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알려주세요 배낚시

안녕하세요 이곳은 우럭낚시를 전문적으로 하는곳이라고 알고 있습니다만
참돔 낚시를 배워볼려고 하는데요 채비를 어떻게 준비해야 하는지 궁금합니다.
외연도 출조를 전문으로 하는 낚시점에 문의를 하니 자세하게 갈켜 주지를 않고 무조건 출조만 하면 알려준다고 하니 초보인 저로서는 답답한 심정입니다.
낚시대는 몇호가 필요한지 찌는 어떤걸 준비해야 하는지 미끼는 어떤 준비를 해야하는지 글고 무엇보다 어느곳에서 출조를 해야 적절한지 궁금합니다.
정말 많은 도움이 필요합니다
Comment '3'
  • ?
    갯꾼 2004.09.15 11:03
    흔히 말하는 감성돔 갯바위 흘림 찌낚시의 연장이라고 생각하시면 되는데요.
    참돔은 대물이 많으니 장비를 튼튼하게 사용합니다.
    물론 1호대 2호원줄의 감성돔낚시에서도 하다보면 5,60센티 참돔도 올리지요.

    외연도가 얼마만한 크기가 올라오는진 잘 모르지만, 처음이라면 가지고 있는 갯바위대를 사용하세요. 원줄과 목줄만 5,6호/4호등으로 높여서 하시구요

    대물참돔이 올라오는 지역에서는 낚시대도 2호 또는 그이상으로 쓰고 채비도 더욱튼튼하게 합니다.만약 갯바위 기본장비가 없으시다면, 참돔전용장비의 구입은 깊이 생각해 보시길 바랍니다. 갯바위 기본장비라고 할 수 있는 1호대와 2-3000번릴은 두루두루 쓰일수 있지만, 참돔 전용의 2호대이상과 대형릴은 상대적으로 다양하게 쓰일수가 없으니까요.

    저라면 그냥 기본 갯바위장비로 출조할거 같습니다.
    찌 미끼등의 소품은 현지 출조점에가서 추천하는 걸로 준비하면 될거 같구요.
  • ?
    갯꾼 2004.09.15 11:05
    외연도는 보령,서천의 출조점에서 매일 나가는 걸루 알고 잇습니다.
  • ?
    지거 2004.09.15 12:41
    먼저 외연열도의 최근 근황을 자세하게 설명해 드리고 참돔낚시의 대략적인 채비를 알려드리겠습니다.

    외연열도는 최근 2년동안 국내 참돔낚시의 보고로 떠오른 지역이며, 올해 2004년 국내 최대의 참돔낚시터로 각광을 받아 해당 지역의 낚시점에서 로테이션 출조를 하여 부속섬마다 자리경쟁이 치열한 곳이 되어 버렸습니다.

    외연열도의 참돔 시즌은 6월 중순에 시작하여 9월 중순에 거의 끝나구요 6월에서 7월초까지는 마리수 조황이 7월 중순부터 9월초까지는 대물 조황이 좋은 특성이 있습니다.

    외연열도의 참돔채비는 낮에는 1.5호-2호 정도로 사용을 하구요 밤야영시에는 3호 이상이 적절하며 그 이유는 낮보다는 밤에 대물들의 조황이 좋기 때문입니다.

    원줄은 보통 5호이상 6호까지 사용하구요 목줄은 3호이상 5호까지가 평균 입니다만 5호줄도 터뜨리는 경우가 아주 많습니다. 따라서 밤낚시를 하실경우가 생기시면 원줄 6호 목줄 5호 이상은 필수로 챙기셔야 얼굴을 볼 수 있을 껍니다.

    참고로 저역시 8월초에 평소처럼 2호대, 원줄 6호, 목줄 4호를 가지고 들어갔다가 얼굴도 못보고 터뜨린게 여러번이고요 상사리 면한거 몇마리 건져서 왔습니다.
    그만큼 야영시는 채비 중무장 하고 들어가셔야 하구요 부시리까지 붙어서 생난리를 치기 때문에 왠만한 대는 2번대, 3번대 작살납니다.

    미끼는 평균 크릴을 쓰는대요 현지에서 3천원에 거래가 되니 최소한 10장 정도는 사가지고 가셔야 야영시 충분하게 쓸수 있구요 현지채비시 찌는 평균 3호 전자찌에 순간수중이나 봉돌이 수중찌 보다 채비 운영시 좋습니다.

    가까운 곳에서는 상사리만 물리므로 대물 하시려면 최소 평균 본류대에 40미터 이상 70미터까지 흘려서 잡아야 하기때문에 찌 선택시 시인성 좋은 놈으로 준비하시는게 좋겠습니다.

    출조지는 홍원항, 춘장대, 대천, 서천 여러곳 있으니 마음에 드는곳을 선택하시구요 대부분 선비는 외연열도까지 6만원이었는데 요즘은 5만원에 인하되는것 같습니다.

    아무쪼록 여러 조사님들께 정보를 얻으시구요 대물보다는 안전이 최우선이니 갯바위 장비 잘챙기시기를 바랍니다. 아울러 여러조사님들이 모이다 보니 청소가 미흡하여 악취가 진동합니다. 쓰레기 꼭 회수하시구요 낚시자리 청소 꼭 부탁드립니다

    그밖에 외연도에서 참돔외에도 잡을 수 있는 어종의 포인트를 간단하게 알려드리겠습니다.

    홍서와 수도
    물골이 매운 센 곳이다. 여 주변으로 빠른 조류가 흘러가긴 하지만 낚시를 할 만한 훈수지대가 곳곳에 생겨나기 때문에 크게 신경 쓸 필요는 없다. 들물 방향의 포인트로는 간조시에도 약 5m 수심이 확보된다. 밀ㆍ썰물 방향에 맞춰 낚시를 하는 것이 요령. 수도 직벽은 2명 정도가 낚시하기에 알맞고 물속엔 수중여도 많이 깔려 있다.

    초망여
    들물 때 감성돔이 잘 붙는다. 평수는 약 5평 정도에 불과하며 비박은 몰라도 야영은 불편하다. 만조 전후엔 부시리와 농어가 잘 낚이므로 루어낚시를 준비해 가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낚시 인원은 3~4명선이 적당하다. 들ㆍ썰물에 따라 자리를 옮겨 다닐 수 있다.

    무마도
    좌우로 길쭉한 형태를 띤 10평 규모의 작은 여다. 특이하게도 맨 위쪽에 나무가 자라 있다. 본섬을 바라보는 곳에선 감성돔, 어청도 방향으론 부시리가 잘 낚인다. 특히 어청도 방향에서 밤낚시를 하면 우럭을 쿨러로 채울 수 있을 정도로 우럭 마리수 재미가 좋다. 반대편으론 넘어가긴 힘들며 간조시에도 5m 가량의 수심이 확보된다.

    석도
    약 4평 정도의 규모로서 5명 정도가 함께 내려 낚시할 수 있다. 들ㆍ썰물 모두 입질이 왕성하며 조류에 의지되는 방향에서 낚시를 하면 된다. 간조 시에도 5m 이상의 수심이 확보되며 파도가 높은 날은 다소 위험하다. 전 구간을 도보로 이동할 수 있다.

    설풍여
    발판이 좋지 않아 한자리에 장시간 서 있기엔 다소 불편하다. 썰물보다는 들물 때가 좋으며 만조 직전에 왕성한 입질이 들어온다. 감성돔 씨알은 40~45cm 전후. 간조시 발 앞은 3m, 멀리 치면 4m 가까이 수심이 나온다. 만조 전후엔 농어도 잘 들어온다. 우측에 보이는 작은 여들이 발판이 좋지 않고 날씨가 나쁜 날은 넘는 날이 많아 다소 위험하다.

    당산우도
    포인트 전방에 간출여가 산재한 자리다. 갯바위를 따라 이동할 수 있으며 조류가 매우 거센 편. 들물과 썰물을 함께 볼 수 있다. 수심은 깊지 않으나 감성돔과 농어가 함께 낚인다. 야영 여건도 매우 좋다.

    외횡견도 남쪽 콧부리
    2~3명 정도가 낚시하기에 적당한 규모다. 특이하게도 들물 때만 감성돔과 농어가 입질하는 포인트다. 썰물 땐 숭어만 떼로 몰려다니는 것이 특징. 들물 때 손맛을 못본 꾼들이 썰물 때 숭어로 쿨러를 채워 나오곤 한다. 간조 시에도 약 2~3m 가량의 수심이 확보된다.

    오도 서쪽 콧부리
    들물과 썰물을 함께 볼 수 있다. 3명 정도가 낚시하기에 알맞으며 들물 때는 우럭이 마리수로 낚인다. 직벽 지형으로서 수심도 좋은 편. 야영 여건도 좋아 2인용 텐트를 치기에도 안성맞춤. 들물보다는 썰물 때 입질이 잦다.

    000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날짜 조회 수
4269 [장비관련] 전동릴님 2004.01.05 3681
4268 [장비관련] 전동릴500e에 대하여 궁금합니다. 6 2004.01.06 4900
4267 [장비관련] 전동릴 밧데리는 주로 무엇을 사용하는지요 12 2004.01.06 12449
4266 [기타] 반건조 우럭 조리법 아시면? 4 2004.01.07 9600
4265 [낚시일반] 고패질에 대하여 문의합니다 5 2004.01.07 6990
4264 [장비관련] 시마노 4000hp? 5 2004.01.11 5184
4263 [기타] 최고의 조언 자에게............ 2 2004.01.12 4014
4262 [낚시일반] 지깅낚시와 원투낚시에 대한 설명 좀 부탁합니다 1 2004.01.15 5772
4261 [장비관련] 장비 구입하기 좋은 곳 소개 부탁드려요~ 1 2004.01.21 4473
4260 [장비관련] 뽈락민장대 낚시에 대해서 2004.01.23 4857
4259 [장비관련] 지깅로드를 우럭선상에서 사용시 문의점 1 2004.02.01 4860
4258 [장비관련] 매듭에 관한 조언 부탁드립니다. 1 2004.02.03 4816
4257 [가격정보] 전동릴.....어디서 사야 싸나요? 4 2004.02.04 5856
4256 [장비관련] 오세아 지거 NR 모델을 아십니까? 2004.02.04 4933
4255 [장비관련] 장구통릴 문의 7 2004.02.09 8973
4254 [장비관련] 은성에서 배낚시용 릴이 새로 나왔습니다 1 2004.02.16 4848
4253 [낚시일반] 침선에서 어느정도 뛰우는지?????? 4 2004.02.16 7136
4252 [출조문의/개인조황공유] 안흥권 조황 문의 4 2004.02.24 3918
4251 [낚시일반] 수온 4 2004.02.26 4895
4250 [출조문의/개인조황공유] 조금과 사리의 차이는? 1 2004.02.28 838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 7 8 9 10 11 12 13 14 15 ... 224 Next
/ 2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