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알려주세요 배낚시

겨울에 뽈락 좀 가 볼려구 돌아다니다 보니
몇칸 몇칸대 아무거면 된다고 합니다.
한칸의 길이가 어찌 계산 되는지요?
Comment '6'
  • ?
    푸른갈매기 2003.12.13 13:11
    한간(칸) = 55 cm입니다.
    3간대면....165cm(우럭 낚시대에 많이 사용하지요.)

    볼락 외줄낚시에 사용하는 낚시대는 5간(2.75m)정도를
    많이 사용합니다.
  • ?
    nfc 전동릴 2003.12.14 21:17
    볼락 낚시를 가신다구요...

    갯바위를 즐겼던 저는 이맘쯤이면 거제의 구로라나 미조,해금강에서

    주간 돔 낚시와 볼락 낚시를 즐겼던 기억이 납니다

    다른 낚시 와 달리 야간에 후레쉬를 비춰 불빛 보고온 볼락을

    민장대에 카트 체비를 사용하여 4~5 걸이로 잡았으며 5 ~ 60 마리 잡아서

    바다가 보이는 민박집에서 (해금강입구 민박집 OO 횟집)

    회,소금구이와 이슬이로 즐거운 추억을 가지고 있습니다.

    볼락은 민물,바다 민장대와 2호이상 5,4급 갯바위 찌낚시대를 사용하며

    체비는 현지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세요.



    그런대 저는 한칸의 길이를 1.8 미터로 알고 있습니다.

    그래서 오래 묵혀 놓았던 민물 낚시대를 보니 5칸(8.9M)로 써있던데

    민물대와 바다대 칸의 개념이 다른가???



    민장대를 제외한 바다 릴대는 보통 호수와 길이가 적혀져 있습니다.

    선상 낚시대는 적정 추의 홋수 , 낚시대의 길이가 적혀져 있습니다.

    예) 80 - 180 라고 적혀 있으면

    이 낚시대의 적정 추는 80호(280g)이며 그길이는 1.8 m입니다..

    100 - 210 이면 100호 추 사용과 210m 낚시대라고 이해하시면 됩니다

    릴대를 몇칸대라고 물어보거나 얘기하는걸 들어본적이 없는데...쩝..

    보통 바다릴대는 그 종류가 엄청많아 말씀 드리기가 뭐하구요

    예)돌돔대,트롤대,지깅대...............................

    우리나라에서 생산해서 사용하는 릴대의 호수에는

    0 ~ 100호까지 사용하며 본인이 사용한 가장 굵은 호수의 낚시대는

    제주 젯방어를 잡기위해 15년전 한라?백두?라는 낚시대를

    사용해본 기억이 있습니다..

    100호 낚시대 굵기는 꼭 당구 큣대에 가이드를

    약간 촘촘하게 끼운걸로 상상 하면 됩니다

    기회되면 꼭 종류를 올리겠습니다..............



    암튼 저의 결론은 한칸 = 1.8 미터로 알고 있습니다..(민물과 바다는 다른건지)

    어덯게 한칸이 55cm인지 저도 궁금 합니다....
  • ?
    nfc 전동릴 2003.12.14 21:25
    칸의 개념을 생각하다보니


    중요한걸 빼먹은것 같아서요...

    주로 바다대는 몇칸이라고 부르지않고

    O 호에 O m 대 이렇게 말합나다........

    바다 민장대가 없을시 민물 카본대 보다는 무겁더라도

    그라스롯드대를 사용하시구요,

    릴대는 선상이라면 3m 전후의 던질대 종류(잉어 릴대)를 사용하시구요

    갯바위나 대트라포트(방파제)낚시라면 2호에 5,4m 낚시대를 권합니다
  • ?
    푸른갈매기 2003.12.15 13:49
    낚시대의 1칸은 1.8m가 맞습니다.
  • ?
    광태공 2003.12.16 19:23
    그렇쵸? 한칸은 1,8m가 맞습니다. 그리고 바다대는 보통 몇호 몇m로 표기 되고 있으며 보통 갯바위 낚시에서 1호 5,4m 정도를 많이 사용하고 있습니다.
    볼락.열기등 선상에서 사용시는 주로 약 3,7m정도의 전용대를 사용하면 카드채비 사용시 엉킴을 줄일수 있는데.....볼락도 갯바위에서는 릴찌낚시와 민장대채비로 구분하여 낚시 할수 있으며 그때마다 낚시대도 달라집니다.
  • ?
    뽈라구 2004.02.14 11:30
    맞읍니다
    민장대는 1칸이 1.8메타이고
    릴장대는 1칸2칸 이러는게아니고
    주로 1-5.3/2-5.3 이라는데요
    1은 초릿대끝의 직경이 1미리 정도라는말이며 길이가
    5.3메타라는말리죠 이건 주로 감성돔 릴 장댄데
    갯바위용으로 쓰죠

    2-5.3 3-5.3 등으로 앞의숫자가 클수록
    방어 부시리 참돔등 큰 고기를 노릴때 쓰는데
    대부분 5.3메타는 갯바위용 입니다
    생각해보세요 5.3메타 짜리로
    배를 휘젓고 다니면 옆사람이랑 엉기겠지요?
    강티당합니다 그러면..
    선상에서는 릴장대를 주로 3메타에서 4메타 짜리
    내외를 많이쓰고 남해에서는 볼락/까지메기(농어새끼)/
    고등어/메가리등 표층에서 노는 고기를 노릴때 민장대를
    쓰는경우가 많읍니다 이때도 대부분 3칸대 범위내에껄 씁니다
    옆사람이랑 걸리니까...어쨌든 1칸은 1.8메타고 그러면 3칸은
    5.4메타네요...그러면 2칸반은?===2칸 3.6메타+ㅇ.0메타===4.5메타..
    딩~동~댕~ 4.5메탑니다선상 뽈라구낚시때...젤~많이씁니다...
    2칸대랑...
    근데...그거들고 가족들이랑 갯바위에서 드리우고 있으면
    쪽~팔립니다 거기엔 거기에맞게 갯바위 릴장대를 쓰셔야죠..
    참고로 저는 창원에살기때문에 남해근처에 낚시를 자주가는데
    약 ㅇ.8-2.5정도 릴장대를 쓰거던요
    볼락카드에서 바늘몇개떼어놓고 쓰면 속전속결이라
    애용하는 애장댄데요
    일전에 막내동서가 서해 태안반도 안흥항 근처가 고향이라
    우럭 배낚시를 따라갔는데 별 생각없이 이 릴대를 가져갔는데
    아~이넘의봉돌이 얼마나큰지 에밀레~종만합디다.
    80홋메 봉돌을달았더니..봉돌무게 때문에 남해서 뽈라구 100마리
    걸은것처럼 릴 장대가 쳐져서 사용을 못했다는거 아닙니까
    ㅠㅠ

    참고로 하시고 좌우간 장대는 민 장대와 릴장대로 크게
    구분되는데 민장대는 1칸이 1.8메타고
    릴장대는 그런거 없이 걍~몇호에 몇메타로 쓴다 정도로 아시면 되겠네요
    그럼~~~~~~~~~~~~~~즐~낚~~~~~~~~~~~~~~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날짜 조회 수
4290 [기타] 요즘은 선상낚시 음주 철저히 제한되나요? 2 2021.05.26 2955
4289 [장비관련] 다이와 시보그 150J vs 시마노 포스마스터 400 6 2021.05.20 2349
4288 [기타] 갈치와한치 1 2021.05.19 1870
4287 [조행후기] 통영,진해권 한치 모든배들 완전몰황 조황임니다 8 2021.05.18 2406
4286 [낚시일반] [영상] 군산권 참돔 대물시즌시작 #142 2021.05.17 801
4285 [조행후기] 인천 남항 '백마호' 광어 다운샷 조행기. 2 2021.05.16 2294
4284 [낚시일반] 초심자를 위한 대광어 시즌의 광어다운샷 기초 이론 - 삼길포 동성호 선장님의 10년 노하우를 풀어냅니다 2021.05.10 1417
4283 [조행후기] 광어다운샷 선상낚시 대광어 시즌 텅 이제 시작!!! 영흥도 명성호 대광어 탐사출조 2021.04.30 1638
4282 [조행후기] 4월 하순의 격비도 여행 - 서해 봄바다 우럭낚시를 다녀왔습니다. 14 2021.04.25 2533
4281 [낚시일반] [영상] 시즌시작 광어 다운샷 #141 2021.04.25 1099
4280 [낚시일반] 동성호 선장님이 알려주시는 선상 광어다운샷 낚시 기초강의 2021.04.22 1438
4279 [낚시일반] 돌문어낚시대 추천해 주세요~ 7 2021.04.04 2448
4278 [장비관련] 가장 간단한 수평 광어 다운샷 채비 방법 2 2021.03.29 3263
4277 [낚시일반] [영상] 쉽게 배우는 낚시바늘 묶음법#137 1 2021.03.20 2896
4276 [낚시일반] 제주 방어+돌돔낚시 조언을 구합니다.. 7 2021.03.04 2789
4275 [낚시일반] [영상] 마라도 열기.붉벤자리낚시#135 3 2021.02.12 4103
4274 [낚시일반] 전동릴 사용관련 시마노 플레이즈 3000xp 3 2021.02.05 3703
4273 [낚시일반] 타이라바 헤드와 타이의 선택(대부분 남해권 수심50미터~70미터에 한합니다.) 1 2021.02.01 3485
4272 [낚시일반] 통영 오징어낚시 방법 1 2021.01.23 4895
4271 [조행후기] 볼락&열기(불볼락) 외줄 선상 낚시에 대해-2편>-장비와 채비의 선택, 채비법 2 file 2021.01.18 5251
4270 [조행후기] 볼락&열기(불볼락) 외줄 선상 낚시에 대해-1편<장르의 이해, 명당 자리는?> 2021.01.18 2975
4269 [낚시일반] [영상] 대구 2단채비 낚시 방법으로 조과를 높이기#134 6 2021.01.07 4109
4268 [낚시일반] [영상] 대형 오징어 웜을 이용한 “왕대구미끼 만들기#133 10 2021.01.03 4084
4267 [낚시일반] 갈치 두벌채비 운용은 충분한 연습과 경험 필요 4 2021.01.01 5105
4266 [알림] 존경하는 조우 제현 여러분! 새해 건강하시고 복 많이 받으십시오. 22 2021.01.01 2945
4265 [낚시일반] 선상낚시에서 오징어채나 쭈꾸미 굳지 않게 하는 방법 문의 17 2020.12.23 6219
4264 [기타어종낚시] 도루묵 2 2020.12.21 3473
4263 [낚시일반] [영상]꽁치/갈치미끼 썰기 #132 1 2020.12.19 3689
4262 [물고기정보] 오징어는 언제부터 철인가요? 2 2020.12.14 5052
4261 [낚시일반] 비마2000.심해칼치할수있는지요?선배님들 부탁드림니다 2 2020.12.13 350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 149 Next
/ 1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