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알려주세요 배낚시

[장비관련]
2004.07.05 05:46

알려주세요

조회 수 3571 댓글 3
전동릴님/
4000HP에대해서(성능)장단점조언부탁합니다/
Comment '3'
  • ?
    nfc 전동릴 2004.07.05 16:19
    일단 단순한 특징은

    1)경이의 파워-순간 최대 토르크 44 Kgcm....

    2)PE6호를 500 m 감을수 있는 여유있는 사이즈(스플)

    3)기어비=3.1, 자중=1150 g, 조력=12 kg,

    4)실패량=4호-800 m· 5호-600m 6호-500 m

    5)볼베어링=1.6 최대 감아올리고 속도:65(cm/핸들 1회전)

    6)전동 감아올리고 속도:최고 160 m/분의 합계 15 변속.

    전체적인 내용

    클래스에 없는 순간 감아올리고 파워를 중시한 감아올리고

    최대 축 토르크 44 Kgcm를 실현시킨 전동 릴

    예를 들면 100 m를 넘는 깊이로 2마리 혹은 3마리 동시에 물고기가 걸렸을 때

    라크에 구슬리는 것이 충분히 가능하게 됩니다.

    핸들도 치우침을 없애 편리한 사용과 정확한 수심 카운트와 장치의

    민첩한 낙하를 바란다면 꼭 이 릴이 추천입니다....

    등등이 기본적인 매뉴얼이라 하겠습니다.


    일단 릴을 구입하셨는지??? 물어보고 싶고요

    동급의 릴에는 다이와 600불이 있습니다.

    제가 본 견해로는

    내구성이 강하며

    체비의 입수 속도가 동급에 비해 빠르며

    권상 능력이 비교되지 않을 만큼 빠르고 힘있는 릴이라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단점으로는 시마노릴이 그렇듯

    모양과 옵션(조그셔틀)기능은 조금떨어집니다

    그리고 무게가 1150g이나 나가듯이 조금 무겁습니다

    그러나 침선 전용릴로 사용하신다면 다이와 600BALL보다 좀더

    수위의 릴이라고 생각됩니다.

    얼마전 반도낚시 서양석님에게 40만원에 소개받아 회원에게

    판매한적이 있을정도로 특가로 나온적도 있었으나

    지금은 약60만원정도 하는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리고 마지막

    요즘 선박에서 밧데리(전원)공급장치를 많이 달고 있는 추세 입니다

    그러나 400BDe. 500w.e, 3000hp 까지는 그런경우가 거의 없으나

    4000hp나 600 기종은 밧데리 집게의 접촉이 불안할시 기능이 약간씩

    떨어지는 현상을 보았습니다.

    밧데리 구입시에는 꼭 7암페어 이상을 구입하여 사용하시길 권합니다.

    ..

    얼바전 기고를 많이하면서 개인적인 사견을 많이 올리다보니

    조금은 가벼운 사람으로보여

    글을 올리는것을 자제하였으나

    제가 아는 상식과 경험안에서 도움을 드릴수 있도록 노력 하겠습니다.


    즐낚하세요..ㅎㅎ

  • ?
    NFC 블루 2004.07.05 22:00
    선상에 있는 전원 공급 장치는
    저도 최근에 알게 되었지만.
    일정한 전압(12v)이 공급되어야 전동릴의 기능이
    제대로 발휘되고 전동릴의 수명이 오래 지속 될것 같습니다.
    특정 전동릴의 모델 문제는 아닌것 같고요...
    전원이 공급되는 선박의 감압된 전압이 12v에 못 미치거나
    그이상의 전압이 발생될경우 모터의 회전수 차이로 손상이 올수있는것
    같습니다.

    침선낚시가 활성화 되면서 많은 분들이 전동릴을 많이 구입하였고
    낚시 어선에서도 서비스 차원에서 전원 공급 장치를 설치 했지만..

    지금 시점은 그런 미세한 차이로 고장이 많이나는 시점이 아닌가 생각됩니다..

    저역시....저의 개인적인 생각입니다.





  • ?
    포세이돈 2004.07.06 08:47
    선상에 설치되어있는 전압공급장치는 가급적 사용안하시는게
    전동릴에 잔고장을 줄일수있는 방법인것 같습니다
    전압이 낮게 나와서 힘이 나 속도가 딸리는 경우도 상당히 만으며
    배를 흘릴시(포인트진입시)전압이약하고 이동 및 배에 알피엠을 올릴시
    전압이 강하게 흐릅니다
    전동릴또한 기계인만큼 동일한 전압이 일정하게 흘러야하는데
    전압이 일정하지안아 고장이 생길수있습니다
    가장심한경우 전동릴에 액정이 고장날수잇습니다
    이건 제개인적인 견해가 아니고 제릴을 수리하면서
    릴을 전문적으로 수리하시는분께서 저한테 당부하신말입니다
    귀찬으시더라도 밧데리 자그만한거 하나 가지고다니시라고...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날짜 조회 수
4200 [장비관련] 문어채비 샘플 모음(너덜하지 않으면 못 들이댐) 11 file 2009.10.07 11916
4199 [가격정보] * 꿈의 우럭낚시 포인트 - 가거초(可居礁:Gageo Reef)에 대한 이야기 29 file 2013.01.13 11893
4198 [낚시일반] 민어낚시 물때와 요리 4 2015.07.20 11892
4197 [장비관련] 고가의 전동릴 오래 사용하는 수명연장 방법 26 2010.05.24 11887
4196 [낚시일반] 우럭낚시물때 4 2015.10.30 11878
4195 [기타] 놀래미 어떻게 요리하나요 3 2003.07.21 11861
4194 [조행후기] 서해의 바닷속은 아직 냉랭한 겨울로서 우럭낚시는 좀 이른 듯싶습니다. 17 file 2017.04.12 11837
4193 [먹는이야기] 광어회는 어떻케 먹어야 제일 맛있나요 12 2010.06.28 11802
4192 [장비관련] 침선우럭 배낚시 채비 소품 판매처 6 2003.12.18 11795
4191 [낚시일반] 갈치낚시 정리를 해 보았습니다 11 2019.12.12 11792
4190 [장비관련] 주꾸미 채비에 대하여 14 file 2011.10.04 11791
4189 [장비관련] 인터라인대 쉽게 줄 넣기... 6 2010.02.27 11774
4188 [낚시일반] 한치낚시 11 2018.07.13 11755
4187 [장비관련] 베이트릴 사후관리 방법 4 file 2017.07.05 11752
4186 [장비관련] 합사 몇호... 8 2012.09.10 11744
4185 [낚시일반] 비싼 갑 오징어 에기를 덜 떨어지게 하는 채비법 21 file 2019.03.25 11734
4184 [낚시일반] 통영쪽갈치낚시 다녀오신분 정보좀주세요 17 2017.06.09 11724
4183 [낚시일반] 보구치(백조기)낚시법은......?? 3 2003.07.31 11706
4182 [장비관련] 선상갑오징어 전용로드질문합니다! 3 2016.08.10 11683
4181 [조행후기] 왕초짜 [타조] - 갈치 낚시 보고서 3편 2 2013.10.18 11667
4180 [낚시일반] 우럭회 뜨는법? 1 2005.08.17 11662
4179 [장비관련] 남해안 문어낚시대 추천 부탁드립니다 4 2017.07.11 11643
4178 [낚시일반] 7~8월의 여수권 왕갈치 공략수심과 입질행태에 대하여 36 file 2013.07.16 11622
4177 [기타] 8월의 백중사리란? 14 2007.07.24 11613
4176 [장비관련] 놀고있는 핸드드릴로 만들어 본 전동릴 자동 줄감개(?) 10 file 2020.04.07 11595
4175 [낚시일반] 열기낚시+볼락 11 2011.01.30 11594
4174 [낚시일반] 우럭이 잘잡히는시기요? 3 2003.08.12 11569
4173 [장비관련] 전동릴수리점 민간업체 추천여~~~ 16 2019.12.20 11560
4172 [낚시일반] 선상낚시에서 배의 자리선정... 10 2011.07.13 11540
4171 [낚시일반] 갈치 바늘 채비 자작하시는 선배님들께~ 17 2010.10.30 1152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 6 7 8 9 10 11 12 13 14 ... 149 Next
/ 1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