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알려주세요 배낚시

보통 갯바위용 릴의 성능에 관해

중요한 부분이 볼릴의 숫자와 많은 상관이 있고

무지한 제 생각에도 의미있는 말인듯합니다

서해안 선상낚시....

남항 해성유선에서 "홍씨"라는 이름으로 본격적으로 시작한

우럭낚시에 처음엔구입한 전동릴이 유선 사무실에서

권해준 다이와 시리즈였습니다


이후 사용하는 릴의 수명이 다하고

우럭낚시 또한 신진도권의 먼바다 수심깊은 곳에서의

조행으로 침선 밑걸림에 여러번 사용부주의로 기어마모등과

주변에 장구통릴의 한계를 벗어나고자하시는분들께

사용후 그성능에 대해 조언으로

이런저런 일제 전동릴들을 격어봤는데

이번에 게시판에보니 국산 모회사제품의 디자인과

직접 경험해보지는 않았지만..

참이뻐보이기도하고

처음시작하시는분들께 요즘같은 엔고시대에 저렴하고 힘좋은 국산릴을

싶게 접할수있는 현상을 보니

이전에 비싸게 수입릴을 사용할수밖에 없었던 추억들이(A/S의 문제...)

떠올라 참 좋으시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각설하고요...

보통 릴을 접할때 드렉력이 장력이니 몇키로짜리냐....라는

내용이 쉽게 판단되어 구입하는 기준이 되는데

제 개인적으론 드렉력이니 힘이 좋고 않좋고를 떠나

근본적으로 기어의 힘과 베어링의 상관관계에 전문적으로 아니면

관심 가지셨던 분이 계시면 높은 고견을 청하고자(뜬금없어 죄송...-_-;;)

이번에 본 국산릴내용을 보다가 생각이 들어 잘몰라 여쭤보려해 이렇게 글을 올립니다...

많은 고견부탁드립니다..^^* 점점 수온이 올라 우럭들의 백태도 곧 사라질것이고 활성도도 좋은 시절이 다가오니

벌써..마음만 바쁩니다..^^

늘 좋은 봄날되세요~
Comment '5'
  • ?
    감성킬러 2009.04.15 10:12
    베어링의 역할은 도르래의 원리를 생각하시면 이해가 빠르실 겁니다.
    무거운 물체(고기)를 적은 힘으로 당기기 위한 목적이죠.
    베어링의 수가 늘어나면 상대적으로 '릴링이 부드러워짐'을 느낍니다.
    그러나 베어링 수가 선택을 결정하는 절대적인 요소는 아닙니다.
    베어링 자체의 재질이나 가공기술, 정교한 배치 등의 기술력이 릴의 품질을
    좌우한다고 보시면 좋을 듯 합니다.
    기어비는 핸들을 한바퀴 돌렸을 때 스풀이 회전하는 수를 의미하죠.
    매트릭스 L.B의 기어비가 2.8:1로 되어있는데, 이는 핸들을 한바퀴 돌렸을 때
    스풀이 세바퀴 조금 안되게 감긴다는 뜻입니다.

    전동릴의 경우 제 개인적으로는 '자동차'와 비슷하다는 생각을 하고 있습니다.
    처음 선택할 때는 요모조모 세세한 부분까지 따져보고 사지만,
    타다보면 어느새 내 몸에 익어 무감각해지는 자동차처럼
    전동릴 또한 쓰다보면 내 릴의 기어비가 얼마고, 베어링이 몇 볼짜리였는지
    전혀 신경이 쓰이질 않거든요.
    그만큼 전동릴 때문에 특별히 속을 썩을 일이 없다는 뜻이겠죠.
    스피닝릴을 쓸 때도 시마노의 '부드러움'이냐 다이와의 '견고함'이냐 중
    제 취향이 부드러운 릴링을 선호하는 쪽이었지, 나중에는 '재원' 자체를
    무시하게 되더라구요.

    주로 하시는 낚시에 맞춰서 편하게 쓰실 수 있는 제품을 선택하시면
    큰 문제는 없으리란 생각입니다.



  • profile
    민평기 2009.04.15 15:29
    국산릴의 베어링 숫자가 마음에 걸리시나 봅니다.
    다이와하고 비교하신 거 같은데요.
    시마노는 최고가 전동릴도 베어링이 2개입니다.
    다이와의 20여 개와는 비교가 안 되죠.

    베어링이 많이 있다고 꼭 좋다고는 말 할 수 없는 것 같습니다.
    그러나 같은 회사 내의 비슷한 계열의 제품을 비교할 때
    고가품일수록 베어링 숫자가 많아지는 경향은 분명 있습니다.

    쿨러의 몇대몇 보냉력이 타사 제품과는 서로 비교할 수 없으나,
    같은 제품군 내에서는 어느 정도 비교 대상이 되듯이.

    소음도, 베어링 2개의 시마노 제품이 더 조용한 거로 보아
    전체 제품이 맞물려 조화롭게 돌아가는 게 중요하다고 생각 됩니다.
    많음=정숙&부드러움/적음=떨림&소음 공식도 아닌 것 같네요.

    홍씨님 하면 실제 연배는 잘 모르겠으나 넷상에서는 최고 젊은 멤버 아니신가요!
    하늘로 날라가는 듯한 현란한 이모티콘을 구사하던.
    저는 이해 못 하고 넘어갔습니다^^
  • ?
    콜롬보 2009.04.15 16:12
    시보그 400fbe 문의드립니다

    다른문제는 없는데 채비입수하고 스플이 풀려내려가면서 드륵 드륵하면서 잡음이 발생하면서내려가네요 ㅠㅠ
    무슨 문제때문일까요? 입수속도도 느리고...답변좀 부탁드립니다
    ***********
    시보그400fbe는 스풀외경에 베아링이 있습니다 베아링이 스풀외경을 감싸다보니 베아링에 염분이 많이 끼는 현상이 있습니다 고급기종에는 베아링이 많이 들어가는데 릴링은 좋을지 모르나 그런 사소한 Trouble 이 많이 발생합니다...출조후 특별히 신경써서 관리해주셔야 합니다 응급처치로는 스프레이 오일이나 세척스프레이로 스풀옆면 베아링에 분사하여 돌려보시고 원천적으론 분해정비를 하셔야합니다

    ************

    위에글은 어느회원님의 물음에 대한 제가 답변한 내용입니다
    시보그 베아링이 (11/1) 볼베아링과 오일레스베아링 숫자입니다
    기종별로 다이와는 고가품일수록 베아링 숫자가 많습니다
    하지만 베아링숫자가 많다고 소음이 적어지는건 아닙니다
    소음은 시마노 기종들이 더조용하죠..다만 릴링시 부드러움과 힘에 전달력이
    좋아질 뿐이죠..
    고장율로 본다면 베아링 숫자가 적은게 여러부분에서 고장율을 줄일수 있습니다
    저희가 하는 우럭낚시에 기능을 보자면 굳이 베아링 숫자가 많아서 좋은건 없다고 봅니다
    하지만 고가의 릴들은 베아링 숫자도 중요하지만 저가의 전동릴의 후레임 자체성분과 부품내구성이 틀립니다 그래서 가격이 비싼이유도 있습니다
    가격저렴하고 기본기능을 갖추고 내구성이 좋으면 더이상 바랄건 없다고 봅니다
    이상 도움이 되셨는지 모르겠습니다






  • ?
    전동릴 2009.04.15 17:53
    베어링의 필요성은 샤우드(축)의 마모와 유격(흔들거림)을 없도록 하기위해

    본체에 홈을 두어 그곳에 배어링을 고정하여 축을 보호하는것입니다.

    축의 고정에는 오일레스와 유격조절능력을 갗춘 강판스프링이있는데

    시마노는 베어링의 숫자를 늘려 헨들등 유격을 조정하기보다는 오일레스와

    강판스프링을 사용한것이 다이와와 조금 다른것입니다.

    그래서 시마노보다 다이와가 조금 부드럽게 느껴지는것이라 보시면 됩니다.

    시마노는 세계 굴지의 베어링전문회사입니다.베어링이 없어서라기보다는

    기어의 크기등을 고려해 베어링 수를 줄인것이 전동릴의 크기를 줄인것이라보면

    좋을듯합니다.(베어링수를 맞췄다면 지금 릴보다는 조금 더 컷을거라 생각함)

    좀 더 기술이 축척되고 견고해지면 부피가 작은 전동릴도 생산하겠지요.

    그리고 베어링은 침전강으로 만들어져있기 때문에 오일을 주입할필요가 없겠지만

    염분이 많이들어가면 부식에 의해 소리가 나면서 유격이 발생하는것입니다.

    전동릴에서 베어링의 역할은 힘의 분배보다는 유격과 릴링시 소음을 줄이는 역할로

    보시면 되며 시마노/다이와 전동릴 소음차이는 베어링보다 모터의 차이가

    더 크다고 봅니다

    마지막 베어링이 많은것과 힘은 관계가 아주 없냐고 단정하기 어려운게

    베어링은 축이 회전하면서 마찰저항을 줄이기 위해 베어링을 설치한것이고

    마찰저항은 힘을 더 들게 할 요인이긴하나 그 힘이 릴링에 영향을 줄요인이

    아니기 떄문에 힘에 관계에선 극히 미비하다고 말씀드리는것입니다.
  • ?
    참우럭 2009.04.15 20:30
    아....이렇게 고견을 많이 제시해주셔서 공학쪽엔 무뇌한이었던 제게 식견을 넓혀주시니 감사드립니다..*^^* 이전까지 볼베어링의숫자는 자동차엔진의 몇기통이냐에따라 많은숫자는 곧 힘에 비례한다는 생각을 가지고있었는데 꼭..그렇다는것만은 아니라는것을 알게되었군요..너무 감사드리고 올해 어복 충만 하시어 기쁨으로 늘 바다를 바라는 우리 조사님들 되시기바랍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날짜 조회 수
1469 [낚시일반] 근해어초낚시 2단.3단 어떤채비를 사용하나여.. 18 2009.04.23 9007
1468 [장비관련] 보트스틱 사용해 보신분 계신지요? 2 2009.04.22 4005
1467 [조행후기] 청산리 벽계수야... 9 2009.04.21 4776
1466 [조행후기] <b>[풍산]<font color=blue>③</font></b>천수만에서 따뜻한 회원님들과 하루를... 21 2009.04.20 4941
1465 [장비관련] 선상낚시대 구입관련하여 조언 부탁 드립니다. 16 2009.04.20 8049
1464 [장비관련] 전동릴 a/s건 문의 1 2009.04.20 3445
1463 [기타어종낚시] 다금바리 실물사진.. 7 file 2009.04.20 7178
1462 [낚시일반] [설문 조사] 바다낚시터 조황 소식(완료) 2009.04.19 4028
1461 [낚시일반] 안전보다 우선한 것은 없습니다! 6 secret 2009.04.18 2668
1460 [장비관련] [문의]전동릴 파워코드에 대하여,,, 4 2009.04.17 4271
1459 [낚시일반] 우럭 웜 낚시 ... 5 2009.04.17 6652
1458 [낚시일반] 어초낚시하다가... 15 2009.04.16 6704
1457 [기타] 붕장어란~~!!(인낚 펌) 5 file 2009.04.16 5109
1456 [낚시일반] 붕장어낚시 9 2009.04.16 16393
1455 [기타] 벽계수호 아나고 전용선 18 file 2009.04.15 6822
1454 [출조문의/개인조황공유] 아나고선상낚시하는곳있으면알켜주세요 10 2009.04.15 5956
» [장비관련] 전동릴 베어링에 관하여 질문드립니다 5 2009.04.15 5210
1452 [기타] 만세를 부를때 10 2009.04.14 4482
1451 [낚시일반] 감성킬러님 의견에대해서 28 2009.04.13 5038
1450 [장비관련] 채비(기둥줄)이런방법은 어떤가요 8 file 2009.04.13 5224
1449 [낚시일반] <b>[감성킬러]</b>좌충우돌 어초(魚礁) 탐색기 - 저수온기 12 2009.04.13 5558
1448 [조행후기] <b>[풍산]<font color=blue>②</font></b>왕복 900리길의 영목항에서의 하루... 17 2009.04.12 5382
1447 [장비관련] 다이와전동릴 1 2009.04.11 4311
1446 [출조문의/개인조황공유] 낚시바늘 목줄 펴는 방법좀 가르쳐 주세요 10 2009.04.11 6054
1445 [낚시일반] 해수 온도가 궁금 할때 3 2009.04.09 5289
1444 [낚시일반] 전동릴에대해서 2 2009.04.08 4572
1443 [조행후기] <b>[풍산]<font color=blue>①</font></b>인천 앞바다는 아직도 어두운 겨울바다인가? 14 2009.04.08 5834
1442 [기타] 목줄 길이는 얼마가 좋은가요 7 2009.04.05 6443
1441 [장비관련] 참돔(타이라바) 전용대로 선상 갑오징어 가능할까요? 6 2009.04.04 7787
1440 [낚시일반] 3월29일 안흥 출조후기 궁금증.. 7 2009.04.02 487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 149 Next
/ 1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