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알려주세요 배낚시

농어 시즌이 열리려면 두어 달은 있어야 하겠지만 마음은 바닷가 갯바위에
서있는 기분으로 글을 정리해 본다.

농어목 농어과 농어속인 농어에 대해 알아보자.

학명은 lateorabrax japonicus이며 우리나라연안과 중국.일본까지 넓게 분포한다.

봄부터 여름까지는 먹이를 먹기 위하여 육지에 가까운 얕은 바다로 이동하고,
겨울철에는 알을 낳고 겨울을 나기 위하여 수심이 깊은 곳으로 이동하며
어릴 때에는 담수를 좋아하여 봄에는 육지에 가까운 바다로 들어와
여름에는 강 하구까지 거슬러 왔다가 가을이 되면 깊은 바다로 이동한다.
육식성으로서 소형 어류, 새우류를 먹는다. 특히 멸치를 잘 먹어서,
멸치가 연안으로 몰려오는 봄, 여름이면 멸치 때를 좇아 연안을 돌아다닌다.
산란기는 11월에서 이듬해 4월이며, 산란은 연 1회 이루어지고 연안이나
만 입구의 수심 50∼80m 되는 약간 깊은 곳의 암초 지대에 알을 낳는다고 한다.

따라서 연안 겟바위 찌/루어낚시는 산란이 끝난 4월부터 10월~11월까지만
낚시를 할 수 있는 기간으로 보면 된다.

알은 4~5일만에 부화하여 새우나 곤쟁이류를 먹으며 성장하는데
1년에 23cm / 2년에 35cm / 3년이 넘어서면서 45~50cm로 자란다.
큰놈은 1m이상 잡히는 경우가 있다.
본인도 1991년 6월 제주 성산 외방파제에서 102cm 농어를 낚은 경험이 있는데
청갯지렁이 2~30마리를 한꺼번에 꿰어 aaa전지찌에 180~200m흘려 잡았던 기억이 있다.
남제주 신신낚시일행(고 교수)과 동성낚시(현봉훈 사장-지금은 완도로 옮겼지만)일행이
팀을 이뤘던 것으로 기억한다. 120cm급이 발밑에 뒹굴 정도로 천대(?)받는 어종....
그날의 기억이 너무 생생한데. 최송범이 고 교수님은 지금 잘 있는지 궁금하네.

암튼 농어는 서유구 “난호어묵지“에서는 꺽정어로 부르고 있으며
자산어보에서는 농어 작은놈을 보로어 (甫䲐魚)라고 하는데

보(甫) = 클 보   /  로(鱸) = 농어 로  어(魚)로  
어린것도 큰 물고기로 기록했으며
걸덕어 乞德魚 로 기록하기도 하였다...

이 기록은 난호어묵지와 유사한데
“난호어묵지“에서는 갈다기어 葛多岐魚로 표기하고 있다.
이는 지금의 깔다구의 어원이 이 갈다기어에서 빌어 온 것이라 보고 있다.

자산어보에 실린 특이한 기록은 1장(丈)=(10자)크기의 기록어가 있는데
이는 10자의 크기 농어가 있는것이 아니라
어른 장(丈) = 즉 어른크기만한 농어가 있을 만큼 큰 물고기로 표기한 것이라 본다.
농어는 조류가 약간 있는 곳을 좋아하며
아침/해질녘이 좋은 후킹타임이며 이른 새벽이 가장 좋은 후킹타임이다.
밝은 날 보다는 흐린 날이 좋으며 수심이 깊지않은 연안 자갈밭은
야간 루어낚시 포인트로도 좋은 점수를 두고 있다.

끝으로 농어는 간과 신장에 좋은 음식이라고 했으며
동의보감에서 “농어는 성질이 고르고 맛이 달며 독이 약간 있고 오장을 보하여  
근골을 튼튼하게 해주고 부작용이 없다고“되어있다.

봄기운이 느껴지는것이 이제 슬슬 루어대 손질할 시즌이 오고 있는 것이 분명하다.

tip
장(丈) = 척(尺)이라고도 한다.
1치[寸]의 10배이고, 10/33m에 해당한다.
자는 손을 폈을 때의 엄지손가락 끝에서 가운뎃손가락 끝까지의 길이에서
비롯된다. 자의 한자인 ‘尺’은 손을 펼쳐서 물건을 재는 형상에서 온 상형문자(象形文字)이며, 처음에는 18cm 정도였던 것으로 추정된다. 이것이 차차 길어져
한(漢)나라 때는 23cm 정도, 당(唐)나라 때는 24.5cm 정도로 되었으며,
이보다 5cm 정도 긴 것도 사용되었다고 한다.
한국에서는 고려 및 조선시대 초기까지는 32.21cm를 1자로 했으나,
세종 12년의 개혁시에 31.22cm로 바꾸어 사용해 오다가 한말(1902년)에 일제의
곡척(曲尺)으로 바뀌면서 30.303 cm로 통용되었다.
1963년 계량법이 제정되어 현재는 거래 ·증명 등의 계산단위로 사용하지 않게 되었으나 간간히 사용되어오다 이마저도 2006년 말 표준법에 의해 없어지게 된다..

Comment '1'
  • ?
    김초보 2007.03.07 11:33
    올해는 우럭낚시 접고 농어쪽으로 바꿔볼려고 장비 열심히 구입중입니다,
    그런데 생각보다는 장비가 고가라서 부담이 가네요.
    농어루어 포인트로 적합한 장소 공개할수 있나요? 인천에서 가까운곳이나 섬, 서해쪽으로 격포,군산 보령권 포인트도 부탁드립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날짜 조회 수
3720 [낚시일반] 평택항 아시는분? 4 2007.01.24 7503
3719 [기타] 대구잡이 3 2007.01.25 4817
3718 [낚시일반] 홍콩 남해유전 낚시 소개 1 2007.01.31 4748
3717 [장비관련] 3000H와 파워프로 궁합은 ? 5 2007.02.01 3940
3716 [낚시일반] 대구낚시용 목줄이 궁금합니다. 5 2007.02.01 6143
3715 [낚시일반] 파워프로 짝퉁 합사 구별법 4 file 2007.02.02 5871
3714 [낚시일반] 선상우럭.대구.지깅.....어떤낙수대가..좋남유 5 2007.02.03 4441
3713 [기타] 매송 I/C 근처 주차장 좀 알려주세요 5 2007.02.05 5901
3712 [장비관련] 전동릴구매할려고합니다. 5 2007.02.05 4401
3711 [낚시일반] 인천지역은 요즘?? 6 2007.02.06 3908
3710 [낚시일반] 추운겨울우럭미끼및목줄길이와적당한 낚시바늘크기 5 2007.02.07 8282
3709 [장비관련] 시마노 3000H 합사 감을시 질문 3 2007.02.07 4706
3708 [조행후기] 초보대구 8 2007.02.07 4916
3707 [기타] 비포 와 탐사가 궁금 합니다. 4 2007.02.09 3709
3706 [장비관련] 어떤 배 가 좋은 배 인가요 3 2007.02.09 3909
3705 [낚시일반] 남해 갯바위 낚시 문의 1 2007.02.11 4559
3704 [장비관련] 전동릴 비교부탁합니다 2 2007.02.14 4255
3703 [기타] 우럭대 비교 1 2007.02.14 4860
3702 [장비관련] 바낙스의 카이젠 7000 5 2007.02.15 5737
3701 [장비관련] 카본 비율 1 2007.02.16 4053
3700 [장비관련] (낚싯대 후기)제가 쓰고있는 낚시대 소개 2 2007.02.18 5695
3699 [기타] 희망사항 1 2007.02.20 4642
3698 [장비관련] 전동릴추천부탁합니다. 1 2007.02.21 5099
3697 [장비관련] 다이와 시보그500fe 한글 설명서부탁드려요 4 2007.02.21 3920
3696 [기타] 멀미는 몇미터 파도부터인가???? 3 2007.02.24 5385
3695 [장비관련] 농어대와 농어릴 추천바랍니다. 2 2007.02.24 8766
3694 [장비관련] 구명복 1 2007.02.26 3735
3693 [기타] 월별 해수온도 ? 1 2007.02.27 5716
3692 [장비관련] 전동릴 제발 추천부탁합니다. 2 2007.02.28 4659
» [기타] 물고기이야기-농어(갈다기어)편 1 2007.03.01 395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 149 Next
/ 1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