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알려주세요 배낚시

[기타]
2009.08.16 10:46

조석 발생 기조력

조회 수 4368 댓글 4


간조와 만조, 조금과 사리 발생 원인을 이해
하는데 도움이 될듯싶습니다.
사진은 조금과 사리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사진에서 지구는 고정되어 있지만
실제로는 자전하고 있고 이로인하여 만조와 간조가
발생됩니다.

조석(물때) 발생의 원인

1. 달의 공전

          공전 주기 - 29.5일,  방향 - 서쪽에서 동쪽,  1일 공전각도 - 13도  

          공전축 - 지구 적도의 18 ~ 28도



2. 지구의 자전

           자전 주기 - 24시간,  축 - 23.5도,  자전 방향 - 서쪽에서 동쪽



3. 만조와 간조

           간조와 만조은 달의 인력(잡아 다니는힘)에 지구의 자전이 더하여

           일어나는 현상으로 달과 정면으로 가장 가까울때 만조(상대적으로

           해수위 높음)이고, 지구가 90도 자전하면 간조(상대적으로 해수위 높음),

           180도 자전하면 만조(상대적으로 해수위 낮음), 270도 자전하면 간조

           (상대적으로 해수위 낮음)의 현상을 반복적으로 일으키고 매일 조석

           시간이 조금씩 빠르게 나타나는 것은 달이 1일 13도의 공전 각도

           로 지구를 공전하는 데서 오는 현상입니다.



4. 사리와 조금

           달이 지구를 중심으로 규칙적으로 변하는 궤도를 그리며 공전하고 있는데 사리는

           지구와 태양과 달이 나란히 있을 때(인력이 가장크게 작용할때)로 그믐 사리는

           태양과 지구 사이에 달이 나란히 있을 때이고 보름 사리는 태양과 달사이에 지구가

           나란히 있을때 이고 조금은 태양과 지구의 나란한 축에 달이 90도 각도에 위치할때

           나타납니다.

           사리와 조금은 달과 태양의 인력이 합쳐 나타나는 현상으로 백중사리는 달이 평소

           보다 지구에 현저히 가까이 접근하여 공전할때로 간만에 차이가 매우큽니다.

           쪽사리는 평소보다 먼 궤도로 공전할때 일어나는 현상으로 조수 간만에 차가 적어

           약한 사리라고 합니다.

  

Comment '4'
  • ?
    락피쉬 2009.08.17 08:54
    조석간만에 대하여 자주 글을 읽으면서도 이해가 잘 안되어,
    달의 모양만 봐서는 얼른 구분하지 못하고 항상 조석표를 참고했는데,
    움직이는 그림까지 그려주시니 한결 이해가 쉽네요...
    좋은 자료 고맙습니다!!!!!!!
    두고두고 공부해야 겠네요...
    그림 찜하고 싶은데 방법을 모르겠네요...
  • profile
    민평기 2009.08.17 10:46
    아.. 궁금
    달이 태양 쪽에 있을 때와 정 반대 쪽에 있을 때,
    어느 쪽이 더 세나?!@#$%^
  • ?
    히트 2009.08.17 15:54
    바로 붙여넣기가 않될 경우, 바탕화면등에 복사하신 다음
    원하시는 곳으로 복사, 혹은 첨부파일로 올리실수 있습니다.
    태양과 달의 인력이 동시에 작용하는, 달이 태양쪽에 있을때
    더 셉니다. 하루 2번 조석의 세기가 다른 이유입니다.
  • ?
    락피쉬 2009.08.17 17:59
    고맙습니다.
    두 번째 방법으로 하니까 잘 되네요...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날짜 조회 수
229 [기타] 요즘, 투명어묵 같은것이 바늘에 걸려올라오지요? 7 2007.06.12 5349
228 [기타] 이런경우 좋은 방법이 있으시면 조언좀 부탁 드립니다 3 2007.06.14 4177
227 [기타] 바늘털이는? 2 2007.06.26 5077
226 [기타] 쪽사리? 2 2007.06.29 6303
225 [기타] 이렇게 잡다가는? 4 2007.07.03 3983
224 [기타] 안전을 위한 소품은 어떤것이 더있을까요? 2 2007.07.17 3748
223 [기타] 침선낚시에서 우럭 말고 다른 걸 건지자(황당소식) 4 file 2007.07.24 5206
222 [기타] 8월의 백중사리란? 14 2007.07.24 11613
221 [기타] 백조기 채비 좀 알려 주세요 2 2007.08.15 7668
220 [기타] 기분이 우럭우럭하네! 4 2007.08.22 4235
219 [기타] 태안반도는 왜 작은 침선들이 많은가? 8 2007.08.28 7447
218 [기타] 생강 > 멀미약 4 2007.08.30 5774
217 [기타] 이런 날이 올까요? 1 2007.09.15 4508
216 [기타] 문어낚시가 언제까지 가능한가요?? 6 2007.10.23 8626
215 [기타] 막바지? 갑오징어 오천 도보낚시 (출조 참조 정보 ) 8 2007.10.29 7523
214 [기타] 문어요리 방법 4 2007.11.01 7596
213 [기타] 물고기 이름 알아맞히기 9 file 2007.12.02 5335
212 [기타] 열기채비 2 2007.12.06 6716
211 [기타] (뉴스)태안 유조선 충돌..기름 1만5천t 유출 secret 2007.12.07 2515
210 [기타] 서해를 사랑하는 우리 낚시인이 해야할 일 4 2007.12.14 620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 5 6 7 8 9 10 11 12 13 ... 20 Next
/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