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알려주세요 배낚시

[장비관련]
2003.11.06 12:49

어초낚시

조회 수 8574 댓글 2
어초 낚시 질문이 있어 또 궁금해지는건 어초에 최대한
가깝게 내릴때와
어초와 거리가 1미터 정도의 거리로 내릴때 조과는 어떨까요?
위 질문은 수심30미터 정도일때 입니다
Comment '2'
  • ?
    푸른갈매기 2003.11.06 15:30
    어초의 가장 이상적인 투입 수심이 30m 전후입니다.
    어초에서 1m 띄운다는 말은 밑걸림시 신속히 반응하여 빠져 나오는
    높이를 말하며 대부분 이방법을 사용합니다.
    채비손실이 적은 안정적인 방법이라 할수 있겠습니다.

    하지만 조금더 생각해보면..
    최초에 수심이 30m이고 1m를 띄우고 입질을 받고 고기를 잡아 올렸다면
    다음 입수시에는 29m만 줄을 내려도 됩니다.(질문하신 내용)
    이런 방법은 크기가 큰 침선에서 활용하면 좋을듯 싶습니다.
    침선이던 어초이던 고기의 유영층을 노려야 하기에
    높이는 가늠할줄 알아야 겠습니다.

    하지만 배를 항상 같은 자리에 댈수는 없고 어초 주변의 바닥이 항상 같은 수심은 아닙니다.
    경험상 바닥을 끌어보면 어초에 진입하기 직전 수심이 깊어 지는 것을 느꼈습니다. 또한 어초의 바닥에는 광어가 많습니다.
    1m를 띄웠다면 광어 잡을 확률은 떨어진다고 보아야 할것 같습니다.

    말이 엉뚱한 방향으로 흘렀네요..
    제 생각은 최초의 고기 잡은 조건을 염두해두고 수심을 계속 파악하여
    유동적으로 대응해야 한다는 말을 하고 싶습니다.

    안정적이고 채비 손실이 적은 방법은 1m를 띄운방법..
    광어나..바닥층의 고기를 잡으며 신속히 어초를 넘는 방법은
    채비 손실이 많지만 광어를 잡을 확률이 높다는점...
    최초로(기준이되는 수심) 고기 잡은 수심과 차이가 날경우
    배는 어초를 벗어난 상태라는것...

    선장님이 어탐을 정확히 파악하고 멘트를 해준다면...
    낚시가 잘될것 같습니다.
    어초 낚시시 선장님께 위와 같은 주문을 해보시는 것도 괜찮을것 같습니다.

    바닥입니다...어초에 곧 들어갑니다.. 뒷부분 어초에 들어갔습니다..등등..
    어초낚시 시즌입니다..
    좋은 결과 있으시기를...


  • ?
    NFC전동릴 2003.11.06 15:55
    일전에 기고한 글을 다시 가져 왔습니다.
    어초나 침선이나 비슷하다고 보고요.ㅎㅎ
    물심이 빠르지 않을때 사용하는 방법입니다

    일단 수심이 50미터이고 침선이 3미터짜리라고 봅시다.
    그러면 낚시시작~~~
    배는 침선에서 약30~40미터 떨어진곳에 배가 섭니다..
    삐~~소리 와 함께 줄을 내리겠죠..
    그럼 추는 바닥으로 향하고 있고 배는 조류에흘러 침선쪽으로 가고 있겠죠..
    그럼 저는 첫입수에 바닥에 닿은 추는 침선을 피해 3미터 감아야 하는데
    조금만(약1~2미터)감습니다
    조류가 어떨런지는 모르겠으나 3미터 침선은 배가 흘러가며
    추가 저절로 1미터정도는 뜹니다(배가 조류에 흘러 줄이 약간 흐른다)
    그런데 그런방법으로 하다 줄이 침선에 걸리면 다음입수시 1미터더 감습니다..
    그런방법으로 침선에서 바늘이 침선에 걸리는걸 방지합니다.
    여기까지는 뭐 그럴수있다 하지만..
    노하우는 이제부터..(수심계가 붙어있는릴이 꼭필요)
    고기(우럭)는 그날그날 상황에 따라 바닥에 있거나 1미터떠있거나
    더높은 수심에도 떠있는경우가 있는거 같습니다
    (물에 안들어가봤지만 자료 동영상을 보니까 그러네여)
    줄을 흘리다 고기가 물어줄때 수심계의 미터를 확인합니다.
    (고패할필요는 별로 못느낌)
    그럼 고기가 노는 유영층(바닥에서의 높이)이 확인 된거죠....
    그 다음부턴 줄을 완전히 내리지 않고
    물려준 수심층까지 줄이 풀리면 추가 바닥에 닿지 않아도 줄을 고정시키고 낚시대만 잡고 있으면 됩니다.그럼 바늘도 덜끊키고 고기도 타인 보다 약간 좋은 조과를 올릴수있다고 생각합니다(저의 경험과 생각..)

    그러나 바닥물심이 쎌때에는 생각을 달리하셔야 합니다.
    잘못하다간 추가
    바닥에서 높이떠서 둥둥 흘러갈수 있으니까요~~
    지금까지 말씀드린건 바닥조류가 쎄게 흐르지 않을 경우입니다....
    물심이 쎌경우에는 또다른 방법을 사용해야겠죠~~즐낚하세요.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날짜 조회 수
4470 [알림] 갈치낚싯배 리스트 정리 중... 56 2014.07.12 104766
4469 [기타] 잡아온 싱싱갈치를 갈치김장하고 갈치젓갈 담고 또 갈치속젓을 만들기(레시피) 32 2014.12.11 61920
4468 [장비관련] 전동릴 3000BM(무적) 설명서 3 file 2010.12.23 36459
4467 [낚시일반] 혹시 강화도에서 배낚시 가능한 곳이 있나요? 3 2007.07.07 35699
4466 [조행후기] 동해 황열기 낚시를 다녀온 조행기 및 채비법. 26 2020.02.20 35083
4465 [기타] 인천 쭈꾸미철 언젠가요? 2 2003.10.16 32395
4464 [가격정보] 유명한 흑산도 홍어와 대청도 홍어의 가격 및 맛의 차이점은? 34 file 2014.03.24 29975
4463 [낚시일반] 갈치낚시물때 6 2015.11.20 29961
4462 [낚시일반] 쭈꾸미.갑오징어 보관법 알려주세요 3 2010.09.21 29527
4461 [장비관련] 쭈꾸미 채비의 종결자 26 file 2011.09.27 29248
4460 [조행후기] 불멸의 가거초 '나바론 수중 요새' 2차 공격기(조행 안내) 38 file 2018.01.14 28889
4459 [낚시일반] 봄에 주꾸미낚시는 왜 안 하죠? 16 2010.04.29 27625
4458 [낚시일반] 갈치낚시-꽁치 미끼 써는 법? 6 2010.09.28 27225
4457 [낚시일반] 줄 꼬임이 덜하고 빠른 운용법의 갈치 낚시 목줄 (자작채비) 20 2017.07.02 27049
4456 [먹는이야기] 구박받던 풀치의 화려하고 기막힌 변신(맛깔스런 갈치젓담기 레시피) 52 file 2012.12.02 26857
4455 [먹는이야기] 갈치손질법알려주세요 12 2018.05.13 24866
4454 [루어관련] 초,중급자를 위한 문어낚시 (장비와 소품 그리고 낚시 요령) 22 file 2018.06.30 24709
4453 [낚시일반] '쭈갑의 전설' 천수만 해역. 손맛까지 쫄깃한 가을걷이.(+주갑낚시 팁) 24 file 2017.10.01 24683
4452 [낚시일반] 전동릴을 사용한 주꾸미&갑오징어 낚시 후기 25 2010.10.27 24475
4451 [낚시일반] 갑오징어 물때? 1 2018.10.04 24012
4450 [낚시일반] 광어 다운샷요령 5 2017.11.02 23986
4449 [알림] 왕갈치의 꿈 그리고 아주 간편한 집어등 걸이 및 줄걸이 만들기 45 file 2016.11.01 23894
4448 [낚시일반] 동해 황열기 채비 선택 고민..? 13 2020.03.01 23736
4447 [낚시일반] 낚시배/어선 허가사항 차이점이 뭔가요..?? 4 2014.03.13 23664
4446 [먹는이야기] 주꾸미머리는 삶아서 먹어도 되나요? 7 2013.10.31 23345
4445 [조행후기] 제주 갈치낚시배... 방주호!! 절대!! 안타렵니다!!! 74 2011.10.02 23324
4444 [루어관련] 선상 광어루어용 다운샷채비, 바늘&봉돌 묶음법 동영상 15 2010.11.16 23176
4443 [장비관련] 갈치대 추천 9 2017.09.18 22291
4442 [조행후기] 주꾸미와 갑오징어 낚시 세 가지 운용술에 대한 고찰. 12 2019.10.21 22290
4441 [낚시일반] 갈치낚시 물때는 언제가 제일 좋은가요... 3 2013.06.13 2222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49 Next
/ 1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