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알려주세요 배낚시

[루어관련]
2014.09.15 10:56

뜬 구름잡는 용어를 알려주세요

조회 수 3685 댓글 3

루어 장비, 특히 낚싯대 설명을 볼 때 마다 느끼는건대 영어로 된 용어가 무척 난해합니다.

이를 정확하게 알려주셨으면 감사하겠습니다.


어렵지 않은 영어단어니까 뜬 구름잡듯 해석해 왔고, 그간 큰 문제가 없이 지내왔지만 은근히 짜증나네요.


1. 지깅이라는 용어의 명쾌한 설명(예: 지그를 이용한 낚시......이런 설명말고.)

2. 베이 지깅 - 大洋에서 트롤링을 하지 않을 바에야 거의가 베이 지깅일텐데... 다른 뜻이 있나요?

3. 라이트 또는 헤비 지깅 - 라이트의 범위는 어디까지 일까요?

4. 저킹과 파핑등


덕분에 용어가 명쾌해졌으면 합니다.

Comment '3'
  • profile
    어부지리(민평기) 2014.09.15 18:36

    특히 루어낚시 쪽에 그런 게 많지요.
    주로 최초 발생지 용어를 가져오다보니...
    영어뿐만 아니라 일본어도 그렇습니다.


    처음에 선구자 위치에 있던 분이나
    이를 다뤘던 매체에서 정리를 좀 더 했으면 어땠을까 하는 생각도 듭니다.

    처음에 저는 '에기'라는 단어를 무척 싫어했습니다.
    일본어를 웬만큼 아는 사람도 모르는 단어라죠.
    영어권에서는 에기를 '오징어 지그(squid jig)'로 정리했나 봅니다.


    각설하고 "지깅은 지그를 가지고 하는 낚시다" 이상의 설명이 없을 것 같습니다.
    지그의 정의는 생략하고... (바다에서는 메탈지그를 기준으로 생각하면 될 듯)


    낚시를 분류할 때 사용하는 미끼를 가지고 나누기도 합니다.

    생미끼낚시
    루어낚시
    둘 다 미끼를 기준으로 나눈 겁니다.


    루어 중에
    지그로 하면 지그낚시
    에기로 하면 에기낚시
    스푼으로 하면 스푼낚시


    영어로는
    운용한다는 의미의 [ing] 또는 낚시의 [fishing]과 결합하여
    지깅,에깅,스푸닝,플러깅,스피너베이팅,소프트베이팅...


    참... 지그낚시나 에기낚시를
    지깅낚시, 에깅낚시라고 하는 경우도 있는데 이건 지양해야 할 용어죠.
    또 하나의 <역전앞><아는 지인> 같은 중복어를 만든 셈이니까요.
    지깅, 에깅... 이게 맞는 표현이죠. 간결하기도 하고.


    파핑은 포퍼낚시인데, 포핑이 올바른 말이겠죠.
    아니면 그 루어를 파퍼라고 부르든가^^.

    암튼 <미끼 이름+ing>는 그 장르의 낚시라는 얘기죠.


    안 써서 그렇지 미꾸라지를 영어로 쓰고 ing를 붙이면 우럭낚시의 또 다른 표현이 될 겁니다.
    브라보 미꾸라징! 보통 민어는 새우잉으로 낚는다^^*


    베이지깅은 다이와에서 사용하는 용어입니다. =라이트지깅.

    라이트와 헤비지깅의 명확한 경계는 없습니다. 아마 상식선에서 대충 나누죠.

    저킹은 단어 뜻대로 홱 재빠르게 낚싯대를 쳐올리는 동작이죠.
    휙휙 움직이는 루어를 저크베이트라고 하고...


    생각나는 대로 쓰다보니 중언부언 왔다갔다입니다.~~

  • ?
    도래 2014.09.15 19:50

    기대했던대로 어부지리님이 답을 주셨네요. 감사드립니다.


    "처음에 선구자 위치에 있던 분이나 이를 다뤘던 매체에서 정리를 좀 더 했으면 어땠을까 하는

    생각도 듭니다."

    본문에 제가 하고 싶은 말을 적어놓으셨네요. 어부지리가 바다낚시, 특히 선상낚시에 관한 용어를

    정리하는 소통의 장이 되었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합니다.


  • profile
    전동릴 2014.09.15 22:53
    지깅이나 파핑 한 단어 설명만으로도 a4용지 3~4장은 어렵지 않게 서술됩니다.
    너무 방대한 양의 질문인듯하니 이중 정말 궁금하신게 있다면 포괄적인 질문보다 국부적인 질문을 하시는게 좋다고 생각합니다. 요즘 제가 지깅조행을 하고있는데 질문에 맞춰 중간중간 아는 범위에서 답변드리겠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날짜 조회 수
3688 [낚시일반] 혹시....쿨러에 드라이 아이스 써보신 조사님 계신가요?? 3 2016.08.10 6500
3687 [낚시일반] 서울, 인천에서 오천항 가는 셔틀버스 있나요? 2016.08.09 6105
3686 [장비관련] 원터치 클립을 찾고 있습니다. 6 file 2016.08.05 3718
3685 [낚시일반] 광어를 싱싱하게 보관하는 방법 좀 알려주십시오 10 2016.08.04 14560
3684 [낚시일반] 갈치낚시미끼 4 2016.08.04 9978
3683 [낚시일반] 백조기 낚시 물때 4 2016.08.03 10800
3682 [장비관련] 갈치낚시대 2 2016.08.03 6836
3681 [낚시일반] 통영으로 밤볼락 지금 갈려구 하는데 선상으로 ...알려 주세요~^^; 1 2016.08.02 2406
3680 [조행후기] 격포로 떠난 민어낚시 여유 25 file 2016.08.02 11113
3679 [장비관련] 바낚스 카이젠300사용방법 좀 여쭙겠습니다 3 2016.08.01 4852
3678 [루어관련] 참돔 타이라바 전용릴의 기어비는 어느것이 좋을까요? 2 2016.07.29 10248
3677 [장비관련] 농어대와 민어대 추천 부탁해요 3 2016.07.28 8062
3676 [루어관련] 참돔 타이라바 유동식과 고정식의 장단점 비교 9 file 2016.07.26 6748
3675 [조행후기] 서해 외수질에 감성돔을 낚다. 2 file 2016.07.26 5231
3674 [루어관련] 참돔 타이라바 합사 원줄 선택은 ? 4 file 2016.07.25 18003
3673 [루어관련] 참돔 타이라바낚시에 감는 속도가 중요한 이유. 6 file 2016.07.24 9784
3672 [낚시일반] 문어낚시 8 2016.07.24 10970
3671 [장비관련] 떼루 (금병죽) 초리대 살수있는곳 알려주세요 2 2016.07.24 2064
3670 [지역정보] 통영 문어낚시 1 2016.07.23 21749
3669 [조행후기] 여수의 2박3일 문어낚시 조락기(釣樂記) 22 2016.07.20 1257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 224 Next
/ 2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