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알려주세요 배낚시

>저는 초보인데 얼마전에 다이와 하이퍼타나코 500fe를 장만 했는데                    
>사용설명서가 일어로되어있어 도무지 모르겠습니다.
>한글사용설명서 있으신분 부탁드리겠습니다.
>j11197@hanafos.com

각 Switch의 동작

1. Power Lever
Lever 조작에 의해 감기 power(속도)가 OFF-MAX까지 자유자재로 변속할 수 있습니다. 
* Lever를 앞으로 기울이면 Power(속도)가 올라 갑니다.
* Lever를 본래 상태로 되돌리면 Power(속도)가 내려 갑니다.

※ 감기를 시작할 때, Lever가 OFF(제일 자기 몸쪽)의 위치가 아닌 때에는 오조작 방지를 위해서 Lever를 움직여도 감기가 안됩니다. 한번 Lever를 OFF로 되돌려서 감기를 하여 주십시요.

감기의 Speed 기준 (1Kg 부하의 때)
W 50m/분 : 표시 16-17
70m/분 : 표시 21-22
90m/분 : 표시 24-25

2. 바닥에서 / 물고기층 Memo Switch
Switch를 누르면 밑의 Count (바닥 부터 Count)가 0.0m로 되고, 목표의 물고기 층 이 Memory(기억) 됩니다.
* 밑의 Count(바닥에서의 Count)를 보면서 물고기 층 잡기를 할 수 있기 때문에 누구 에게 라도 간단하게 그 외에 정확하게 할 수 있습니다.
* 밑밥 Timer는 이 Switch를 누르면 Start 합니다.

3. Reset Switch
Switch를 누르면 위의 Count (수심 Count)가 0.0m로 됩니다.
*낚시를 시작하기 전에 Reset Switch를 필히 한번 눌러 주십시요. Switch를 누른점을 기준으로 뱃전 자동정지 위치가 설정됩니다. (화면에 船止의 표시가 나옵니다.) 뱃전 자동정지의 초기설정은 2.0m로 되어 있읍니다.

4. 채기 Switch
전동 채기의 ON/OFF를 할 수 있읍니다.

* Switch를 누르면 전동 채기가 Start 합니다. (화면의 ツャワリ 표시가 점멸 합니다.)
* 한번더 Switch를 누르면, 전동 채기가 Stop합니다.

5. Mode Switch
Switch를 누르면, 각종의 편리한 기능의 설정화면을 선택할 수 있읍니다.
* 수치의 설정은 전체 Power Lever로 입력합니다.
* 수치의 입력이 끝나면 Mode Switch를 눌러서

  다음의 Mode로 옳긴 단계에서 Set가 완료.
* Switch를 누를 때마다 화면 넘기기로 됩니다.
* Switch를 계속 누르면 빨리 넘기기로 되고 수심 화면으로 되돌아 옵니다.
* 수정, 밑감기, 지정의 각 Mode를 선택할 때는 Mode Switch를 5초 이상 눌러 주십시오. 최초 수정 Mode로 되고, 그 후 누룰 때마다 믿감기, 지정 Mode로 됩니다.

   줄 감 기
우선 낚시줄을 Reel에 감습니다.
1. 낚시줄을 Level Wind를 통해서 Spool에 묶어 주십시요.
※ 부속의 중통과 Pin을 사용하여 간단하게 넣을 수 있습니다.
※ Spool 면에서 낚시줄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하여 필히 정지 Pin에 줄을 묶어 주십시요.

2. 그림과 같이 속공 스케일을 Reel 본체에 붙입니다.

3. Lever를 OFF까지 되돌립니다.

4. 악어 Clip을 전원(DC12V)에 연결합니다.
빨강색 → Plus(+)
검정색 → Minus(-)

5. Cord Connector를 Reel 본체에 붙입니다.
Connector +, - 역접속 방지를 위하여 그림과 같은 형상으로 되어 있습니다.
주의해 주십시요. 자동적으로 입력 Mode로 됩니다.

6. Power Lever를 MAX까지 넘겨 낚시줄을 감습니다.
Panel 오른쪽의 숫자가 4~5로 되도록 Tension을 조정해 주십시요.
※ Finger Guard에 줄이 닿으면 Reel에 상처가 생기는 수가 있습니다. 줄이 닿지 않토록 주의해 주십시요.
최초로 낚시줄을 감을 때와 바꿔 감을 때는 이하의 조작을 해 주십시요. 마이콤에 낚시줄의 데이터가 입력된 카운터가 정상으로 동작 합니다.

7. 속공 스케일에 낚시줄이 닿을때 까지 감아 주십시요.
※ Tension에 의하여 다소 가감되는 수가 있습니다.

8. 스케일을 떼어 주십시요.

9. Lever를 한번 OFF의 위치까지 되돌려(Alarm음) 다시 Lever를 MAX까지 넘겨서(Alarm음) 나머지의 낚시줄을 감아 주십시요.

10. 감기가 끝나면 Lever를 MIN의 위치까지 되돌립니다.(Alarm음)
주의 : 줄을 전부 감아 넣지 말아 주십시요. 바로 앞에서 Lever를 OFF로 해서Handle을 감아 주십시요. 감아 넣으면 카운터 오차의 원인으로 됩니다.

11. 최후로 Reset Switch를 2초이상, 표시가 0.0 로 될때 까지 눌러(완료) 주십시요.

지정입력이란 무엇 입니까?
다나센서 브라이트를 낚시줄로서 사용할때 매우 간단하고 편리한 입력방법 입니다. 지정입력 이라는 것은 당사의 다나센서 브라이트를 감을때 속공 스케일을 붙이지 않더라도 데이터를 입력 하는것 만으로 낚시줄을 입력 할수 있는 편리한 입력방법 입니다. 단 하기의 경우만 가능 합니다.

① 밑 감기를 하지 않은 경우
② 6페이지의 표에 기재되어 있는 호수및 감기량의 경우

1. Spool에 줄을 묶고 전원을 넣어서 준비한 다나센서 브라이트를 감는다.
※ Spool 면에서 줄 미끄러짐 방지를 위해 필히 줄 정지 Pin에 줄을 연결해 주십시요.
※ 줄은 작은 Tension(1Kg 정도)으로 감아 주십시요.

2. 감기가 끝나면
⒜ 우선은 Mode Switch를 5초이상 눌러 주십시요.(수정 Mode로 됩니다.)
⒝ 다음에 Mode Switch를 1회 누르면 지정 Mode로 됩니다.

3. Power Lever로 위의 수치를 Set 합니다.(오른쪽 표 참조)

4. Mode Switch를 누르고 다시 Power Lever로 밑의 수치를 Set 합니다.(밑의 표 참조)Set가 끝나면 최후로 Mode Switch를 2회 눌러서 입력 완료 합니다. 밑감기 입력도 할수 있습니다.
(단 길이를 아는 낚시줄이 100m이상 필요 합니다.)

① 전원을 넣고 Power Lever를 MAX의 위치까지 넘겨 밑감기 줄을 적당량까지 감아 주십시오.
※ Spool면에서 줄 미끄러짐 방지를 위해 필히 정지pin에 줄을 연결해 주십시오.

② 낚시줄과 밑감기줄을 묶고, 낚시줄의 줄색을 보면서 나머지 100m까지 감는다.
(단, 준비한 낚시줄량이 100m의 경우는 곧장 ① - ③으로)

③ ⒜ Mode Switch를 5초이상 눌러 주십시오. (수정 Mode로 됩니다.)
    ⒝ 다음에 Mode Switch를 3회 누르면 밑감기 Mode로 됩니다.

④ 낚시줄의 실색에 주의하면서 50m 감고, Reset Switch를 2초이상 눌러 주십시오. (밑의 숫자가 50 → 100 으로 바뀝니다.)

⑤ 똑같이 나머지의 50m를 감고, Reset Switch를 2초이상 눌러 주십시오.(표시가 0.0m로 됩니다.)
이것으로 완료입니다.


기능설정의 기본조작

1. Reel에서의 편리기능 Set은
① Mode Switch로 선택한다.
② Power Lever로 입력한다.
③ 다시 Mode Switch를 누르는 것만으로 전체 OK 인 것이다.

① Mode Switch를 누르고 Set하는 화면을 선택합니다.
(숫자는 출하시의 Set 값입니다.)

123 4 → → 0分 → HI
채기의 패턴 채기의 대기초 미끼 타이머 줄 보내기의 감아 올리기 Power 조정

0.0m 수심화면으로 되돌아 온다
전체 화면의 설정은 통일된 조작으로 되어 있습니다.

② Power Laver로 수치를 Set 합니다.

Power Lever MAX는 수치의 “빨리 보내기”로 됩니다.(Lever를 되돌리면 수치가 정지 합니다.

Power Lever OFF는 수치의 “수치의 빠른 되돌림”으로 됩니다.(Lever를 빠른 되돌림으로 하면 수치가 정지합니다.)

Power Lever의 MAX와 OFF의 사이는 수치의 화면 보내기로 됩니다.

③ Mode Switch를 다시 눌러서 화면이 다음으로 넘어가면 Set 완료입니다.
(기능을 해제하는 때에는 같는 조작으로 수치 Set을 “0‘으로 해 주십시오.)

(그림은 채기 패턴을 2단 채기로 Set 한때)

* Mode Switch를 계속 누르면 화면이 빨리 보내기로 되고 수심화면으로 되돌아 옵니다.

☆ 설정화면의 때 Reset Switch를 누르면 초기설정치(좌측 page의 그림)의 수치로 되돌아 옵니다.
(예 줄보내기의 Power 28 → Hi로 됩니다.)
조작방법(기본편) (기본조작의 상세는 25-35 page를 보아 주십시오.)

이 Reel은 뱃전 정지위치를 1-5m 까지 10cm 단위로 조정 할수 있는 것이야 편리하네요. 미끼낚시의 경우 : 낚시대를 세웠을 때 추가 손에 딱오도록 설정하면 손으로 되돌리는데 대단히 편리 합나다.

선택할 수 있는 뱃전정지의 순서는
① 코드를 연결 클러치를 끊어서 줄을 내고 채비를 Set합니다.
② 수면에 추가 있을 때 Reset Switch를 눌러서 0.0m로 합니다.
(水面 0Set 합니다.) 船止(선지)가 점등 합니다.
③ 낚시대는 세워서 추를 잡기쉬운 위치와 집어넣기 쉬운 위치까지 줄을 보냅니다.
(그림의 경우 1.8m)
〈주의〉
새로운 줄을 감을때와 대물을 걸었을 때에는 줄의 늘어남에 의해 뱃전 정지위치가 차이가 나는수가 있습니다. 그때는 한번 더 수면에 0Set (좌측그림2) 해 주십시오.
④ 그 위치에서 바닥에서/물고기층Memo Switch를 2초 눌러서 船止가 점멸하면 Set 완료입니다

낚시줄 Data 수정 낚시터에서 낚시줄이 끊어져도 데이터 수정 단번에!!
① 수중에서 낚시줄이 끊어져 버렸다.
② 끊어진 낚시줄의 끝을 낚시대 끝까지 감아 주십시오.
③ Reset Switch를 Counter의 숫자가 0.0m로 되기까지 계속 눌러 주십시요.(약2초)
이상태로 되면 수정 완료입니다.

바닥에서 Count
위에서도 바닥에서도 잴 수 있는 2개의 Counter가 물고기층을 양면공격.
수심은 100m 물고기층은 바닥에서 6.0m OK!


5. 채비를 투입하고 클러치 OFF.

6. 착저하면 Handle 회전이라든가 손으로 클러치를 되돌려 클러치 ON.

7. 바닥에서 6.0m를 잰다.

우선 여분의 줄을 감는다.

바닥에서/층Memo Switch를 누른다.

(밑의 Counter가 0.0m로 된다.)

다음은 밑의 Counter를 보면서 6.0m 감아 올리면 OK 간단!

<줄보내기 기구개시> ㆍㆍㆍ 수심 Counter표시 5m를 넘으면 “줄보내기” Start. 낚시줄 내보내기가 보다 부드럽게 됩니다.

Back Rush할 때에는 Spool Pre 조정 Dial로 Pre를 조정해 주십시오.

<주의>
조류의 흐름 등으로 아무리해도 Back Rush를 해소할수 없을 때에는, 줄보내기 Power를 조정(OFF도) 할수 있습니다.(상세는 27page)

Power Lever 채기

어군탐지기에 많은 반응이 나와요!!예 OK!

Lever 채기라면 자신의 생각대로 유인이 Lever 조작하나로 OK. 속도도 초저속 ~초고속까지 무단계 변속이기 때문에 손으로 감기에서도 할 수 없는 유인(꼬시기)도
연출합니다.

윙 윙

무단계 한편 자유자재의 Power Lever 채기이다.

명인 채기
Button 하나로 변환 자유자재의 “명인 채기” Start! Button 하나로 간단

전동 채기는 Switch를 눌러서, Lever를 앞으로 넘기기 만으로 Start!

Power Lever로 Speed도 자유자재!

그위에 명인 채기라면, 1~3단 채기를 Reel이 자동 선택하여 계속 유인해 주기 때문에 다음은 오징어의 걸려들기를 기다리기만, Power Lever와 Tournament Drag 감아 올리기

초심자에게도 명인의 잡기! 변환 자유자재의 Power Lever와 부드럽게 미조정이 듣는 Tournament Drag에서 걸린 고기는 도망가지 않습니다.

① 좋아 걸렸다!!

  ② Power Lever로 감아올리기 속도를 결정해서 Power Lever는 속도조정도 간단하게 할 수 있습니다.

③ Drag의 조이는 형편에 감아올리기 Speed를 조정하면 OK!

Lever 조작만으로 배의 흔들림에 맞춰서 Power를 조정 하는 것도 간단, 그위에 바레(バレ)를 방지합니다.

④ 상대에게 치우치면 Drag을 완화하여 대응합니다.
부드러운 Tournament Drag은 대물이 불의에 물 속으로 들어감에도 여유로 대응 합니다.

⑤ 감아 올라오면 뱃전에서 자동정지.

⑥ 大漁
몸을 끊기 쉬운 참오징어도. 간단히 잡아넣어.

  Pumping Lever 감아올리기

대물도 간단하게 감을 수 있다. (Lever 변속이야말로 가능한 기술이야)


① 입질이 왔다.
이윽고 왔습니다. 이것은 틀림없이 이겼다! 대물이 걸렸다.

② 꽤 대형 같아ㆍㆍㆍ
Drag를 조금씩 완화 시켜서, 다음은 Lever로 감아 올리기이다.
Drag은, 하리스(ハリス)에 맞춰서, 고기가 달리면, 회전이 정지할까 줄이 조금 나가는 정도로 조절합니다.

  ③ Lever 조작만으로 고기의 당김에 맞춰서 감아 올릴 수 있다.
결국 낚시대를 세워서 앞으로 넘겼을 때 Lever를 앞으로 넘겨서 감아들입니다.

④ Lever 변속 이니까 간단히 Pumping 감아 올리기가 가능하다는 것이다.
낚싯대를 일으켰을 때에는 Lever를 몸앞으로 되돌립니다.

⑤ 감아 올리기 시작은 Power Lever로 가속 고기를 죽일 염려는 없는 것 같다.
당기기가 정지하면 Pumping으로 간단하게 감아 올립니다.

⑥ 고기가 당기면 Lever를 되돌려서 고기의 당김에 견딘다.
이 Pumping Lever 감아 올리기를 행하면 어떠한 대물이라도 Break 작동 없이 잡아넣을 수 있습니다.

⑦ 감겨 올라오면 뱃전에서 자동정지.

⑧ 염원 참돔 잡았다.

선택할 수 있는 명인 채기 (고패질 기능)
① 우선 モ?ド(Mode Switch)를 눌러서 Set한다. ツャワリ(채기)의 화면으로 한다.
어느 Mode도 설정 방법은 같아요 채기설정은 우측 Data의 2종류

  ② Power Lever로 Set하여
상세는 9~10 page

③ モ?ド(Mode Switch)를 눌러서, 다음의 화면으로 들어가면 Set완료.
(이 그림에서는 채기의 패턴이 입력 되었습니다.)

오징어가 걸려 Lever를 되돌리면 채기가 Stop 하니까
다시 Lever를 앞으로 넘기기 만으로 잡아서 넣을 수 있는 것이다.

ツャワリ(채기) Switch를 눌러서 Power Lever로 채기 Start.


채기패턴 1회의 채기의 길이를 어느 단계로 채기를 (예)
시킬 것인가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123 단의 채기를

1 2 3 123 Random하게 선택 한다.

명인 채기도 1단채기 2단채기 3단채기 명인채기 됩니다.


Comment '1'
  • ?
    영화광 2005.11.05 10:36
    한때는 볼프강 아마데우스도 좋아했었죠. 이 파리넬리도 많은 고전음악 영화광을 만든 명작이죠. 어느 평론가는 전율이라는 표현을 썻던데. 오랫만에 즐감했습니다. 오싹!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날짜 조회 수
4467 [알림] 갈치낚싯배 리스트 정리 중... 56 2014.07.12 104658
4466 [기타] 잡아온 싱싱갈치를 갈치김장하고 갈치젓갈 담고 또 갈치속젓을 만들기(레시피) 32 2014.12.11 61893
4465 [장비관련] 전동릴 3000BM(무적) 설명서 3 file 2010.12.23 36458
4464 [낚시일반] 혹시 강화도에서 배낚시 가능한 곳이 있나요? 3 2007.07.07 35586
4463 [조행후기] 동해 황열기 낚시를 다녀온 조행기 및 채비법. 26 2020.02.20 35057
4462 [기타] 인천 쭈꾸미철 언젠가요? 2 2003.10.16 32394
4461 [가격정보] 유명한 흑산도 홍어와 대청도 홍어의 가격 및 맛의 차이점은? 34 file 2014.03.24 29935
4460 [낚시일반] 갈치낚시물때 6 2015.11.20 29927
4459 [낚시일반] 쭈꾸미.갑오징어 보관법 알려주세요 3 2010.09.21 29520
4458 [장비관련] 쭈꾸미 채비의 종결자 26 file 2011.09.27 29248
4457 [조행후기] 불멸의 가거초 '나바론 수중 요새' 2차 공격기(조행 안내) 38 file 2018.01.14 28889
4456 [낚시일반] 봄에 주꾸미낚시는 왜 안 하죠? 16 2010.04.29 27625
4455 [낚시일반] 갈치낚시-꽁치 미끼 써는 법? 6 2010.09.28 27217
4454 [낚시일반] 줄 꼬임이 덜하고 빠른 운용법의 갈치 낚시 목줄 (자작채비) 20 2017.07.02 27034
4453 [먹는이야기] 구박받던 풀치의 화려하고 기막힌 변신(맛깔스런 갈치젓담기 레시피) 52 file 2012.12.02 26851
4452 [먹는이야기] 갈치손질법알려주세요 12 2018.05.13 24857
4451 [루어관련] 초,중급자를 위한 문어낚시 (장비와 소품 그리고 낚시 요령) 22 file 2018.06.30 24699
4450 [낚시일반] '쭈갑의 전설' 천수만 해역. 손맛까지 쫄깃한 가을걷이.(+주갑낚시 팁) 24 file 2017.10.01 24683
4449 [낚시일반] 전동릴을 사용한 주꾸미&갑오징어 낚시 후기 25 2010.10.27 24460
4448 [낚시일반] 갑오징어 물때? 1 2018.10.04 24004
4447 [낚시일반] 광어 다운샷요령 5 2017.11.02 23970
4446 [알림] 왕갈치의 꿈 그리고 아주 간편한 집어등 걸이 및 줄걸이 만들기 45 file 2016.11.01 23891
4445 [낚시일반] 동해 황열기 채비 선택 고민..? 13 2020.03.01 23735
4444 [낚시일반] 낚시배/어선 허가사항 차이점이 뭔가요..?? 4 2014.03.13 23636
4443 [먹는이야기] 주꾸미머리는 삶아서 먹어도 되나요? 7 2013.10.31 23323
4442 [조행후기] 제주 갈치낚시배... 방주호!! 절대!! 안타렵니다!!! 74 2011.10.02 23315
4441 [루어관련] 선상 광어루어용 다운샷채비, 바늘&봉돌 묶음법 동영상 15 2010.11.16 23176
4440 [조행후기] 주꾸미와 갑오징어 낚시 세 가지 운용술에 대한 고찰. 12 2019.10.21 22287
4439 [장비관련] 갈치대 추천 9 2017.09.18 22281
4438 [낚시일반] 갈치낚시 물때는 언제가 제일 좋은가요... 3 2013.06.13 2222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49 Next
/ 1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