC가이드및 후지시트를 채택하였습니다.

    캐스팅 비거리향상을 위해서는 원줄은 가늘게 10~12파운드급을 사용하고 목줄을 4미터이상을 원줄보다 훨씬 굵게 사용하면 비거리가 향상됩니다. 혹은 합사 2호나 2.5호에 목줄을 굵게사용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일반적인 상식으로 민물낚시나 바다찌낚시에서는 목줄이 대부분 원줄보다 가늘게 선정됩니다. 또 그렇다고 들었습니다. 그러나 바다루어낚시는 그 반대입니다. 원줄을 가늘게 쓰면 여러가지 메리트가 많습니다. 우럭낚시에 적용하면 많이 잡습니다. 그러나 대부분의 사람들이 이걸 무시합니다. 아니 아예 모릅니다. 예를 들면 가는 합사를 사용하는 지깅에서는 쇼크리더가 없으면 지깅자체가 불가능해집니다.

    두번재로 로드가 길다고 무조건 롱캐스팅이 되지 않습니다. 요는 로드 반발력과 캐스팅자세와 습관입니다. 많이 연구하고 고민해보시기 바랍니다.

    역시 바다고기는 정확히 선이 그어져 있는 것 같습니다. 가장 효율이 높은 방식으로 낚는 것이 가장 즐겁겠지요. 즉 크릴을 무는 놈은 크릴로 잡아야 효율적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날짜 조회 수
171 [장비관련] 다이와 전동릴 Z500FT한글 사용설명서 부탁합니다 1 2005.09.15 3784
170 [장비관련] 한글메뉴얼(타나콤 볼-에스 600W) 2005.09.13 3926
169 [장비관련] 시마노 3000h 한글 설명서 38 2005.09.02 5698
» [장비관련] 농어 루어장비 추천 1 2005.08.29 7818
167 [장비관련] 올림픽 릴? 2 2005.08.27 4452
166 [장비관련] 어부지리님, 무늬만 낚시꾼님~ 알켜주세요 3 2005.08.27 3702
165 [장비관련] 전동릴 매뉴얼 관련 의견수렴 2 2005.08.26 3936
164 [장비관련] 다이와 - 하이파타나콤500fe전동릴 2 2005.08.26 3871
163 [장비관련] 그리스? 1 2005.08.25 3545
162 [장비관련] 다이와 시보그 500fe 사용설명서를 부탁... 2005.08.22 3882
161 [장비관련] 다이와전동릴 사용설명서에 관한문의 5 2005.08.21 5139
160 [장비관련] <b>전동릴에 관하여 여쭙니다</b> 4 2005.08.05 4805
159 [장비관련] 시마노 3000h나 xt와 다이와 500으로 대구는 어려운가요?? 8 2005.08.02 5531
158 [장비관련] 얼굴가리개 4 2005.07.29 6399
157 [장비관련] 시마노3000xt 는 사용안하나요 4 2005.07.29 5227
156 [장비관련] 서울 근교에 낚시 쇼핑몰 4 2005.07.27 6483
155 [장비관련] 낚시대 수리점 알고계시는분 ? 2 2005.07.25 6956
154 [장비관련] 다이와 3500번으로 선상우럭낚시..... 1 2005.07.14 4604
153 [장비관련] 솔티스트 릴 아시면 2005.07.14 3812
152 [장비관련] 알면 아주 간단한 어초낚시 요령...晝夜釣思 11 2005.06.17 1110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 67 Next
/ 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