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알려주세요 배낚시

현재 낚시점이나 인터넷에서 판매되고 있는 다이와 전용 밧데리 연결선을

구매하여 사용한지 3개월밖에 안됐는데 사용중에 전원이 꺼졌다 켜졌다를

반복하여 골치가 아프네요...

어차피 소모품이라 사용한지 오래되었다면 교체하겠지만 벌써 3번째 구매하려니

슬슬 화가...ㅎㅎ

제가 장비사용을 잘 못한것인지 아니면 다른 조사님들께서도 같은 경험이 있으신지

전동릴에 문제가 있는 것인지 궁금하여 여쭙습니다.


전 국민이 공황상태에 빠져 다들 힘드신데 이런 질문드려 송구합니다.


감사합니다.
Comment '9'
  • ?
    돌핀 2014.04.23 10:09
    전동릴의 연결부분의 돌출된 핀 형태를 살짝 벌리듯 조정해보세요
    새 연결선의 잘못이 아닌 그쪽 문제일 수도...
  • profile
    카파(이찬영) 2014.04.23 11:54
    코드의 연결부위 내부의 컨넥터 연결되는 부위를 서큘라라하는데 그곳의 핀이 탄성이 떨어져 접촉 불량이 되는 경우입니다.
    그곳의 핀 구조와 핀의 탄성이 좋지 못해 일어나는 현상으로 이는 핀구조적인 문제입니다.
    그나마 일제가 국산보다는 더 탄성이 좋으므로 될 수있으면 일제를 사용하는 것이 조금은 오래 사용이 가능합니다.
  • ?
    자연과 바다 2014.04.23 12:13
    돌핀님 감사합니다.
    다음 출조시 꼭 그렇게 해 사용해 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ㅎㅎ

    카파님께 전동릴 수리도 보낸적이 있습니다.
    전문가적인 의견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 ?
    신영아빠 2014.04.23 21:59
    얼마나 많이 다니시는 지는 잘 모르겠으나 3개월만에 그런 증상을 보인다는 것은..
    관리가 잘 안되는 것이 아닌가 싶네요.
    저도 국산케이블을 여러번 사용했지만 못써도 1년은 족히 사용하는 것 같았습니다.
    제 경우를 보면
    1. 제일 많이 문제가 되는 부분은 전동릴쪽 커넥터 근처였습니다. 아무래도 전동릴을 사용하다보면 그부분이 많이 꺽이는 경우가 많아서 그 근처의 구리선이 단선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따라서 낚시할 때 전동릴 근처가 최대한 꺾이지 않도록 사용하는 것이 좋을 듯 합니다.
    2. 집게부분에 녹이 많이 발생합니다. 바닷물에 담가지지 않도록 하고 집에서 민물로 닦아서서 말린 후 wd40이나 그리스를 도포하는 것이 좋을 듯 합니다.
    3. 집게부분 전선에 바닷물이 유입되어 선자체가 산화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겉으로 보면 멀쩡하지만 실제로 선을 잘라보면 선이 전부 산화되어 전기가 소량만 통하므로 무부하시에는 잘 작동되지만 고기가 물거나 하는 부하가 걸리면 전동릴이 꺼지는 증상이 발생합니다. 물칸 등에 집게부분이 담겨지지 않도록 하는 게 상책입니다.
    4. 단자부분에 접촉이 불량한 경우도 있더군요. 이는 수시로 소량의 그리스를 발라주면 좋을 듯 합니다.

    이상 주제넘는 말씀 드렸습니다.
  • ?
    자연과 바다 2014.04.24 07:39
    주제넘다니요
    아닙니다...관심과 구체적인 사례를 통한 답변에 감사할 따름입니다.
    출조는 한달에 두번정도 이구요 전동릴과 커넥터를 연결한 다음 습관적으로
    빠지지 않도록 밴드를 채워 유격이나 꺽임등을 방지하면서 사용하고 있습니다.
    집게 부분에 녹이슬지 않도록 수도물로 꼭 닦고 커넥터 구멍의 물기를 면봉으로
    닦아 보관하고 있습니다.
    다이와 전용 일제 연결선의 내구성이 다소 부족하지 않나 싶습니다.

    신영아빠님의 답변 다시한번 감사합니다.
  • ?
    어사 2014.04.24 14:12
    집게부분은 요즘 국산으로 sus로 만든것 나와요
  • profile
    마라톤 짱 2014.04.25 00:34
    저는 관리부주의로 같은 증상으로 새로 구입하여 사용중입니다.

    저는 이동중에도 선을 연결 하여 가지고 다니다보니

    커넥터 연결부분 바로 아래부분이 접혀지는 현상으로
    끊어져 잘라 고데기로 납땜하여 비상용으로 사용중입니다.

    그 후로는 사용할 때 외에는 항상 분리하여 이동과 보관하면서 관리합니다

    세월호 참사로 출조를 자제하여오다가
    매일같이 종일뉴스에 슬픔도 고조되어 눈물까지 글썽이게되고
    바다사정을 너무도 모르는 출연자들의 언사에 분노와 화가치밀어
    출조라도 다녀와야
    잠시나마 잊어버리고 답답한 가슴을 달랠 수 있을것같아
    모 선사를 따라서 따라서 2박3일 갈치출조를 다녀 왔네요....

    낚시는 흥청거리는 유람이나 관광은 아니기에 안위하며 다녀 왔습니다.

    항상 안낚위주로 즐낚하세요...
  • ?
    자연과 바다 2014.04.25 14:16
    마라톤 짱님 답변 감사합니다.^^

    세월호 침몰사고로 더욱 성숙해진것은 국민의식이고

    나라의 재난대응 시스템은 3류 국가 수준이니...너무 안타깝습니다.

  • ?
    자연과 바다 2014.04.25 14:17
    어사님 답변 감사드립니다.^^

    혹여 어디서 구입할 수 있는지요...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날짜 조회 수
1332 [장비관련] 후지가이드 판매처 2 file 2015.02.07 4134
1331 [장비관련] 후지가이드 에 대해서 궁금합니다 7 2009.01.11 6010
1330 [장비관련] 후지 공업 낚시대 가이드 보수용 장비 file 2022.12.21 1588
1329 [장비관련] 황우럭 사진 1 file 2007.06.16 6768
1328 [장비관련] 황열기&가자미대 추천 부탁드립니다. 4 2018.08.28 3081
1327 [장비관련] 황당한낚시가방도둑 5 file 2008.06.09 6449
1326 [장비관련] 화창한 봄날 휴일의 궁상떨기 (편리한 우럭 바늘집 만들기) 17 file 2017.04.30 9672
1325 [장비관련] 홍합 채취하는 도구 파는 곳 아시는분.. 5 2012.02.03 8984
1324 [장비관련] 홀로그램 재질을 구할수 있을까요? 14 2007.03.03 6113
1323 [장비관련] 혹여 해상용 gps소장만 하고 계신분......저렴하게 취급하는곳 추천부탁드립니다. 2 2007.07.01 4970
1322 [장비관련] 혹시 전동릴 점검방법좀^^ 7 2013.12.30 4186
1321 [장비관련] 혹시 배난간 세로 폭이나 두성 롱슈퍼돌핀이 난간에 세로로 설치가 되는지요 7 2010.03.10 5049
1320 [장비관련] 혹시 발칸딥파이터 사용해보신분 계시나요? 2 2010.04.22 4604
1319 [장비관련] 혹시 .... 1 2003.10.08 4269
1318 [장비관련] 현재 사용하는 합사줄에 대하여.. 5 2011.01.04 7079
1317 [장비관련] 허접 자작 DC 파워 3 file 2007.08.28 4406
1316 [장비관련] 핸드폰 배터리로 전동릴 배터리 만들순 없을까요? 1 2012.11.30 5516
1315 [장비관련] 해혼 EV3000T에 감을수 있는 합사는 도와주세요 11 2004.11.06 6231
1314 [장비관련] 해동딥헌터(200-350s)와 다이와딥죤(200-350)의 연장대 호환 여부 2 2018.11.17 4858
1313 [장비관련] 해동 잭헌터 로드 구입처좀 알려주세요 1 2007.11.25 477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67 Next
/ 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