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알려주세요 배낚시

경험많으신 선배조사분들의  좋은 경험담및채비요령에  많은도움을얻고 있습니다

몇일전 출조는  안흥으로 먼침선 출조나가기전 전날 채비에관한 내용과

고패질등의 요령을 많이 습득하여  황은면하고 체면유지만 한 조과를 얻었습니다

만은 도움에 감사 드리고   또 궁금한것이 있어 자문좀얻고자 합니다

1,원줄 끝부분에 3호핀도래를 채웠고  기둥줄맨위에도 5호맨도래를 채웠습니다
    다른분들은 원줄에만도래를채우고  기둥줄에는 도래가 없는것 같은데  어떤것   이더 좋은방법인지요    

2,저는 목줄을 선경사라는10호줄로  약90센티미터로 2바늘채비를 하였는데 바늘이

약40개정도나 끊어먹었습니다  기둥줄역시 7~8개정도 끊어먹고   봉돌의 위치는 아

래바늘보다약30센티미터 위에 7호핀도래에 바로걸었어서 낙시를 했습니다

혹시 봉돌과 아래목줄차이  위치가 잘못되지않았나 하는 생각이 좀 듭니다

선배조사님들 위글의내용을 보시고 저의 채비 어느부분이 좀잘못되었나를 좀

질책해주세요 원줄길이는 약 170센티  맨밑에 핀도래 7호를 걸고 거기에 바로봉돌장착   원줄합사6호  에 전동릴 에 우럭대160센티 짜리가 저의 채비입니다

아그리고 바늘은 26호 원형에 클립을  사용하엿 습니다 부디 효과적인 채비법

좀 배워서 다음출조에는 한단계업된  낙시를 하고져 합니다
모든분들 오늘도 활기찬 하루 시작 하세요   .
Comment '4'
  • ?
    주야조사 2005.10.11 13:13
    단다비님의 채비는 기본적인 외줄채비로서 제가 보기에 채비만듬새에는
    특별한 문제가 없는 듯 합니다.

    보통 원줄(합사줄)끝 부분에 3호정도의 핀도래를 매고 그 핀도래에 기둥줄
    연결고리(매듭,핀도래,8자도래<맨도래>)를 사용하는게 주중입니다.

    그러나 저는 이 부분에 무척 신경을 많이 쓰는 이유는?
    채비가 침잠하는 과정에서 약간이라도 미끼가 바람개비 같은 현상이 생겨
    기둥줄을 감아도 조류의 영향으로 목줄이 풀리면서 미끼 자체가 자연스럽게
    폴작거리는 모양으로 대상어를 유인해야하는데 가끔은 본줄과 기둥줄을
    연결하는 이 부분에서 미끼(특히 오징어채나 주꾸미)가 엉켜 있는걸 봤습니다.
    이런 경우는 입질을 받기 힘들지요.
    그래서 본줄에 연결하는 3호 정도의 핀도래는 어쩔수 없이 사용하더라도
    가급적 이런 걸림 현상을 줄이기 위해 기둥줄의 매듭부분은 맨도래나
    핀도래를 사용치 않고 슬리브에 기둥줄을 한바퀴 돌려 넣은 후, 본 줄에
    맨 3호핀도래의 핀이 겨우 들어갈 수 있을 정도의 구멍만 남겨두고 바짝
    조여 압착하여 쓰고 있습니다.
    * 이런 작은 염려로 제작하는 것에 염두에 두지 않는다면 연결부위를
    어떤 방식으로 연결하더라도 크게 문제가 되지않습니다.

    목줄을 10호로 쓰신다고 하셨는데,
    저는 이 부분에 대해 견해를 달리 합니다.
    이유는?
    어초나, 침선에서는 걸림이 여밭처럼 바닥 수평에만 있는것이 아니라
    높낮이 걸림이 많아 특히 침선에서는 아랫바늘 윗바늘이 동시에
    걸리는 경우(10호+10호= 20호가 되어)는 인장강도에 못이겨 천상 본줄의
    손실확률을 높여주기 때문에 저는 목줄을 7~8호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7~8호를 사용하여도 지금까지 목줄이 터져서 고기를 살려보낸 경우가
    없습니다. 그런 염려 때문에 10호를 쓰신다면 그건 기우에 불과합니다.

    침선이나 어초에서는 기본적으로 바늘 30~50개는 소비합니다.
    그러나 저의 우견으로는 단다비님은 좀 많이 소비하시는것 같은데
    좀...욕심을 내시는듯 합니다.
    가을철인 요즘은 먹이 활동이 강해져 활성도가 좋으므로
    선장의 지시보다 조금 반바퀴~한바퀴정도 더감아 고패질 하지마시고
    긴장하시면서 때를 기다리시는게 채비떨굼을 줄이고 찬스를 더
    많이 확보하는 방법이겠지요.

    10월 9일 침선에서도 옆의 여러분을 목격했는데 역시 적게 잡은
    분들의 주된 이유는 테크닉에서 욕심을 내는 듯 해 보였습니다.
    선장의 지시보다 덜 올리는듯 하여 이유를 물어보니
    광어잡는다고 그런다네요.
    광어는 어초나 침선 부근 사니질대의 바닥에서 가능하겠지만
    침선이나 어초대의 낚시에서는 선장의 지시보다 더 올려여만
    채비 손실을 줄이겠고, 한번씩 흘리는 포인트의 기회에 살릴 수
    있지 않을까요?

    봉돌과 하단의 단차를 30cm라고 하셨는데 보편적으로 무리가
    없을 듯 싶습니다.

    그러나 어초나 침선의 높이에 비례하여 본다면 단차가 작을 수도 있겠네요.
    보통의 2~3m의 어초나 침선이라면 무방하겠지만,
    침선의 높이가 높다면 전문조사님들은 봉돌과 하단채비의 단차를 많게는
    1m까지 주는 분들도 계시나 50~60cm가 무난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바늘은 26호를 쓰신다고 하셨는데.
    무난하구요.
    만약, 노래미, 광어를 염두에 한번 두신다면 하단채비에 22호
    바늘을 사용하시는것도 좋습니다.

    참고로 저는 채비를 3단으로 만들어 다니면서 여밭, 어초 또는
    침선까지 두루 사용하지요.

    채비구조는
    0--@-----------------@-------------------------@-=
    5cm..l.....50cm...............l.............105cm정도.............ㅣ

    전체 채비길이는 160cm이며
    기호 설명.....0(봉돌)....@(단)..... = (매듭)

    이 경우 어초나 침선에서는 봉돌부근의 하단채비는 사용치 않다가
    여밭의 경우에 맨상단의 목줄을 제거하고 중간+하단의 채비만을 사용하지요.
    그대로 3단으로 함께 사용 햐도 무방하구요.

    또는 어초나 침선에서도 3단으로 사용하는데 7호줄을 매어 포인트에 진입
    전 후에 광어나 노래미를 노릴때 사용할때도 있습니다.
    이때는 하단과 중단의 바늘이 서로 엉키지 않게하기 위해 알맞게 잘라 다시
    매어 줘야 합니다.

    맨 아래 채비가 잘 걸림으로 이때에 주의 할점은 반드시 바늘 22호정도에
    목줄은 6~7호를 매어 사용하여 검림이 발생하면 쉽게 떨쳐나갈수 있게
    해야 합니다. 미끼는 주둥이가 적은 광어나 노래미를 노리는 관계로
    반드시 오징어채를 반토막(5cmx1cm)로 잘라 사용하는게 유리합니다.
    지렁이는 별도로 구매안하셔도 이것으로 충분히 대용됩니다.

    두서없이 적은 글이 도움이 되셨는지 모르겠습니다.
    좋은 조황으로 기쁨이 계속 이어졌으면 좋겠습니다.











  • ?
    단다비 2005.10.12 09:50
    주야조사님 답 감사드립니다 그래도 조금 더궁금합니다 주야조사님 설명에 0 봉돌부분에바로봉돌을다는건지 아니면 그부뷴에줄을 또연결해서 하단바늘보다 밑으로봉돌이 내려오는것인지 좀혼돈됩니다
    우연히 검색중 378번의 채비를어떻게 라는 질문의 답글중 주야조사님의 답이있는것을 보았습니다 특히 침선채비라는 사진에서는 하단바늘보다 봉돌이 아래에 있습니다 상황에따라 채비운영이 틀려지는것은 알겠는데 378번 사진과같이 봉돌이 밑에있는것과 하단바늘이 봉돌밑으로15~30센티밑으로 있는것과의 차이가 무언지좀
    궁금합니다 오늘도즐거운 하루되세요 .
  • ?
    주야조사(晝夜釣思) 2005.10.12 15:20
    시간상 상세히 올려드리지 못하고 궁금하게 해 드려 송구합니다.

    위의 그림은 일반적으로 완성된 3채비로서
    어초나 침선낚시하다가 갑자기 여밭낚시로 장소를 변경할때
    어초,침선채비를 제거하고 여밭채비로 갈아 끼워 사용하는
    번거로움을 없애고 목줄만 변경시켜 채비 그대로 사용하자는
    의도입니다.

    위의 그림에서 보듯이 기본채비는 3단입니다.
    어초나 침선에서는 봉돌 옆 하단채비(맨도래)는 사용치 않고 중단과 상단의
    채비에만 바늘을 맨 목줄(90cm정도)을 달아 2채비로 사용하다가
    여밭(끌밭)낚시로 장소를 변경할 때는 여밭채비가 필요하겠지요.
    이럴 땐, 별도로 채비를 변경하지 않고 상단은 목줄을 제거하여
    사용하지 말고 중단(목줄45cm정도, 하단도 마찬가지)과 하단만
    사용하여 여밭낚시를 하자는 말씀입니다.
    여밭이라도 바닥에 골이 패여 자연적인 어초처럼 지형의 높낮이가
    심할때는 위의 3단채비를 다 사용하여 아래 위의 유영하는 대상어까지
    골고루 공략하자는 계산도 해 봄직 합니다.

    어청도 부근의 직도로 조행시에는 여밭이 마치 어초처럼 같은 바닥의
    높낮이 격차가 2m가까이 되는 끌밭에는 3채비를 풀 가동합니다.
    3걸이까지 한 경헙이 있지요.

    여러가지 상황에 맞는 채비를 다 만들어 다니기가 좀그렇고...
    위의 기본채비만 가지고 다녀도 상황에 따라 변화만 줘도 좋은 결과를
    가져온 경험으로 만들었습니다.

    378번 그림의 채비는 작년에 그려 올린것으로 기억이 나는데..
    체비를 한번 만들어 사용하다 입질이 저조하면 채비에 대해
    문제가 있나?...하고 또 욕심을 내어 잘 잡는 분의 채비를
    벤치마킹하여 또 만들어 봅니다.
    우연찮게 이렇게 변형하여 만들어 조행시 좋은 결과가 있으면
    이 채비가 최고 인듯 생각되나 그 다음 출조시 별 재미를 보지
    못하는 경우가 허다 하지요.

    결론은 이게 좋구나 저게 좋구나 하는 최고의 우럭채비는 없다고 봅니다.
    기본 구조에서 자기에게 가장 알맞는 채비를 응용하여 사용하시는게 좋구요.
    역시 좋은 조황은 늘 연구하고 초지일관 자세로 고기와의 한판승부를 위해
    열심히 긴장하며 미세한 입질까지 간파하는 수준까지의 조술(釣術)과
    경험의 노하우만이 말해 줄 것 같습니다.

    언제 안흥에 함께 동행 출조기회가 있다면 저의 여러가지 채비와
    우식이지만 경험을 들려 드리지요.






  • ?
    단다비 2005.10.12 20:07
    자상한답변에 감사드립니다 동행출조기회가된다면 꼭출조 하고싶읍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날짜 조회 수
300 [물고기정보] 맹구선장바닷생활 50년에 첨본고기 ᆢ이름아시는분 고언부탁드립니다 5 file 2019.12.24 9917
299 [조행후기] 낚시도 시대의 흐름에 변하고 있습니다. 마스터호타고 완도대방어지깅 다녀왔습니다. 간접광고를 포함하고 있습니다.-BGM- 4 2019.12.25 9739
298 [장비관련] 시마노 전동릴 구형 2핀 1000h 문의드려요? 1 file 2020.01.01 5664
297 [출조문의/개인조황공유] 진도 타이라바 선단 추천 2020.01.03 6252
296 [조행후기] 꿈의 낚시터, 무박3일 가거도 굿~씨알 우럭과 열기 조행기. 35 2020.01.05 17824
295 [조행후기] 오늘 큰 대물을 낚을지라도 과거에 묻혀 나를 붙잡지 않겠습니다. 마음을 넓고 맑게해준 바다낚시의 고마움은 늘품고 살겠습니다.-간접광고BGM- 8 2020.01.15 7210
294 [장비관련] 전동릴사용시 찌릿찌릿 전기가... 2 2020.01.20 7487
293 [장비관련] 이름좀 알려주세요~ 2 file 2020.01.25 7397
292 [조행후기] 이게 거문도다! 이것이 타이라바 클래스 고기는 많습니다만. 괴물각인가 그래 그거면 된거야 이것이 거문도 클래스 간접광고BGM - 2020.01.28 5753
291 [기타] 포항권 볼락 야간 선사 아시는분 선사정보 부탁드립니다. 1 2020.01.28 5281
290 [지역정보] 한치전문 출조선. 아시는 분 계신지요 2 2020.01.30 7302
289 [장비관련] 시보그 300 MJ와 J 6 2020.02.01 9771
288 [장비관련] 다이와VJ딥죤530 3 2020.02.04 6784
287 [조행후기] 여우같은 년석! 나만 믿고 따라와. 그렇다면 기분 좋아져 볼까? 여수의 타이라바 선단 구미호타고 거문도 타이라바 다녀왔습니다. 간접광고-bgm- 2020.02.07 7973
286 [장비관련] 먼바다 우럭낚시 합사 길이 문의 4 2020.02.08 10261
285 [장비관련] 낚시대 선택 요령 4 file 2020.02.18 10799
284 [조행후기] 지금것과 차원이다른조황기록~거문도에서 펼쳐지는 낚시전쟁!!!이게 거문도다! 이것이 타이라바 클래스 , 거문도 참돔타이라바 -간접광고bgm- 2020.02.20 7642
283 [조행후기] 동해 황열기 낚시를 다녀온 조행기 및 채비법. 26 2020.02.20 35085
282 [조행후기] 샛바람(동풍)낚시를 시원하게 풀어주실분??? 마이동풍: 샛바람은 도대체 무엇이며 낚시에 지대한영향을 끼치는 걸까요? -간접광고BGM- 2020.03.01 9942
281 [낚시일반] 동해 황열기 채비 선택 고민..? 13 2020.03.01 23736
280 [낚시일반] 황열기 배낚시 문의 2 2020.03.03 11479
279 [장비관련] 낚시대 문의 2 2020.03.26 9526
278 [장비관련] 소형전동릴 포마300으로 우럭낚시 가능할까요 조력은4.2kg 로 가능할거 같은데 2호150m 권사량이라 2호줄이 밑걸림시 견뎌낼지가 의문이라 혹 실조경험 있으신 조사님이 계시면 조언좀....요즘 pe라인은 강도가 많이 업그레이 되기도 해서.... 2 2020.03.29 12174
277 [장비관련] 갈치낚시대 고민 8 2020.04.05 21162
276 [장비관련] 조사님 안전을 100% 담보 할수없는 팽창식 구명 조끼 꼭 확인 필요합니다. 10 2020.04.06 8111
275 [장비관련] 놀고있는 핸드드릴로 만들어 본 전동릴 자동 줄감개(?) 10 file 2020.04.07 11595
274 [장비관련] PLAYS600 라인세팅 2 2020.04.09 5763
273 [조행후기] 짜릿한 손맛과 묵직하게 줄 타는 몸맛의 대구낚시(동해 임원항) 21 2020.05.03 10159
272 [낚시일반] 우럭대로 제주바다에서 낚시해도 되는거 아닌가요? 2 2020.05.14 7424
271 [낚시일반] 정보좀 주세요 5 2020.05.15 797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35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 149 Next
/ 1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