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알려주세요 배낚시

[낚시일반]
2008.08.04 10:47

전동릴 도움요청

조회 수 6764 댓글 4
10여년의 우럭및 대구낚시 끝에 전동릴을 처음 장만할려고 합니다. 주로 인천,신진도우럭,동해안대구 지깅낚시를 10여년 다녔슴니다. 지깅용로드 및 지깅용 릴을 그동안 우럭,대구병행하여 쓰다가 특히 동해안 수심150미터권은 체력의 한계를 느끼고 있어 이렇게전동릴을 장만코저 여려 선배님들의 의견을 구하고자 합니다. 보니까 시마노3000급들을 많이 갖고 계시든데 추천 부탁드립니다. 합사줄 8호가 250미터 정도 감기는 것으로부탁드립니다. 6호를 많이 쓰던데 줄엉킴시 많이 잘려나가드라구요 8호는 웬만해선그런일 없어서요. 수동릴은 꽤안다고 자부하나 전동릴은 처음이라여러분들의 의견 꼭좀 게재해 주십시요.전원을 배에서 연결하면 오래못쓴다고 하니 배터리도 좀 소개해 주십시요.감사합니다.
Comment '4'
  • profile
    주야조사 2008.08.04 19:30
    사실 서해안권 선상낚시에서는 초기 제품의 문제점을 보완하여 출시한 국산 카이젠
    7000P나 7000HP, 그리고 선상에서 60~70%를 장악하고 있는 시마노3000H를
    한단계 업그레이드하여 내어 놓은 시마노3000XH, 이와 비슷한 금액과 성능으로
    최근 패권을 다투는 다이와 500S가 주종입니다.

    이 3~4가지 제품은 대체로 저렴하고 실용적인 제품으로 서해안 선상조사님으로
    부터 많은 사랑을 받고 있습니다.
    또 권하고픈 기종들이구요.

    가격대도 패션몰이나 낚시점에 따라 약간씩 편차와 보너스상품을 끼워 판매하는데
    시마노3000H(40~54만원), 시마노 3000XH(50~62만원), 카이젠7000HP(23만원)
    다이와500S(38~52만원) 등등으로 우릴 헷갈리게 합니다.
    가격이 동일 제품인데 이렇게 차이가 나는것은 저의 추측컨대 정품과 비정품의 차이가
    아닌가?.... 생각해 봅니다.
    아무튼 제품의 기종선택이 선행되면 여러 쇼핑몰이나 낚시점에서 구매시 정품이라는
    품질보증서를 발급 받으셔야 나중에 제대로 된 A/S를 받으실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위 4종은 서해안은 물론 출조하는 횟수가 많지않다면 경우에 따라서 약간의 아쉬움은
    있을 수 있으나 대체적으로 드랙력에는 동해안 심해까지도 충분히 가능하다고 봅니다.
    만약에 추천된 4개의 기종을 경험에 비추어 권장하라고 한다면 시마노3000XH를
    말씀드릴 수 있겠습니다.

    선상에서 가끔 목격하는 경우인데 바닥에 채비가 바닥에 걸렸는데 줄을 장갑낀 손으로
    감아 올리거나 낚싯대 손잡이에 둘둘말아 당기지 않고 전동릴에 감긴 상태로 당기며
    무리를 가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것은 전동릴의 기어에 치명적이라 어떠한 좋은제품,
    고가의 제품이라도 제 생명을 다하지는 못 할 것입니다.

    집에 와서도 전체 방수는 불가능하지만 생활방수가 되게 제조된 이 전동릴을 약간
    미지근한 물에 샤워시켜 마른 수건으로 닦아 그늘에 말리는 정도까지만 해도 생명을
    연장시킬 수 있으며, 수시로 적당한 오일 주입, 이 정도까지의 애정을 줄 수있는
    분이면 글쎄.. 고장율이 훨씬 적지않을까 싶습니다.
    저도 3000h를 사용하나 한번도 고장이 나지 않아 잘 쓰고 있습니다.

    8호줄을 사용하고 싶다고 하셨는데
    5~6호줄보다는 강도면에서는 비할데가 없겠지만 거의가 5호정도 사용하는 서해안
    선상낚시에서 8호줄은 미운 오리털인것은 분명합니다.
    수심이 깊고 물흐름이 강할수록 저항을 많이 받아 옆사람과의 평행줄이 이뤄지지
    않는다는 이야기이지요.
    서로 줄엉킴이 호수차이 때문이 아니더라도 8호줄 쓰는 죄(?)로 책임소재에
    대한 항변이 어렵게 됩니다. 가끔 선상에서 목격되는 경우지요.
    8호를 꼭 쓰셔야한다고 해도 거의 권사량 300m가 가능한 제품들입니다.

    마지막으로 받데리 문제인데요.
    저도 한때는 불규칙적인 유선사의 전압에 무겁더리도 받데리를 부지런히 가지고
    다녔으나 지금은 그렇지 않습니다.

    제품의 설계과정에서 그 정도의 불구칙 정압에 결딜 수 생산되고 있다는 이야길 듣고
    실제 배의 전기를 사용하보니 아직까지 저의 경우 아무런 문제가 없습니다.
    초기에는 이런 문제점이 좀 있었다고 하나 배에서도 이러한 불상사가 있어 최근에는
    이를 염두에 두고 일정한 전압이 흐르도록 노력하고 있다네요.
    요즘은 웬만한 낚시배엔 거의 필수적으로 장착이 되어있습니다.

    가급적이면 일정전압이 유지되는 받데리 소지가 좋겠지요.
    받데리는 여러가지가 개발되고 있는데 무선 부착형, 허리착용 간편형(유선)
    일반 오토바이형 용품....

    혹시 받데리에 관하여 자세히 아시는 분 기술 바라겠습니다.

    행복한 출조길이 되시길 바랍니다.
  • ?
    이지훈 2008.08.04 22:01
    감사합닏. 주야조사님 역시 ........뿐이군요. 출조하시는 거 가끔 보니다.
    욕심없이 하시는 모습 멀리서 배웁니다. 건강이 함께 하시길.... 항상
  • ?
    가산노 2008.08.05 08:19
    음 ~
    전동릴은 주야조사님의 의견에 전적으로 동감합니다.
    실패에 탑재 할 수 있는 줄은 대략 시마노3000급.다이와500급은 똑 같습니다.
    6호 약 300m 8호 220m 정도죠.
    이지훈님의 8호 줄의 선호 이유는 인장력(강도) 떄문으로 이해됩니만......
    일본계열의 8호 줄 보다 더 강한(?) 6호줄도 시중에서 손쉽게 구입 할 수 있습니다.

    옥션이나 어부지리의 협력점(?) 일산**낚시에서 미국계열의 제품을 판매 하고 있더군요.
    전 편리하게 일산** **에 부탁하여 택배로 받고 있습니다만......
    파워프로.스텍트라.스파이더.등 은 고센등 일본제품 의 8호 보다 스펙상 강도면에서 월등하고 경험많은 꾼들이 선호 하는 편입니다.
    실패의 탑재량(권사량) 때문에 전 6호를 좋아 합니다.
    특히 울산심해에서는 8호와 6호는 조과에서도 차이가?????

    밧데리는 가나 밧데리 제조의 전동릴 전용밧데리를 강력 추천 합니다.
    가격.품질.등 일본제품과 비교해도 떨어지질 않습니다.
    참고 제가 근무하는 직장동호회에서 작년에 공동구매 하여 (가격적으로 조금 ) 사용하여 본 결과 현재 까지 불만은 이야기 하는 회원은 없습니다.
    참고로 제원을 대략
    14,8V 72,000ma 입니다.
    타제조사에서 판매 하는 제품은 45,000인데도 가격은 더 비싸더군요.
    가나 바뎃리의 홈피는
    www.battery04.com www.5282.com 입니다.

    전 위 가나밧데리와는 인과 관계가 전혀 없습니다.^_^
  • ?
    이지훈 2008.08.05 11:17
    가산노님 감사합니다. 의견 감사히 받겠습니다.밧데리 질문 추가하나로 드릴려고 합니다.
    염치 없슴다. 질문만 드려서.... 바로 올리겠슴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날짜 조회 수
3239 [낚시일반] 인천에서 배타고 시퍼요 꼭부탁드립니다 6 2008.07.19 4311
3238 [낚시일반] 광어를 잘 사냥하려면 어떻게하면 되나유??? 3 2008.07.20 5241
3237 [장비관련] 태풍이 지나고 나면... 8 2008.07.20 5595
3236 [낚시일반] 참돔선상낚시, 무더운 여름 날씨에.. 3 2008.07.23 4436
3235 [낚시일반] 자석 6 2008.07.24 4443
3234 [낚시일반] 녹이 슨 우럭바늘 7 2008.07.24 4689
3233 [낚시일반] 인천으로 8월초에 가는데 채비에 대한 궁금증이 13 2008.07.24 6046
3232 [장비관련] 다이와 A/S 2 2008.07.28 4232
3231 [기타] 피서지 2 2008.07.30 3906
3230 [장비관련] 다이와 씨보그 500R과 400W의 선택에서... 3 2008.07.31 3618
3229 [알림] 글 삭제 사과문 -어부지리- 10 2008.07.31 5837
3228 [기타] 글 삭제에 대한 의견 올립니다. 4 2008.07.31 3715
3227 [알림] 글 삭제 사과문 - 김석태 - 6 2008.08.01 4653
3226 [조행후기] 하루를 함께 한 정다운 이웃들... 6 2008.08.02 4136
» [낚시일반] 전동릴 도움요청 4 2008.08.04 6764
3224 [낚시일반] 오토바이 가게 밧데리 8 2008.08.05 6949
3223 [조행후기] 안녕 하시지유...춘달이 여유.. 5 2008.08.05 3800
3222 [기타] 선상과 에버랜드 대박 3 2008.08.05 3866
3221 [낚시일반] 거문도권 갈치선비 대폭인하 5 2008.08.06 5853
3220 [낚시일반] 국제 유가의 하락이 선비인하로 이어지는 건가요??? 3 2008.08.06 3761
3219 [기타] 속초권 바다낚시 안내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5 2008.08.07 5680
3218 [조행후기] 발걸음이 가벼운 이유. 7 2008.08.08 3962
3217 [낚시일반] 선상낚시에관한 책좀 만들어주세요 3 2008.08.11 3816
3216 [낚시일반] 여수 갈치낚시 그 속사정(철없고 순진한 어른들이 알아야할...) 10 file 2008.08.12 8089
3215 [낚시일반] 갈치낚시 좀 편하게 하실려면 5 file 2008.08.12 7448
3214 [낚시일반] 삼치를 잡아 회뜰려면 1 2008.08.12 4490
3213 [낚시일반] 갈치가실분 꼭 보세요. 2 2008.08.13 6219
3212 [조행후기] 한조금을 끝내고... 3 file 2008.08.13 5419
3211 [낚시일반] 연안부두 이야기 4 2008.08.15 4562
3210 [낚시일반] 선배조사님 인천 근해용 2단 외줄채비 만드는법 궁금해요 5 2008.08.16 834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 149 Next
/ 1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