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알려주세요 배낚시

우럭 장구통릴로 Pinnacle 비번 VST30MLC 를 사용하게 되었는데요
-4BB Bearings,  4.2 : 1 (기어비), Weight 17.0 OZ,
-12/450, 14/360, 20/210 Line Capacity
- Manule Line Counter Trolling Spec.
*  트롤링용 장구통릴 같은데 우럭낚시에 한번 사용해보니 그럭저럭 사용할 만한데요, 바닥에 무엇인가 걸리니까 감아지질 않네요, 줄을 잡고 감는게 때로는 편할 경우가 있네요.
-중량은 17온스 - 환산하면 몇킬로 무게까지 견디는 것지요(환산을 몰라서리)? 또 2볼과 4볼베어링의 차이는요?
-혹시 써보신분은 시마노 3000-5000번하고 비교하여서는 어케되나요.
-라인 커페시티는 12/450.... 으로 호수로 환산하면 어케되나요?
-라인카운터가 약 2 내지 3을 가르킬때 약 1m가 나오는데 조정은 어케하는지?
-마지막으로 먼저주 우럭낚시하다가 바닥에 걸린건지, 배가 움직이면서 줄이 감겨지지 않는 그런 현상이 발생하여 채비가 뚝하고 종내는 끝어지는 현상과 감겨지지 않고 무언가가 막 차고 나가면서 한번은 채비 본줄이 뚝, 또 한번은 바늘 묶은 것이 끝어져서 괴기인지 얼굴도 못보았는데요, 궁금해서 선장님께 물어보니 아마도 80센치-1미터급 삼치가 물은 거라는데 정말 삼치가 그렇게 힘이 셀까요. 누구 잡아 보신분 있으시면 답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너무 궁금하네요
Comment '5'
  • ?
    블루(NFC) 2004.11.05 11:49
    아래 사진의 모델인 것 같은데 솔직한 표현을 하자면 선상우럭 전용릴로 장기간 쓸수 있는
    제품은 아니다라고 말씀 드리고 싶습니다.
    트롤링용 릴이라지만….글쎄요..
    바닥에 걸렸을 때 감아지지 않는 것은 어느 릴이나 똑같으며 손으로 조치하신 것은
    잘하신것 같네요..조금만 더 릴을 감으며 버티셨다가는 릴을 더 이상 사용 못하실 뻔햇습니다.
    17온스(oz) = 481그램(gr)입니다. 리릐 무게가 481그램이네요..*^^*
    베아링이 많은(높은)릴이 부드럽고 힘이 강한 것이 통상적입니다.가격도 올라가겠죠?
    시마노 티타노스 선 씨리즈와 비교할 정도의 우수한 제품은 아닙니다.
    처음 입문하시는 분들이 쇼핑몰이나 대형 할인점에서 패키지 또는 줄과 함께 구입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12/450 은 일제합사 12호줄을 450m 감을수 있다는 듯이며 6호줄은 900m를 감을수 있습니다..6~8호줄을 감으실 때 밑줄을 많이 감아야 하겠네요..*^^*

    수심계의 오차는 조치가 어렵겠네요..
    정밀도를 가진 카운터기가 아니므로 셋팅을 다시 하거나 할 수는 없을 것 같습니다.
    어떤 상수를 대입해서 복잡하게 계산하셔야 겠네요.
    또한 수심계가 아니라 트롤링용 spec 이라되어 있습니다.
    (Manule Line Counter Trolling Spec)
    수심계는 아닙니다..*^^*

    합사줄이 끊어지고 대형 삼치를 놓치신 것 같다고 하셨는데
    밑걸림에 의한 채비손실과 조치가 조금 늦으셔서 착오를 일으킨 것 같습니다.

    위의 릴은 4~5만원 정도의 가격을 형성하는 제품으로써 내구성이나 모든면에서
    많이 부족합니다.
    아무쪼록 잘 사용하시고 다음에 장비 엎그레이드시 문의해 주시면 많은분들이
    좋은 제품을 추천해 주실겁니다.


  • ?
    ?? 2004.11.05 13:47
    약간의 수정을 가하는 답변을 드리지여. 먼저 글쓰신분 오해없으시길....,
    릴에 라인이 얼마나 감기느냐 하는 부분인데요, 12/450이란 12파운드의 줄이 450야드 감기는 것이구요, 12파운드는 약 일반라이론 줄 3호정도에 해당합니다.50파운드가 24키로그램 정도의강도 이구요, 라이론 10~12호 정도입니다.
    다이니마계통의 합사줄(일본제 합사라고 하는 pe줄 그리고 미제 스펙트라)이 6호라 가정할때 30키로의 강도를 가지고 있습니다. 대개 릴의 파괴내력은 12키로 이하 입니다, 고가의 릴도 그정도 입니다. 때문에 릴이 바닥에 걸렸을 때는 손으로 댕겨서 끊어내시기 바랍니다.
    라인 커운터에 대한 부분은 카운터 자체가 유럽식 버전으로 피트개념으로 설계 되어 있어서 미터의 환산을 가지기 때문에 오차라고 하는 오해가 생깁니다. 수심계에 나오는 숫자를 3으로 나누면 대략의 미터수가 나올 것입니다.
  • ?
    릴사용자 2004.11.05 15:47
    블루께서 답변 잘해주셨읍니다. 사진도 올려주시고....
    다만 숫자의의미, 단위의 문제인것 같읍니다.
    그림을 보면 충분히 사용하실수 있는 릴이아 생각되네요.
    6호 (약 25Kg 조력)을 300m 감을수 있을듯....추후 확인해 보세요...

    다만 대부분의 사용자가 릴의 드랙을 사용하지 않는데서 고장의 원인및
    사용상의 불편을 초래합니다. 대부분 드랙의개념없이 사용하고 있읍니다.

    드랙 : 큰고기가 물렸을때 릴을 보호하고 도망가는 고기를 안전하게 잡아올릴수 있도록
    릴 스풀, 줄이 풀려나갈수 있도록 조절하는장치.
    모양 : 장구통에서는 줄감는 손잡이 축에 있는 별모양의 조절장치(스타드랙이라고도함)
    점검 : 드랙손잡이를 돌리면서 손으로 줄을 당겨 헛도는 상태를 확인한다.
    이 조절이 부드러우면 정상이고, 헛도는 정도가 불규칙하면 수리요망.
    사용 : 채비를 달아 올릴때 헛돌지 않을 정도로만 조여 놓는다.
    고기가 물리면 헛돌게 되므로 이때 조금 더 조이고 감는다.
    만약 삼치같은 종류가 물고 급작스리 도망가면 드랙이 풀려 고기가 떨어지지
    않으며 이때도 드랙을 조금씩 조절하면서 감아준다.
    주의 : 드랙은 절대 세게 조여 놓지 말고 사용전 자주 점검한다.
    비록 고기가 물려 드랙이 풀리는 일이 없더라도
    드랙 조절을 해보고 손으로 당겨 보고 하면 장비를 오래 사용할수 있다.
    요령 : 채비가 바닥에 걸리면 당연히 헛돌게 된다. 이때 드랙을 조여 당기지 말고
    줄을 풀어 줄을 재빨리 릴대 손잡이에 감고 당긴다.
    릴에 손상을 주지 않고 릴대도 오래 사용할수 있다

    이상은 초보자를 위한 안내였읍니다.
  • ?
    블루(NFC) 2004.11.05 16:01
    Line Capacity는 파운드 표시가 아닌듯 합니다.
    우럭용으로 사용하는 LINE이 50~65LB(5~6호정도) 기준일때 위 공식대로라면
    100M 도 못감거든요...
    6호줄 300m 정도는 감을수 있다고 생각되어 호수(일본식)로 생각해 보았습니다.

    1m = 3.28 피트(ft) 이므로 라인 카운터가 피트 단위로 설정되었으면
    상수를 대입하면 될것 같습니다.
  • ?
    우레기 2004.11.05 18:56
    1야~드=91.44cm
    1야~드=3피~트
    1피~트=30.48cm

    450야~드X91.44cm=411.48m(대략 3호 모노필라멘트가 드랙에감기는길이)
    에~또 뭐시냐하면,,,

    3호X2=일본표기식 합사6호정도
    411.48m나누기2=205.74m.

    같은戶數에서 모노필라멘트보다 합사줄이 조금가늘다고볼때
    일본표기식 합사6호는 약210m정도 감긴다고 보는데유~

    워찌 계산이 쫌 맞나유~~.?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날짜 조회 수
4140 [기타] 망둥이 조언부탁합니다. 1 2004.10.09 4468
4139 [낚시일반] 무조건 잘라놓는 우럭목^;; 18 2004.10.14 8959
4138 [장비관련] 다이와전동릴500e를 쓰고 있는데 3 2004.10.14 4556
4137 [장비관련] 침선채비에서 바늘을 묶는 줄의 호수? 13 2004.10.14 9212
4136 [장비관련] 침선용 지깅대 추천 부탁드립니다. 2 2004.10.14 7040
4135 [낚시일반] 낚시 초보인데 침선에 대해서.. 7 2004.10.14 5501
4134 [장비관련] 다이와전동릴500e가 단종되었다고 하던데. 3 2004.10.19 3746
4133 [낚시일반] 시마노제품 A/S 가능한곳은? 2 2004.10.22 4972
4132 [장비관련] 대구 지깅 장비를 알고 싶습니다. 2 2004.10.25 4961
4131 [낚시일반] 꼬임 방지줄,,,,, 6 2004.10.28 4584
4130 [낚시일반] 슬리브 압착기? 기계 어디서 사나여? 7 2004.10.30 11210
4129 [낚시일반] 배낚시의 명당자리. 8 2004.11.02 12620
4128 [출조문의/개인조황공유] 인천 선상 낚시는 언제까지 출조하면 괜찮을까요? 4 2004.11.03 4685
» [장비관련] 장구통릴 핀네클에 대해 알고계신분 5 2004.11.04 5820
4126 [장비관련] 해혼 EV3000T에 감을수 있는 합사는 도와주세요 11 2004.11.06 6231
4125 [낚시일반] 정확한 위치를..... 4 2004.11.10 4438
4124 [낚시일반] 침선채비 목줄에 관하여,,? 6 2004.11.13 8156
4123 [장비관련] 합사줄 염분 제거 방법 3 2004.11.18 9606
4122 [낚시일반] 알수 없는 바다바람과 파도 5 2004.11.21 5004
4121 [출조문의/개인조황공유] nfc전동릴님 올초겨울 날씨에 대해 상의좀 해봤으면... 5 2004.11.21 4861
4120 [기타] 우럭회 뜨는 법 6 2004.11.25 13247
4119 [출조문의/개인조황공유] 우럭 낚시 같이 가실분이요!!!!!!!!!!!!!!!!! 11 2004.11.26 4922
4118 [낚시일반] 전동릴3000H 한글설명서보낼께유 1 2004.11.27 3712
4117 [장비관련] 전동님! 전동환 3000H 작동요령부탁함니다. 꾸~우뻑(..) 3 2004.12.01 3761
4116 [장비관련] 침선낚시 기법 문의 4 2004.12.01 6089
4115 [기타] 광어 회뜨는 법 4 2004.12.02 11937
4114 [장비관련] 시마노 오세아지거2000으로 가물치낚시 가능할까요? 7 2004.12.04 7126
4113 [장비관련] 보스릴에 대하여 알고 싶읍니다. 2 2004.12.08 4759
4112 [장비관련] 오시아지거NR2000P에 어떤 합사가 어울릴까요? 3 2004.12.09 4343
4111 [낚시일반] 합사줄 코팅하는 방법좀 알려주세여!!! 17 2004.12.10 1560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7 8 9 10 11 12 13 14 15 16 ... 149 Next
/ 1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