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알려주세요 배낚시

[낚시일반]
2009.07.08 10:17

거의 표층에서 낚이는 갈치

조회 수 5378 댓글 7
제주도에 갈치다녀왔습니다.

7/6일 = 5울 - 6물(사리), 조과: 갈치, 고등어,  참치, 만세기 등 낱마리

조과는 꽝수준입니다. 비도맞고  갈치, 만세기도잡고, 고등어도잡고, 씨알적은 참치도 잡았습니다. 억수로 앞이 안보일 정도 비오는 왠 고등어냐 싶어 박스넣고 집에와서보니 참치더군요.

제주 갈치낚시는 월명과 관계없고(비는왔지만). 수온이 올랐다고 하기에 다녀왔습니다. 그동안 조과는 형편 없었지만 그동안 불편했던 부분들은 하나하나 개선이 되어있었습니다.  물론 전국적으로 조항이 별로인것은 모두가 아는 사실, 그렇기에 비행기타고 제주도까지 출조하는것이 아닌지요?  물론 저련한 출조비용, 빠른 출근과 퇴근...??  조과물의 싱싱함?  덜 피곤함,  뭐 매력이라면 그런것이지요.

알려주셔요?

1. 어군탐지기 화면엔 표층에서 노는 해파리, 만세기, 고등어, 특히 위에 떠있는 각종 풀같은 부유물들 이런 것들과 고기가 화면에 다르게 표시가 되나요?
어떤 칼라, 어떤 모양으로 표시가 되나요?  

2. 제주도는 수심이 무척깊더군요? 그래서 원줄도 길게 감아갔는데, 그런데 집어 등을 켜면 갈치가 표층으로 올라 왔다 하는데 어군탐지기 화면을 보면 거의 표층에 하얏게 뭔가가 흘러가는데 내가 보기에는 해파리와 부유물 같은것 같아서.....죄송 제가 무식해서
여기에서 저의 생각은 제주 갈치어군이  보통 20~30미터 이내에서 형성이 된다면. 표층의 고기들의 성화가 심할건데 마침 그날 저는 한번에 만세기 큰것 2마리를 동시에 걸어 손맛 죽여줘지만 완전 피바다 ... 고등어, 참치, 아주 다양하게 표층고기가 물어주더군요. 제주갈치는 주로 20~30미터에서 입질으을 하는데 표층 녀석들이 아주 극성을 부리는데  방법이 없나요.

3. 물풍선에 대해서 잘 아시는 전문가 계시면 설명부탁드릴께요.  

할말은 많고 그러다 보면 본의 아니게 피해를 입는 분이 계셔 이만 줄입니다.  
    


  

Comment '7'
  • ?
    감성킬러 2009.07.08 10:55
    다녀오셨네요. 시기적으로 아직 이르다는 느낌이 많았는데 출조하셨던 날의
    기상조건까지 받쳐주질 않았던 모양입니다.
    갈치낚시엔 완전 문외한이라 안부를 여쭙는 걸로....
    주셨던 질문에 대한 답변을 함께 기다려 봅니다.
  • ?
    죽조사 2009.07.08 16:58
    1~3번모두 전문적인 지식을 요하는것들이네요... 선장님들이 답변을 주실려나...
    시즌중(9월이후)에 낚시를 하다가
    보통 어탐기를 힐끗보면 표층에서 20M권 사이에 무수히 찍히는 점들은. 집어등에
    현혹된 잡어무리들이며 갈치들은 40M권역에 따로 분리되어 있는 모습을 많이
    보는데.(물론 그중에는/또는 시간에따라 표층까지 움직이는 놈들도 있음....)
    현장상황이 그런게 아니었나보군요. 갈치의 회유층이 잡어층과 유사하다면
    갈치만 솎아내기란 여간해서는 쉽지 않으리라 봅니다. 혹 풀치를 썰어서 미끼를
    써보셨는지요? 미끼중에서는 그래도 갈치만 잡을때 이것만한것도 없긴한데....
    얼핏글을 보기로는 제주도는 달이 밝더라도 조류가 잘가면. 조황이 좋다고 하던데...
    혹 조황이 좋은날이 흐린날이 아닌지....
    제주도만 달이 밝아도 조황이 좋다????... 제주도만의 특색이 있는지는 모르겠으나...
    제 경험에는 닭이밝은날에는 전체적으로 조황이 떨어지지만. 구름이 끼어
    흐린 달밝은 날에는 조황이 좋았던걸로 기억합니다.
    더불어 보통 12시 이후에 갈치들의 입질이 활발한데. 달이 조금 밝아도...
    이때쯤에 달이 수평선을 넘어가는 날이라면. 괜찮았던것 같습니다...
    다만 그런날은 조류의 영향이 많아지는 날이겠죠...
    달이 밝고 안밝고에 따라 조황이 차이가 나는건. 집어등의 효과 때문이라고
    들었습니다....
    볼락낚시를 하다가 보면. 달이 없는 밤에 집어등을 켜보면. 무수히 많은.
    볼락의 먹잇감들이 모이고 그것을 먹기 위해 볼락이 점프를 하는것을 볼수
    있습니다. 헌데. 달이 밝은 밤에는 그런 집어의 역활이 현저히 떨어지는것
    을 볼수 있구요. 달이 밝은 밤이라고해도. 밤새 입질이 없다가, 달이 넘어가면
    폭발적인 입질을 보이기도 하구요. 이게 다 집어등의 효과를
    달이 빼앗아 가느냐 아니냐의 문제라고 봅니다.
    물풍은 자세히 모르나. 배를 견인해 주는
    역할을 충분히 하기위해서는 그 크기가 배에 적당히 맞아야 하며, 물풍을 잘못
    놓아 엉킴이 발생하게 되면 물풍의 역할을 하지 못해 조황이 떨어지는걸로 압니다.
    근데 실제로 물풍이 조금 잘못 놓여져도 다시 놓기 귀찮아서 그냥하는것도 봤습니다. 더불어 조류가 엉망(전후좌우)일 경우도 풍이 배 정면에서 끌어주지 못하고
    배에 끌려가는 장면도 보았구요.
    그런 상황이라면. 조황은 현저히 떨어지겠죠...
    풍의 역할이 조류에 맞춰 흘러가는 고기에 맞게 배를 이끌어주는거라고 한다면.
    상황이 풀의 역할을 하지 못하는 경우라면.... 조황은 훨씬 떨어질수 밖에 없겠죠...
    모두다 전문적인 내용이라 제가 아는것은 단편적이라 뭐라 말씀을 못드리겠네요.
    다만 확실한것은... 갈치 잡기에 7월달은 아닌것 같습니다.
    조금만 더 참으셔서 9월이후에 출조하시는게 어떠실련지....
    더구나 지금 갈치는 그다지 맛이 있는것도 아니잖아요...
    제 생각은... 갈치시즌초반에 돈 다내고
    갈치 낚시하는건 선장님들 욕심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물론 조황이 좋지 못해서 선장님들이 조사님들께 미안함은 있겠지만.
    제일 피해는 출조나가시는분들이니까요...
    "바닷바람 쐬면서 기분전환한다 생각하면서 고기 욕심내지 말고 즐겨라"
    라고 한다면....
    글쎄요... 10만원(이것도 비싸긴합니다)이 안되는 우럭낚시에서는 그런
    성인군자의 마음이 나오겠지만... 갈치는... 월급쟁이들에겐... 너무나 큰
    부담이잖아요... 그러니까... 일년에 한번을 가더라도 확실한때에
    가는게 스트레스 적게 받는 일인것 같습니다.
  • ?
    김포신사 2009.07.08 18:25
    추석 지나고 벼 수확 할때 그때부터가 적기인데.....
    월명때는 피하고.칠흙같이 어두운날 갈치와 데이트란 상상해........
    다른쪽 보다 제주도가 최고죠.경비 따지면 다른곳 보다 저렴 합니다
    피곤도 덜하고......비행기타고 하늘날고.낚시점까지 총소요시간 짧고......
    하늘날때 이쁜 애기들이 음료수도 주고...ㅎㅎㅎㅎ .한번 가시죠...
  • ?
    흐르는물 2009.07.09 07:16
    감성킬러, 죽조사, 김포신사님께감사드림니다.
    여러분들께서 지적하신부분들은 모두 시도해봤습니다.
    고기가 욕심나서 그런것도 아니고 다만 3명의 일행이 항상 함께하면서 여러 방법(미끼, 집어등, 물때, 바람, 월명등등 )을 시도해봤습니다.
    그러나 저희들도 이유를 알듯하지만 더이상 확대시키지않고 여기서 줄이려합니다.
    낚시란 꼭잡아서가 아니라 과정도 중요한것이라서 우리조사님들보다 선사들의 노력이 좀 아쉽다는것입니다. 선주, 선장, 가이드의 역활이 얼마나 중요한가를 다시한번생각해봅니다. 감사합니다.
  • profile
    晝夜釣思(주야조사) 2009.07.09 08:58
    흐르는물님, 죽조사님, 칼치낚시에 대한 좋은 정보 갑사드립니다.
    정말 가고 싶은 갈치 낚시....
    경비가 만만치 않아 망설이는 분들이 많은데, 모처럼 큰 결심으로 떠나
    조황이 기대치 이하로 돌아 온다면.... 그 기분.... ^^*

    갈치 낚시는 '9월 이후가 적합하다' 는 정보에 감사드립니다..
  • ?
    죽조사 2009.07.09 13:14
    갈치낚시 다니다보면... 제일 꼴불견(?)이...
    미끼 몇마리 썰어주고 혹은 썰어주지도 않고 풍내리고
    호텔숙박하시는 선장님들....
    초보조사님들 채비가 엉키나 마나 신경 안쓰고 자기 고기 잡기에
    혈안이 되신 선장님들... 많죠...
    뭐 위에서 말한 정도 까지를 이야기 하시는것은 아닐테지만서도...
    그에 반해 어떤 선장님은
    낚시인들의 경험에 따라 자리 안분을 하고,
    또 잠을 자지 않고 밤새 초보꾼들 지도해주며
    그분들이 저지를수있는 실수(?)로 인해 다른분들께
    피해 안가려고 노력하시고,
    또 수시로 고기 유영층을 체크해서 알려주는등...
    이런 노력이 보이는 분도 있지만...
    고기가 안잡히는 날은 어쩔수 없더군요...
    아마 낚시꾼이 바라는것은 그 "노력"을 바라는것이겠죠.
    우럭낚시를 가더라도 그런 "노력"하는 모습이 보이면
    고기를 못잡아도 기분이 좋더군요...
    고기가 많은날은 그런 부분도 크게 영향을 주지 못하니...
    조황이 좋을때 골라서 출조해보시는게 좋을듯 합니다. ^^
  • ?
    거문도비너스 2009.07.09 15:07
    먼저 저보다전문가들께서 딴지걸지마시고..(제 객관적인 견해이므로^^)

    1:표층에 나타나는 어군이라보여지는 그무언가는 우리가 목적하는어군은 아닙니다
    정확히말씀드리자면 플랑크톤(일명 자애라고도 함),멸치,갈고등어(새끼고등어),
    전갱이,오징어,등등 일명 빛을쫒는 추광성을지닌 먹이사슬 가장 아래부분을 차지하
    군단이라 보시면 됩니다
    제가 언젠가 말씀드렷던 바와같이 갈치는 추광성이 아니지만 집어등을켜면 모이는
    이유는 이러한 작은 먹이를 먹기 위함이고여...
    플랑크톤과 자애등이 많을땐 어탐 위에서 바닥까지 꽉차게 느껴질때도 많음..
    또다른 하나..갈치는 군집성어류가 아니므로 어탐엔 식별 불가 합니다
    하긴 누군가 갈치는 서있는모형을하므로 위아래로 길게느껴지는 화상이보이면
    바로그게 갈치라고 공갈(?)을 치기도 하더이다만은 ㅎㅎ
    보통화면에 나타나는 붉은 반점형태로 나타나는 형상은 군집성을 이루는 멸치,고등
    어,전갱이,고등어등 작은 어류의군집체가 어탐의 전파를 통과중임을 표시합니다
    참고적으로 말씀드리면 여러분이 이런걸 이해해야할 의무는 전혀 없습니다 ㅎㅎ
    2:제주가 수심이깊어 월명과관계없는건아니며 활성도가 좋을때라면 달과 관계없이
    잘물어준다고 비중을두시면 될것으로보이며 다만 달이 너무 밝으면 집어효과가
    떨어진다는건 자명한 사실입니다
    3:물풍(씨엥커)에 대해선 각선장들이 자기 선박에맞도록 시행착오도 거듭해가며
    자기 선박에 가장맞는 상태로 만들어가야 합니다
    딱히 어느게 가장좋다는건 누구도 장담하기 힘든부분이나 지금까지의 경험치로 비추어 이게 자기의 선박에 가장맞다...라고 판단될때 그렇게사용 하는것입니다
    해서 경험과 비경험의 차이가 나는것이며 경험이 많은 선장을 선호 하는겁니다
    그리고 여러분이 보시기에 처음 풍을 펼칠때시원하게 잘펴진 상태라고해서 그상태가 물속에서 그대로 유지한다는생각은 하지 말아주세요 .엔진의힘으로 풍상태를 확인하여 꼬임이 있는지 유무를 확인후 꼬임등을 정리후에 물속으로 투하 하는데 이 투하하는과정에서 다시 물풍은 줄어들어 물속으로 내려가므로 잘펴져있는지의상태는 눈으로 확인하기 불가하며 다만 좋은상태인지 여부는 경험이 많아야만 가능합니다.일태면 물때도 계산해야하고 장소마다 물흐름이 다르므로 위치 확인해야하며 제일좋은방법으론 가까이있는 동선단(같이 작업하는선박)끼리의 교신등으로 자기 선박의 선속이 올바른것인가를 판단 하게 됩니다
    하여 각개인의 선장의 능력보다 선단이 좋은가에따라서 조과가 좌우되기도 합니다
    따라서 1등선장들이 많이 모이는선단이 가장 조과가 좋은것이 우연은 아닙니다
    갈치는 우연히 잘되기보단 선장의경험,노하우,호정보가 가장중요함입니다
    따라서 작업중에 선장이 이동을 한다거나 풍을 다시 올려야한다하면 재빨리 이에 순응하시는게 좋습니다(하긴 이동 안하고 갈치잡을수있다면 더욱좋고 명선장호칭도 받지만...^^)
    통상적으로 여러분께서 판단하기 좋은방법은 옆사람과의 꼬임이 평시보다 많이 발생한다면 풍의상태를 의심해도 됩니다
    가장안좋은경우는 줄이 앞으로 쏠리는것(풍의 밀림현상)입니다
    가장좋은것은 줄의상태가 약간 뒤로 흐른듯한경우가 가장 좋고여...
    그외 여러가지 요인등이 있음이나 글로 다표현하기엔 무리성도 있습니다
    이러한 일들외에 꼭 더 알아야 할일이라면 개인적으로 전화하셔도 됩니다
    장사속으로 연결될걸 의심마시고 전화하세요 ㅎㅎ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날짜 조회 수
42 [낚시일반] 서해안 갈치낚시 시대가 왔습니다. 20 2009.09.08 7778
41 [기타어종낚시] 갈치의 정확한 명칭에 대하여.. 2 2009.09.06 4572
40 [낚시일반] 과연 좋을까? - 갈치낚시 '자석정리판' 사용 보고서 9 2009.08.31 8051
39 [낚시일반] 알려주세요...갈치 줄 태우는 방법? 7 2009.08.26 9907
38 [장비관련] 갈치낚시 배터리 문의 3 2009.08.26 6432
37 [낚시일반] 갈치 낚시 4 2009.08.26 8216
36 [낚시일반] 갈치 원줄, 목줄 채비 파는 곳 추천해 주세요~ 3 2009.08.25 7254
35 [장비관련] 갈치낚시 중 서서히 감아 올리는 기술에 맞는 전동릴 추천좀.. 6 2009.08.24 13917
34 [물고기정보] 시마가쓰오 - 갈치낚시 중 올라오는 희귀어 5 file 2009.07.21 7715
33 [낚시일반] 갈치선사들의 써비스경쟁을 보면서...꿈을 꾸어봅니다. 6 2009.07.17 5577
32 [지역정보] 고흥 갈치낚시 알려주세요 16 2009.07.15 6682
31 [낚시일반] 올해 갈치낚시는 언제쯤 가면 좋은가요?? 4 2009.07.13 5955
» [낚시일반] 거의 표층에서 낚이는 갈치 7 2009.07.08 5378
29 [낚시일반] '흐르는물'님의 갈치낚시 경험담에 이어... 6 2009.07.06 5727
28 [낚시일반] <b><font color=green>//갈치//</font></b>갈치낚시 (노하우)경험기 9 2009.07.02 7067
27 [낚시일반] 갈치낚시입문 하려고함니다 노하우좀 일러주세요. 8 2009.07.01 5862
26 [낚시일반] 갈치낚시용 지그헤드 3 2009.06.04 5591
25 [지역정보] 제주도 갈치낚시 정보 부탁합니다!! 3 2009.05.12 5824
24 [낚시일반] 2009갈치낚시의 새로운 보물섬 2 2009.04.26 7555
23 [낚시일반] 요즘 갈치가~~~ 8 2008.12.13 555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Next
/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