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알려주세요 배낚시

[장비관련]
2009.06.12 14:33

레귤레이터(전압 안정장치)에 대하여-

조회 수 12488 댓글 39
레귤레이터는 “전압 안정장치”로 이하 “안정기”라 하겠습니다.
전동릴의 고장 원인 중 불규칙한 배 전원이 차지하는 비중이
높은 현실에서 안정기는 매우 효과적인 장치임에 틀림없습니다.
다만 일부 조건적으로 아쉬운 부분이 있습니다.

배에서 공급되는 전원 중에서 고전압에서는 안정적이지만
저전압에서는 불안정 합니다. 안정기에 입력되는 전압이 일정수준
이하로 내려가면(배전원이 부족하면) 안정기는 설정한 출력을
낼수 없게 됩니다. 전동릴이 전원에 의한 고장은 부족한 배전원에
의한 비롯되는 만큼 일정 부분 기능상실의 우려가 있습니다.

배전원이 부족할 때(전동릴을 겨우 사용할 수 있을 정도) 다수인이
전동릴에 안정기를 사용하고 소수인은 배전원에 직결하여 사용할 경우
소수인은 전원 부족이 심화되어 전동릴 손상 위험에 노출될 가능성이
커집니다.
2명이 배전원을 사용하는 것으로 예로 들겠습니다.
공급 전원이 10v(전동릴 작동합니다)일 때 1명은 15v 안정기를
연결하여 사용하고 1명은 직결하여 사용할 경우 안정기는 기능 원리상
전류를 강제로 끌어가 전압을 15v로 승압하고, 직결하여 사용하는 사람은
안정기가 전류를 끌어가는 만큼 전압이 떨어져 위험에 더 노출됩니다.

어떠한 형식의 안정기도 전류를 생산, 저장하지 않으며 있는 전류로 주파수
조정(증폭)을 하여 설정 값의 전압을 유도하는 장치입니다.
주파수를 증폭하려면 전류가 필요하고, 안정기는 자기장을 지속시키려(안정기의
핵심 원리) 주변의 전류를 강제로 끌어가 설정 값에 맞추어 출력 전압을
연속적으로 유지하려 합니다.
만일 타인의 전류 전압을 건드리지 않고 승압 할 수 있다면 상상 할 수 없는
혁명적 사건으로 에너지 보전법칙이 무너지는 순간이 됩니다.
이것이 가능하다면 무연료의 영구적인 발전기를 만들수 있습니다.

고의는 아니지만 경우에 따라 타인에게 피해를 줄 수 있습니다.
본인의 경우 이 부분을 해결할 방안이 없어 제작을 포기한바 있고
지금 서술하는 내용은 당시 수집했던 자료의 일부입니다.
제한적인 경우이지만 배전원은 승선자 모두 고루 사용되어야 하므로
공공재로의 성격이 크다는 것이 본인의 생각입니다.
특정인이 특정 장치(안정기)를 사용하여 전원을 더 가져가는 것이
옳은가는 제가 논하지 않겠습니다.

적절한 표현이 될지 모르겠지만 자칫 제로섬 게임이 될 수도 있고
승선자 모두 안정기를 사용한다면 안정기의 기능은 상실될 수도 있습니다.
모 카페에서는 배전원에 따른 기능상실을 우려해서 인지는 모르겠으나
전원이 딸리는 유선사를 찾아내 게시판에 올리고 있습니다.

위 내용들은 기본적으로 배전원이 부족할 때의 상황으로 안정기 자체의
기능을 폄하하려는 의도는 없습니다. 전원만 안정권에서 움직이면 최상에
장치임에는 틀림없습니다.

배전원은 발전된 전기를 배터리에 저장했다가 전동릴에 공급하는 시스템으로
충전양이 부족하거나 소모품인 배터리의 노후에 따라 적절한 교체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현실적으로 항상 문제의 소지를 안고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무조건 적으로 유선사를 족친다고 해서 해결될 문제인지도 의문이 들고-

쓸데없는 짓이 아니었길 바라며,
모든 것의 선택은 각자의 목이라 생각하며 마감합니다.
Comment '39'
  • ?
    한사랑 2009.06.12 15:33
    좋은 의견,상세한 설명에 감사드리며...남의 것을 뺏어와 자기배를 채우는 경우는 안되겠지요.
    그러면 딱히 방법은 없네요.
    천상 개인이 밧데리를 지참하는 수 밖엔...ㅠㅠ
  • ?
    수언짱돌 2009.06.12 16:58
    여기에 <이찬영>님의 레굴레이터 찬양론(마땅한 표현이 없어서))과 <히트>님의 배터리 안정론에 대한 대토론의 장을 마련하심이 어떤가요??
    좋은 결과가 있을 것 같은데요...
    꾼들모두 관심이 많습니다.
  • ?
    무영인 2009.06.12 17:29
    찔끔찔끔나오는 수돗물을 보면서 물 많이쓰는 옆집을 탓할수는 없는거 아닌가여,,,
    전 그냥 밧데리 들구 가렵니다...
  • ?
    마포사공 2009.06.12 18:10
    밧델지참함이 고가의 전동릴 보호하는 데는 지금상황에서는 최선책인것 같네요
  • profile
    이찬영 2009.06.12 18:17
    전자공부를 한사람 이전에 저는 낚시인고 사회인입니다.
    어찌 그걸모르겠습니까! 제가 낚시다니면서 제일 싫어하는 것이 남에게 피해를 주거나 바다에 비닐 또는 쓰레기를 버리는 사람들입니다.
    저도 처음에 만든 것은 일반 다운 레귤레이터였지만, 두번째로 제작한 것은 전문용어로 SMPS방식의 업/다운 레귤레이터로 히트님께서 우려하시는 그런 단점이 발생합니다.
    주변사람들께 피해를 주면서까지 독자적 행동을 하기 싫어 몇번이고 연구를 하여 만든 것이 지금의 방식입니다.
    실용신안 출원사안이라 자세히 설명할 수는 없지만 주변사람들에게 영향을 주는 그런 제품 구조와는 아주 다른 방식이라는 것을 밝혀둡니다.
  • ?
    콜롬보 2009.06.12 18:47
    저는 솔직히 레귤레이터를 개인이 지참해서 그걸연결해서 사용하고
    싶은 생각은 없습니다
    꼭 그런상황이라면 밧데리를 지참하겠습니다
    하지만 고가의 리툼이온 리툼폴리머등 밧데리를 구입하여 사용하고픈
    생각도 없습니다
    밧데리도 너무 고가에다 소모성인 소모품이기 때문이죠
    굳이 밧데리가 필요하다면 그냥 연납축전지(5a)정도 사용하여도 웬만한릴은
    하루 낚시하는데 전혀 문제 없습니다
    혹여 밧데리가 방전되면 그냥 선상전원 잠시 사용해도 별문제 없을것 같고
    그리고 제가 릴을 다이와 시마노 두종류를 가지고 있지만 다이와종류는
    그냥 선상전원 사용하고 시마노릴은 밧데리(5a)를 주로 사용합니다

    저는 바람이 있다면 고용량의 레귤레이터가 제작이 가능하다면
    배마다 레귤레타를 배치하여 조사들에게 안정적인 즐낚을 할수 있도록
    선주들이 배려해주는게 맞다고 생각합니다
    그런 레귤레이터를 배치해논 배들은 조과에 좌우되는게 예약율이지만
    이것도 광고에 효과도 볼수 있으리라 생각됩니다

    이찬영님 고용량이 가능하다면 시험적으로 설치할수 있는곳이 있으니
    선주와 상의 할수 있도록 설치비용좀 메일 부탁드립니다
    잘하면 상호 win&win 이 될수 있을것 같습니다
    kg14966@fxk.co.kr
  • ?
    타조 2009.06.12 18:59
    갑자기 급 고민 되네요....레귤레이터가 있으면 좋을 것 같아서 SMPS 보드만 사서 만들려고 보드 주문까지 다 넣었는데...ㅠ.ㅠ
  • profile
    이찬영 2009.06.12 19:22
    콜롬보님 설치비용은 계산하여보고 알려드리겠습니다.
    그럼~~~
  • ?
    수언짱돌 2009.06.12 19:52
    대부분의 선박배터리는 용량상의 문제로 인해 발생되는데...
    일순간 전부동시에 릴을 감을때 어느전동릴에서 모터스탑,또는 액정멈춤현상이 발생합니다.
    이 현상은 선박배터리 용량증가로 대부분 해소됩니다.

    대부분의 공산품은 프리볼테이지가 아니드라도 정격전압의 몇%(125%등 조건시험방식)까지 입력전압이 들어오드라도 견딜수있게 만들어져 있습니다.
    문제는 불규칙한 입력전원은 제품에 좋지않은 현상이 발생하고 제품수명에 치명적이기 때문입니다.

    규정이상및 이하의 전압을 동시에 리미트할수있는 것이 이찬영님의 방식이 아닌가 생각됩니다.
    규정이상을 리미트하는 방식은 회로자체도 쉽고 부품가격 몇푼들지 않습니다.
    규정이하를 끌어올려 일정용량으로 유지시켜준다는 것.............................?
    이것이 맞는지요?

    즉,선박배터리의 용량이 90%요율인데 항상100%로 유지시켜준다고 이해하면 되나요? 좀 알려주십시오????????
  • profile
    번개 2009.06.12 21:52
    저는 처음부터 바테리 를 지참하고 낚시 합니다 .무게로 따진다면 무게가 비슷하지 않나요 /레귤레이터 구입할 가격이면 조금 더보태서 바태리 구입해서 여러 사람 눈치안보고 좋을것 같은데요 ?? 레귤레이더가 더 실용할 단계면 거의 우럭도 바닥나지 않을까요 ? 예를 들어서 이야기 하지만 몇년 전에 이야기지만 수도 수압이 약해서 가스보일러가 작동안할때가 있었습니다 .(식당운영) 그래서 구입한것이 ㅎㅇ 펌프에서 나온 모타달린 펌푸였죠 .그것은 강제로 물을 끊어 당기는 거죠 .모타 작동할때마다 다른집은 물이 거의안나와 실갱이도 많이 했던 기억이 납니다 /

    문뜩 히트님 글을 보고나니 물 수압이낮아 강제로 모타 돌린 생각인나네요.레귤러이터 사용하신분들은 좋다고들 합니다 .하지만 나좋다고 남한태는 피해를 안줘야 죠 ??
  • ?
    수언짱돌 2009.06.12 23:13
    이찬영조사님 ~~~~
    제머리로는 이해가 안되는데요?
    원래 선박용배터리가 부족한 용량인데도 레귤레이터를 설치하면 20명(먼침선기준)모두가 안정적인 전동릴을 사용할 수 있나요?

    배터리 2개 더 설치하면, 보통16만원 정도 비용이 발생합니다.
    물론 잘 사용하면 차량용보다는 2~3배정도의 수명이 되기도 하고요.
    레귤레이터를 설치함으로 수명이 반영구적(레굴레이터수명)으로 보장되면 나라도 이걸 설치하겠네여............

    꼭 좀 알려주세요?
    제가 단골로 타는 배가 있는데 가격싸면 적극 추천해야겠습니다.

  • ?
    유병구 2009.06.12 23:19
    12V용 장비를 야외에서 자주 사용하는 사람입니다.
    이렇게 배 전원 문제가 발생한 이유를 나름대로 얘기해 볼까 합니다.
    몇 년 전에는 배 전원을 사용하면서, 전압이 낮아서 문제가 되는 경우는
    별로 없었던 같습니다.
    그러던 것이 전동릴 사용자가 늘어 나면서, 말썽이 생겼죠.
    배터리의 용량 부족을 원인으로 보는 의견이 많던데, 꼭 그럴까요?
    그 보다는 배선이 문제인 것 같습니다.
    40명 이상이 타는 배에 배선 굵기가 25스퀘어 정도 입니다.
    만약에 40명이 한꺼번에 릴을 감으면 100A 이상이 흐를겁니다.
    게다가 케이블 길이는 꽤 긴 편이죠.
    먼 곳은 대략 40m 이상이 되겠죠.
    이런 상태라면 배터리 용량을 아무리 올려도 일부 먼 곳은 개선이 어렵지요.
    아마 유선사에서도 민원 때문에라도 배터리 용량을 키운 곳이
    많았을 것이지만, 효과는 기대치 이하였을 겁니다.
    개선 방법으로는 케이블 굵기를 22`~30스퀘어 이상으로 올리고,
    배선도 한 쪽으로만이 아니라, 양쪽으로 돌리는 방법이 좋지 않을까 합니다.
    헌데, 이거 배선 공사를 완전히 다시 해야 하는데, 돈이 좀 들겠네요.
    DC 12V를 전원으로 사용하다 보면, 전압 드롭다운을 무척 신경써야
    되더군요.
    배선 공사시 접속 방법에서도 많은 차이가 나기도 해서 말입니다.
    그냥 직업상 경험을 토대로 의견을 남겨 봅니다.
  • profile
    민평기 2009.06.12 23:43
    궁금합니다. 자유게시판의 레귤레이터 내용 연장선입니다.
    (레귤레이터의 탄생 배경 중 하나가 "배 전원이 12V 대비 몇 볼트 높아 항상 무리가 따른다" 입니다)

    대개 전동릴 권고 입력 전압이 12~16.8V입니다.
    이렇다 하더라도 14V~15V는 높은 전압이어서 무리를 주는 건가요?
    그럼 정격 전류가 14.8V이고 초기 전압이 15~16V인 리튬계 배터리는
    전부 비추인 제품이 되는데요?
  • ?
    유병구 2009.06.13 00:50
    제 생각으로는 14~15V는 아주 적정한 전압이라고 생각됩니다.
    실제로 12V용 장비에 저 정도의 전압을 공급하면 이상적입니다.
    그리고, 권고 전압이 16.8V에 사용하는 리튬계 배터리도
    최적이라 생각됩니다.
    12V 연츅전지도, 셀을 1개 추가하여 14V로 사용하면, 용량보다
    훨씬 오래, 힘있게 사용이 가능합니다.
  • ?
    맑은샘 2009.06.13 10:03
    지난 5월 초....
    몇 년 동안 잘 쓰던 다이와 전동릴이 갑자기 미처버리더군요.
    통제 불능.
    예비로 준비했던 카이젠으로 교체했는데 얼마 안가 다시 같은 현상.
    두개를 망치고 말았습니다.
    밧데리는 지참했지만 깜빡 잊고 충전을 안해서 거의 방전된 상태.
    A/S 쎈터에서는 저전압이 문제였다고 하면서 배의 전원은 절대 쓰지 말라고 강조하더군요.
    수리비 얼마 날렸나구요?
    침선 배 다섯 번 탈 정도의 비용이 날아갔지요.
    그래서 홧김에 레귤레이터 샀습니다.
    20명 낚시꾼의 전원을 설치했다면 거기 상응한 전력도 준비하는 것이 정답 아닌가요?
    에이에스에서는 그 기계도 믿지 말라고 말리더군요.
  • ?
    권용태 2009.06.13 11:02
    배터리도 고용량 아니면 쓸모없고
    레귤레타도 배전원 딸리면 소용없고
    이제부터는 배전원 좋은배만 골라타야 돼나요

    맑은샘님 말씀대로
    낚시꾼을위해 배전원을 설치했다면
    배터리도 점검하고
    전선도 정비해야하는게 정상 아닐까요
  • ?
    권용태 2009.06.13 11:16
    어부지리 관리자님께 건의드립니다

    여기어부지리의 배낚시 어디로에 나오는 선박만이라도
    배전원상태를 점검하여
    배전원에 이상있는배는 배터리를 지참하도록
    유도하심이 좋을거같습니다

    전동릴 액정 고장났다고해서
    유선사에서 보상할겄도아니고
    전동릴 회사에서 무상수리해주지도 않습니다

    그러면 고가의전동릴 버릴수도없고
    우리가스스로 보호해야하는수 밖에없고
    --배터리나 레귤레타도 같은맥락 --
    그렇다면 배전원을 확인하여
    각자의전동릴을 보호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 ?
    수언짱돌 2009.06.13 12:13
    토론의 장은 좋은 것은 받아서 우리 꾼들이 유용하고 편리하도록 정보를 공유하는데 목적이 있습니다.
    히트님은 배터리를 제조(정확히 조립이겠죠-아니면 죄송합니다)하시고,이찬영님은 본인의 말씀대로 전자공학을 전공하신분으로 알고있습니다.

    낚시를 좋아하기에, 낚시장비를 사랑하기에 이런 민감한 분야에 꾼들은 귀를 기울이고 있습니다.
    우리꾼들의 아이디어가 편리하고 즐거운 배낚시문화에 도움이 될수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전, 이찬영님의 레굴레이터에 기대고 있습니다.
    부디 좋은결과 있기를 ...
  • ?
    유병구 2009.06.14 13:41
    전압이 낮아서 생긴 고장이라면, 배터리 사용중 방전으로 인하여 전압이
    낮아질 경우에도 같은 증상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을 것 같아서 염려가 됩니다.

    그리고, 대용량 레귤레이터를 배에 설치하는 방법은 실용성이 좀 떨어질 것 같습니다.
    레귤레이터의 용량이 충분하다면, 여러 사람이 동시에 릴을 사용해도
    레귤레이터의 출력 단자 전압은 일정하게 유지되나, 앞 글에서 얘기한 것 처럼
    케이블에서 전압이 떨어지는 현상으로 인해, 레귤레이터에서 먼 곳은
    같은 현상이 발생할 가능성이 큽니다.
    물론 레귤레이터 전압을 16V 정도로 높이는 방법도 생각해 볼 수 있으나,
    역시 케이블이 굵지 않으면, 전압 변동이 심한 현상은 피할 수 없어,
    장비에 악영향을 끼칠 수가 있읍니다.

    또 한가지는 어떤 배에는 전동릴 전원 공급장치로 SMPS를 설치한
    경우도 있더군요.
    아마도 배 전원 24V를 12V로 바꾸어 주는 것 같습니다.
    SMPS를 사용하는 방법은 대용량 레귤레이터 설치나 마찬가지인 방법으로 용량
    내에서는 지극히 안정적인 단자 전압 공급이 가능합니다만,
    단, 용량이 부족할 경우 전압 강하는 물론, 직류가 아닌 고주파 성분이 전원에 포
    함되어 장비에 치명적인 손상이 발생 할 가능성이 큽니다.
    이런 경우에는 SMPS 후단에 BATTERY를 연결하여 버퍼로 사용하면 훨씬
    안정적입니다. 전압 강하도 덜하고요.
    그래도 케이블이 가늘 경우, SMPS에서 먼 곳은 전압 강하로 인한 전압 변동이
    심하여 장비 손상이 발생 할 가능성이 큽니다.

    참!
    편법이지만 이런 방법도 생각해 볼 수 있겠습니다.
    배 전원 단자에 연축전지를 병렬로 연결하고, 전동릴을 사용하면
    작은 배터리로도 안정적으로 장시간 사용 할 수 있을 것 같기도 합니다.
    릴이 동작하지 않는 시간에는 충전이 되고 있다가, 릴을 동작시키면,
    배 전원과 배터리가 함께 전기를 공급하기 때문에 안정적으로 전압을
    유지 할 수 있을 것 같네요.
    배터리를 가지고 가고, 배 전원 단자에 연결하는 것이 번거롭기는 하지만
    작은 용량으로도 사용 시간에 구애받지 않고 안정적으로 사용 할 수 있다면
    아쉬운대로 괜찮지 않을까요^^
  • ?
    유병구 2009.06.14 14:01
    맑은샘님께 여쭈는 글이 빠졌네요.
    고장 증상이 어떠했는지가 궁금합니다.
    릴의 전원 콘트롤 방식에 따라서는 전압이 낮을 경우, 동작이 불안정한 경우와
    전원부가 나가는 등의 고장이 발생 할 수가 있을 것 같거든요.
  • ?
    피쉬헌터 2009.06.14 15:06
    전자도 아나로그 시대는 지나고 디지탈 시대로 달려가고 있습니다 여러 횐님의 글을 보고 몇자 적어 봅니다 레귤레이터는 전압,전류를 당겨 나만의 요구 전압을 만드는 장치가 아닙니다 주어진 전압과 전류를 레귤레이터 전자 소자가 요구분 만들어 주는 장치죠 주 사용처는 노트북 전원 입니다 요즘 노트북 회사마다 전원 장치가 천차 만별이기에 ~~ 배 전원사용시 전동릴 손상 주원인은 맥류 때문 입니다 전류에는 교류 직류 맥류가 있죠 발전기에서 생산한 24볼트 전원을 12볼트 만드는과정에서 안정된 정류가 아니되었기에 발생합니다 요즘은 인버터 사용하는 유선이 거의 전부 입니다 여기서 콘버터 이용 전동릴 전원도 만들곤하죠 전동릴 에는 고,저 전압 차단회로와 역방향 차단회로등 첨단 전자 회로가 있기에 보호되죠 다만 맥류 차단 회로가 없기에 전동릴 회로 손상 원인 입니다 선상 전원 사용시 전동릴에서 험(이상소리)이 발생하곤하죠 이것이 맥류 땜문이죠 전동릴 수명 단축 저의 의견으로 볼때 최상의 전원은 배터리이고 다음은 레귤레이터 입니다 둘중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하길 권장 합니다 횐님들 고가품 전동릴 아끼고 사랑하여 대박 하세요
  • ?
    유병구 2009.06.14 16:00
    아직도 인버터를 쓰고 있나요?
  • ?
    유병구 2009.06.14 23:00
    휘시헌터씨 말씀대로 인버터를 쓰고, 정류가 제대로 되지 않아서 멕류가 많을 경우에 영향이 크겠네요.
    그냥 DC-DC 컨버터를 쓰면 좋을 것을..
    그 맥류 제거에도 배터리 병렬 연결하는 방법이 효과가 꽤 있어서,
    유선사에서 완벽히 개선하기 전에는 괜찮은 방법이라고 봅니다.
  • ?
    히트 2009.06.15 13:17
    피쉬헌터님께 질문드립니다.
    제가 전기, 전자에 전공자가 아니라 그깊이가 얕습니다.
    이해를 위해 궁금한점 여쭤 봅니다.
    1.전동릴 고장의 원인으로 맥류를 지목하셨는데 전동릴에 적당한 전압에서도
    맥류의 영향을 받는지요.(적당한 질문인지 분간이 않됨)
    2.제한된 전류의 낮은 전압(9v이하)을 15v로 지속적으로(약30초)승압이 가능한지요.
    * 전류의 절대량이 늘지 않고는 불가능 한것으로 알고 있습니다만.
    좀 무식한 질문은 아닌지 걱정이 됩니다.
  • ?
    피쉬헌터 2009.06.16 02:37
    음악에서 고음질 즉 전문적인 음질을 들을땐 지금도 진공관 반도체를 사용하죠~~ 요구 전압이라도 안정된 전압이 아닐경우 영향을 받지요.. 2. 9v를 15v로 지속적으로 승압은 가능하죠 다만 승압 장치에는 동작 전압이 있습니다 즉 승압장치가 몇 볼트 용인가에 가능하죠,, 더블어 히트님의 배터리 사업 번창을 바랍니다 참고로 저는 일명 수류탄 배터리 만들어 사용합니다 싱글라인에 게재 되어 있습니다
  • profile
    이찬영 2009.06.16 06:13
    제 전문분야가 진공관 오디오 즉, 가정용 홈하이파이 오디오를 진공관으로 제조합니다.
    진공관은 음질적인 우수성과 히터나 필라멘트로 열전자를 발생시키므로 포근한 음색을 주기에 열정적으로 환호하는 것입니다.
    우수성은 반도체류에 비해 많이 떨어진다고 보면 됩니다.

    피쉬헌터님이 제가 만든 제품의 비밀에 많이 접근하여 이해하시고있다고 보면 맞습니다.
    문제의 핵심은 필터에 있습니다.
    모든 전기,전자제품의 최종성능은 전원부에 달려있습니다.
    고장의 주된 원인도 전원부에서 발생하는 것이 대부분입니다.
    교류성분이 많이 포함된 것을 제거하는 것이 주로 컨덴서라고하는 충방전장치입니다.
    베터리도 컨덴서의 원리를 이용한 아주 용량이 큰 컨덴서라보면 됩니다.
    근래에 유행하는 SMPS는 트랜스의 크기를 줄이기위해 고주파로 발진시켜 전압을 승압하는 방식입니다.
    직류(DC)를 승압하기위해서는 교류(AC)로 전환해야 하기에, 다시 직류로 만들려면 컨덴서로 필터링 해야만합니다.
    하지만 100%의 직류를 만들기위해서는 컨덴서용량은 무한대로 커집니다.
    실제로 현존하는 DC-DC컨버터로는 100%필터링 되는 것은 존재할 수없다는 것입니다.
    맥류가 거의 없는 것으로 따진다면 베터리가 제1순위입니다.
    이점에서 제가만든 제품의 핵심이 내장되어 있다고보시면 됩니다.

    히트님께서 질문하신 낮은 전압에서의 높은 전압은 더많은 전류를 소비해야만 가능하다고 보시면 됩니다.
    그래서 DC-DC컨버터로는 여러명이 사용하고있는 제한된 선상에서는 주변사람들에게는 피해가 발생합니다.

    결론은 베터리로 사용하는 것이 가장 좋고, 두번째는 안정된 배전원입니다.
    그다음은 제가 개발한 제품이 두번째 자리매김을 하려고 합니다.

    피쉬헌터님도 수류탄 제작을 하셨군요 저도 수류탄을 만들어 쓰고있는데 정보공유하심이 어떠신지요??
    제가 제작한 수류탄은 선낙동 게시판에 있습니다.
  • ?
    히트 2009.06.16 07:48
    피쉬헌터님, 이찬영님 답변에 감사드립니다.
    새로이 탄생하는 안정기의 힘찬 비상을 진심으로 기원하며
    제 글로 인하여 상처를 드려 송구스럽습니다.
    언젠가 선상에서 뵙게되면 정식으로 인사드리겠습니다.
    안녕히 계십시요.
    #이찬영님 안정기를 배전원에 연결하는 것을 악어클립으로 사용하실것
    같은데 시중에 유통되는 것은 중국산으로 철에 니켈도금하여 쉽게 부식이
    발생합니다. 주의가 요망됩니다.
  • ?
    한사랑 2009.06.16 09:31
    피쉬헌터님 오래간만입니다. 잘지내시죠?...
  • profile
    이찬영 2009.06.16 09:44
    히트님! 상처가 바로 약을 만든다고 생각합니다.^^
    인터넷의 장점입니다.
    선상에서 뵙기를 기대하며, 고생하시는 것만큼 잘 되시길 기원합니다.^^
  • ?
    콜롬보 2009.06.16 09:55
    이찬영님이 오디오분야에 계신다면 그레귤레이터에 원조격이 되시는군요
    원래 그물품이 그분야에서 많이 사용하던걸로 알고 있는데

    전에 한번 안산에 사시는분이 그분야에 계셔서 한번 통화한적이 있었는데
    저도 전자 전기분야이지만 그분야는 아니라서...
    이분야가 원래 너무 광법위해서..ㅎ
    하여튼 여러분덕에 많은걸 배우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많은 정보 공유 부탁드립니다
  • ?
    수언짱돌 2009.06.16 17:43
    전문가님들이 모아주신 결론은 :버킹검:<옌날신사복선전문구>이었습니다.
    배터리가 제일인데..................
    연축전지는 너무 무거워 들고 댕기는데 불편하고,리튬 이온계는 소형이지만 가격이 만만치 않고,
    어떤 경우라도 일장일단은 있다.
    현명한 판단은 소비자의 몫이다.

  • ?
    맑은샘 2009.06.17 11:13
    6월14일 오후 2시에 유병규님께서 물으신 질문을 이제야 보았네요.
    미안합니다.
    전동릴 증세는
    1. 줄 내림은 그런대로 무난했는데요...감아들이기-권상이라고 하나요? 불능.
    2. 답답해서 손으로 몇 번 감은 다음에 작동 시키니까 다시 움직이더군요.
    3. 바닥층 확인 메시지- 갑자기 사라지고
    4. 자동선지-멈춤- 船止가 안되면서 계속 작동...대가 부러지는 줄 알았습니다.
    5. 한 번 더 시도해보아도 자동선지가 안됩니다.
    6. 유영층은 제 멋대로 숫자가 바뀌구요..
    7. 드디어 40미터 수심층에서 낚시했는데 계기판에는 17미터라고 표시되구요.
    8. 다이와 수리점에 보냈더니 저전압으로 인한 액정손상이랍니다. 유효보증기간이 다 지났으므로 교체비용이 25만원 드는데 정품이기에 21만원으로 특별히 우대한다나요..ㅎㅎㅎ. 또 하나 망가진 건 아직 쳐다보지도 않습니다. 아마 같은 소리가 나오겠지요.
    9. 대리점의 부탁... 고 전압에는 방어기능이 있지만 저전압에는 속수무책이니까 배 전원은 쓰지 말랍니다. 레귤레이터 쓴다고해서 배 전압이 올라 가는 건 아니니까 기계 아낄려면 반드시 밧테리 휴대하라고 강조하네요.
  • ?
    맑은샘 2009.06.17 11:17
    요즈음 나오는 레귤레이터를 구입했는데 아무래도 파워가 좀 떨어지는 느낌이 드네요.
    궁금해서 문의했더니 무슨 전문용어로 설명해 주시는데 그 방면에는 너무 무식해 알아 듣지 못했습니다.
    어쨌든 레귤레이터를 써도 밧테리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이상적이라고 강조하시더군요. 밧테리 들고다니기 귀찮아 그걸 구입했는데.. 어찌하오리까?
  • ?
    낚시왕 2009.06.17 15:13
    맑은샘님 전류가 모자라서 그런게 아닐까요? 레귤레이터도 전류용량이 있어 500mt같은경우 10A정도를 먹는데 10A급 레귤레이터가 이니면 파워가 떨어지죠..
  • ?
    맑은샘 2009.06.17 15:27
    낚시왕님 고맙습니다.
    레귤레이터 구입할 때 제가 가진 기종 중 가장 전기를 많이 먹는 500MT도 무난하다고 권한 최상위 기종을 구입했습니다.
    단 한 가지 주의 사항은 옆사람과 함께 한 기계에 두 개의 릴은 절대 연결하지 말라는 부탁이 있었습니다.
    제가 전자 계통은 문와한이라 여기에 들어와 여러 전문가들의 이야기를 경청하며 조금씩 배우는 중입니다.
    진공관 앰프 이야기도 참 흥미롭더군요.
    개인적인 의견인데....warming up 시간이 좀 걸려도 진공관이 편한 아나로그세대랍니다.
  • ?
    유병구 2009.06.18 07:41
    맑은샘님!
    가슴이 많이 아프셨겠습니다.
    저도 배에서 LED가 왔다갔다 하는 경험을 하긴 했는데,
    왕창 망가지지는 않아서 아직은 잘 쓰고 있습니다.
    헌데 이거 자꾸 궁금해지네요.
    저도 전자기기 정비를 좀 하거든요.
    혹시 고장난 장비를 집에 와서 배터리로 동작시켜 보셨는지요?
    이거 별 도움도 못되면서 자꾸 귀찮게 해서 죄송합니다.
  • ?
    맑은샘 2009.06.18 09:47
    유병구님! 제 궁금증에 관심가져 주셔서 감사합니다.
    다이와 500Fe가 그런 말썽을 일으킨 후 A/S 맡기기 전에 점검하는 심정으로 새로 충전한 밧테리에 연결해 보았지요.
    처음 점검할 때 나오는 88888부터 0000까지 나오는 과정은 생략되고 줄 감기는 되는데 역시 자동정지-船止-는 안 되더군요. 그리고 유영층 표시 시그널도 없어지고..
    이상입니다.
    고맙습니다.
    참 처음 댓글에는 이름을 잘못 기재해 죄송합니다.
  • ?
    콜롬보 2009.06.19 12:26
    맑은샘님 그증상이면 제것과 같은증상이네요 아마 액정밑에 콘트롤부분에 센서이상일겁니다
    액정부분은 분해가 안되기 때문에 아마 액정교체하면 상당한 수리비가 지출될것 같습니다
    저도 수리안하고 합사줄 10m 지점에 갯바위에서 구멍찌 스톱시켜주는 합사같이
    묵어서 사용합니다
    뱃전정지만 안되서 그렇지 그냥 막사용하기에는 별무리가 없어서
    지인들 낚시할때 사용하게끔 빌려주곤하죠
    다이와 하이터기종에서 많이 나타나는 증상이죠...
  • profile
    이찬영 2009.06.20 12:40
    맑은 샘님께서 얘기하신 저전압에서의 액정 불량이라..??
    모든기기는 작동되는 전자부품을 보호하기위해 보호장치를 하는데, 보호장치는 높은 전압에서는 작동을하는데 저전압에서는 작동을 할 수가없는 원리로 되어 액정보호장치계에 입력 보호회로(일정의 레귤레이터)가 잘못 되었을 가는성이 많습니다.
    그런데,전동릴제조업체에서는 액정회로부분을 아세이로 교환하다보니 그렇게 고액의 비용이드는 듯합니다.
    사실은 반도체부품 한개또는 두개가 잘못되었을 수있는데...
    제가 전동릴의 액정부를 한번 분해해봐야겠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날짜 조회 수
452 [장비관련] Daiwa seaborg z500ft 한글사용설명서를 부탁 1 2009.07.14 3154
451 [장비관련] 카이젠 250 써보신분 추천좀 15 2009.07.14 5036
450 [장비관련] 카본의 종류와 낚싯대의 제조공정 6 2009.07.10 5619
449 [장비관련] 리튬 배터리 자작시 세심한 주의 필요합니다. 3 2009.07.01 4635
448 [장비관련] 릴의 조작방법좀 알려주시와요. ^,.^* 3 2009.06.26 4496
447 [장비관련] 봉돌무게 알려주세요. 3 2009.06.26 14071
446 [장비관련] 전동릴 궁금한점있읍니다... 1 2009.06.26 3658
445 [장비관련] 시마노3000h문의 12 2009.06.25 4149
444 [장비관련] 전동릴 밧데리 추천 부탁,,,,, 18 2009.06.20 12560
443 [장비관련] 파워코드 관리에 대하여 9 2009.06.18 4157
442 [장비관련] ????? 4 2009.06.15 3548
441 [장비관련] 선주님 선장님들께 부탁드립니다 13 file 2009.06.13 4204
440 [장비관련] 500s질문드림니다 1 2009.06.12 3326
» [장비관련] 레귤레이터(전압 안정장치)에 대하여- 39 2009.06.12 12488
438 [장비관련] 새로운 흑침 구매 할수있는곳? 6 2009.06.09 5000
437 [장비관련] 하이퍼타나콤500fe 사용중인 고수님들 의견수렴합니다 6 2009.06.08 4248
436 [장비관련] 리튬전동릴 배터리 선택시 참고사항 12 2009.06.01 7509
435 [장비관련] L.B A/S 현재 진행형 입니다. 10 2009.05.29 4590
434 [장비관련] 국산전동릴 -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28 2009.05.26 10381
433 [장비관련] 전동릴을 새로 구입하고자 합니다.알려주세여 5 2009.05.22 446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 67 Next
/ 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