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알려주세요 배낚시

[장비관련]
2009.05.29 20:20

L.B A/S 현재 진행형 입니다.

profile
조회 수 4590 댓글 10
우선 제가 글을 시작하게 된 동기부터 좀 오해가 있으셨던 것 같습니다.

"▶전동릴은 보급형도 무난하나 반드시 외산을 고려하세요.
특히 시마노(전기종) 전동릴은 초저속모드에서 (자동으로)속도일정모드로 작동됩니다.
//저와 다른 국산 700LB 전동릴을 주로 쓰는 감성킬러 님의 의견이 어떤지 듣고 싶네요.기회가 와서 사용하게 된다면 부탁드립니다.//"
- 어부지리님의 디카조행 중 <갈치첫출조예정자 Tip &제주갈치조행>에서 일부 발췌.

소위 ‘비싼 전동릴’은 초저속 모드에서 자동으로 속도일정 모드로 작동되는데, 제가 갈치낚시를 가서
L.B를 사용해 보게 되면 이 기능이 가능한지 체크해 달라는 말씀이셨습니다.
어부지리님이 쓰시는 국산 전동릴은 이 기능이 안되더라는 얘기였구요.
시기적으로 카이젠 7000 XP나 매트릭스 700 L.B로 갈치낚시를 다녀오신 분들이 계실까 상당히 궁금해집니다.  두 모델이 판매된 시점이 갈치낚시의 시기와 맞지 않기 때문입니다.
우럭낚시용으로는 적합하지만 갈치낚시의 조과를 좌우하는 초저속 속도 일정 모드를 구현할 수 있는 국산 모델은 어떤 것인가, 과연 있는가 하는 질문이었죠.
제 답변은 ‘지금 제 L.B로는 우럭도 못잡습니다’ 이구요.
상대적으로 카이젠으론 우럭 잘 잡습니다가 정답은 아니란 뜻입니다.
카이젠 신형으로 갈치낚시를 다녀오신 분이 계시면 이 기능이 가능한지 말씀해 주시면 한 가지는
검증이 되는 셈이겠죠.
즉 L.B와 XP의 우열을 가리자는 게 아니라 갈치 낚시에 적용 가능한 기능을 탑재하고 있는가가
Key Point인 셈이죠.

서론이 길어졌습니다.
오늘 은성사에서 수리가 끝난 물건을 택배로 보내왔습니다.
제가 요청한 부분을 체크해 봤는데 정상적으로 작동하는 걸 확인 했구요.
우선은 다행이지만, 일요일 출조에는 L.B를 쓸 수 없습니다.
핸들을 고정하는 너트가 어디 갔는지 보이질 않네요.
핸들을 따로 빼놓고 전동으로만 쓰라는 얘기인지...
인간이기에 가능한 실수라고 생각하고 싶습니다.
다시 은성사로 보내야 하는데, 좀 갑갑해 집니다.


Who's 감성킬러

profile
Comment '10'
  • ?
    풍산 2009.05.29 22:33
    오늘은 어떤장비로 낚시하셨나요?
    혹 일요일에 전동릴이 필요하시면......(여분 카이젠 7000hp 가있네요..)
  • ?
    감성킬러 2009.05.30 06:20
    타나콤 500S를 늘 가지고 다녀서 당장 낚시하는데 불편함은 없습니다.
    국산 전동릴의 품질검증을 해보려는 제 개인의 욕심이 있어서 올해는 L.B만
    쓸 계획이었구요.
    염려 감사합니다.
  • ?
    하하호호 2009.05.31 09:49
    고생되시겠지만~ 많이 써보시고 좋은점 나쁜점 많이 알려주세요~
  • ?
    퍼시픽 2009.05.31 20:21
    국산 전동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에서 베어링 언급이 있었는데 볼 베어링 인지 미끄럼 베어링인지는 모르겠지만(제가 구조를 몰라서....) 일반적으로 볼베어링은 국산이나 일산이나 중국산이나 리테이너 처리가 잘못되면 염분이 침투하여 녹이 슬게되면 베어링의 수명이 다하게 됩니다. 리테이너도 고무로 되어있기 때문에 수명이 영구적이지 못하구요. 규격에 있는지 모르겠으나 산업용으로는 스텐인레스(SUS)베어링 사용합니다. 일제라고 다 되는건 아니고 염분에 견딜수 있는 소재가 아닌건 아닌지 모르겠네요. 저도 카이젠 쓰고 있는데 시마노나 카이젠이나 수명은 비슷한것 같던데요, 국산품이 잘나가야 외화를 절약할 수 있을텐데 좀 아쉽네요. 카피 했을테데 사소한 미스가 있지 않나 생각됩니다.
  • ?
    감성킬러 2009.05.31 22:54
    네. 퍼시픽님 저도 그렇게 생각합니다.
    3개월을 넘기지 못하고 A/S 요청을 하게 된 과정이 더 안타깝습니다.
    님의 말씀처럼 '사소한 미스' 또는 제 전동릴에만 일어난 '우연'이었으면 합니다.
  • profile
    블루 2009.06.01 00:22
    국산 전동릴이 한단계 업그레이드 되는 계기가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 ?
    미군 2009.06.01 01:41
    어부지리상의 이름과 권의가 있는 분의 이야기라 그런가 2부에 걸쳐서 이렇듯 이슈가 되고 있다는 사실이 좀 그렇네요. 물론 우리 선상인들에겐 필수의 장비이고 많은
    관심을 가질 이야기임에는 분명하지만 말입니다.
    길다면 길게 선상낚시를 한 사람으로서 그동안 일산 전동릴도 3개나 써봤고 국산전동릴도 1년반 정도 사용중입니다만 아무런 문제가 없이 잘 사용하고 있는 사람도
    있다면 감성킬러님을 비롯한 몇분의 제품이 문제일 수 있지 않나 싶기도 한데....
    제 경우에는 다이와,시마노 제품을 몇번씩 수리하다 돈만 수태 잡아먹고.. 결국 포기하며 제 성질에 못이겨 집어던져 박살낸 경우라면?.....
    저 역시 몇회에 걸쳐 일산을 선택한 이유는 주변의 추천과 편입견의 선택이었다고
    스스로 생각합니다. 브랜드라는데 사람을 그렇게 만들게 하더라구요.
    세상의 어느 물건이나 몇개의 제품이 문제가 있을 수 있지 않을까요?
    그렇게도 많은 문제가 있는 제품이라면 소비자들은 벌써 외면하고 낚시점주님들도
    판매하지 않았을거란 생각입니다. 아직도 많은 분들이 권장하시는 분들도 계신데..
    웃긴 이야기로 제경우엔 일산 전동릴 1개가 국산 전동릴 3개 금액이 넘는 제품이었는데 차라리 그 돈으로 3개를 쓸걸~ 하는 생각도 해봤습니다. 뭐 국산이 그렇게 고장이 많다하여도 빙빙돌려서 쓴다면...... 고장나도 A/S는 빠르지 않을까....
    설마 3개가 하나의 수명만큼 못쓸까?.... 물론 농담이지만 말입니다.
    기분 상하실 이야기인지는 모르겠지만 자신의 권의를 만들기 위한 글은 아니었으면 하는 바램도 듭니다.
    반대의 의중도 있어야 하는 법이라~ 생각하시고 기분상하지 말았음 싶네요.
    끝으로 이렇듯 문제가 되고있는 회사의 국산제품을 월4회이상 1년반정도
    사용하고 있습니다. 제가 알기로는 그 회사는 일본 모 회사로 주문자생산을
    통하여 많은 경험도 있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감성킬러님의 건승과 대박을 기원합니다......

  • ?
    권용태 2009.06.01 11:13
    저도 국산 카이젠 초기모델h hp xp 다 사용중입니다
    중간에 베어링(소모품입니다)한번 간적있고
    h로 대구도 올리는데 지장없더군요

    xp로
    갈치는 못해봣지만 열기낚시 줄태울때
    100호로 저속모드 1단으로 초당 15~20cm정도 올라오더군요(배전원)
    갈치용으로 나온제품이라고 알고있습니다
    근대 문제는 배전원 12볼트로는 무리가 있을듯 합니다
    적정전원은 14.5볼트인데 약 80%의 힘밖에 못쓰죠
    500mt의경우 50kg의 80%면 약40kg의 힘을내지만
    7000xp는 20kg의 80%면 약16kg (대형 갈치낚시엔 좀모자랄듯합니다)
    그러므로 적정전원을 낼수있는 베터리나
    정전압기를 사용하면 가능할듯 합니다

    요즘저는 전동릴 분해 청소하는법을
    배웠습니다 청소 한번씩 해봤고
    앞으로도 가끔 청소할예정입니다

    전동릴 분해해보면 별거 없습니다
    관리 잘해주고 자동차 펜벨트 갈아주듯
    적정주기 지나면 부품갈아주고
    잘관리하면 오래 쓸수 있다고 생각됩니다
    h를 3년 사용했으니 앞으로 7년사용이 목표입니다 ^^;;

  • ?
    감성킬러 2009.06.01 19:52
    출조 다녀오니 좋은 말씀들을 남겨주셨네요.
    블루님,미군님, 권용태님 감사합니다.
    미군님께서 정말 좋은 지적을 해주셨네요.
    통계학적으로 옳으신 말씀입니다.
    가령 총 100대가 판매되었는데 제게 걸린 1대가 문제가 되었다 해서 그 제품이 좋지않은 제품이라고 말하는데는 분명 무리가 있습니다.
    제가 궁금했던 것은 '과연 왜 그렇게 된 것인가?' 였습니다.
    제 잘못일 수도 있고, 제조회사의 잘못일 수도 있다는 점을 간과하진 않았다고 생각합니다.
    선상낚시를 시작한지 얼마되지 않아 궁금증도 많고, 알고 싶은 것도 많습니다.
    제 전동릴에 나타났던 3가지 문제점이 관리 미숙이라면 '적절한 관리방법'의 Tip을 구체적으로 주시길 원했던 거 였고, 제조회사의 실수였다면 '전동릴 품질관리'에 대한 주의를 환기시킬 필요가 있다는 생각이었습니다.
    실제로 L.B가 출시된지 얼마되지 않았기 때문에 검증에는 더 시간이 필요할 줄 압니다.
    제가 원했던 것은 생산의 주체인 제조업체가 전문가적인 관점에서
    '이렇게 관리하시면 안됩니다. 이 현상의 원인은 이것이 었네요,'라고
    저를 나무라셔도 오히려 전 값진 경험과 지식을 얻게 되는 거란 생각을 합니다.
    논란을 2부로 나눈 것도 A/S의 결과가 너무 안일했다는 판단이 들어서였습니다.
    핸들을 조립도 하지않고, 부품도 함께 보내지 않아 제가 느낀 순간적인 황당함은
    어떻게 표현을 해야 좋을지 모르겠습니다.
    토요 휴무로 전화 통화도 안되고 오늘 선상에서 연락을 했더니 부품을 보내주겠다고
    합니다.
    그렇게 정리하기로 마음먹었지만 뒤끝이 개운하지만은 않습니다.
    고장 발생의 원인이 밝혀지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우선 부품이 도착하면 조립을 해서 다음 출조 때부터 다시 사용할 생각입니다.
    여러 선배님들께서 주신 Tip대로 관리방식을 바꿀 필요가 있는 부분부터 체크해서
    사용일지를 만들어 볼까 합니다.

    미군님 좋은 충고 감사히 간직하겠습니다.

    권용태님께도 다시 감사드립니다.
    저도 제 L.B를 10년 정도 쓸 생각입니다.



  • ?
    감성킬러 2009.06.03 12:41
    오늘 제 전동릴이 본래의 모습을 찾았습니다.
    우여곡절을 겪었지만 우선은 기쁜 마음이 앞서네요.
    핸들 고정 너트가 도착해서 조립 끝내고 다시 시운전(?) 해봤습니다.
    말씀드린대로 제 수첩에 약식으로나마 기록을 할 생각입니다.
    사용일, 시간, 출항시 준비사항, 낚시후 관리 등을 간단하게 적어서 성능이나
    수명 관련한 데이터를 남겨보려 구요.

    여러 좋은 말씀 주신 분들께 감사드립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날짜 조회 수
1438 [낚시일반] 심해칼치 해뜰때까지 낚시하는 배가 있는 가요? 9 2013.11.05 4604
1437 [장비관련] 혹시 발칸딥파이터 사용해보신분 계시나요? 2 2010.04.22 4604
1436 [장비관련] 다이와 3500번으로 선상우럭낚시..... 1 2005.07.14 4604
1435 [장비관련] 전동릴코드 8 2012.08.06 4603
1434 [낚시일반] 무늬만 낚시꾼님!갈치낚시때 한마리라도 더 잡을수 있는 비법을 부탁합니다. 2008.09.22 4603
1433 [조행후기] [풍산]당신도 이젠 환자일세... 21 file 2009.10.13 4602
1432 [조행후기] "대물참돔을 잡지 못할바에 모두 비우자 다음을 잡으면 되지,".우리는 이미 쿨러를 가득 채운 참돔이 있고~추억도 가득히 채우고 말았습니다. -bgm- 3 2019.03.29 4599
1431 [장비관련] 정보좀 주세요 10 2017.12.26 4599
1430 [기타] 안면도,태안 해수욕장 잘아시는분 부탁드려요 1 2003.08.02 4597
1429 [장비관련] 전동닐 1 2014.08.15 4596
1428 [조행후기] 바람이 탱탱부는데 과연 방어들이 나와줄까요? 여서도에는 파도와 바람이 심한데~ 조업은 계속되고 방어들 바이트는 계속??????????????? -bgm- 4 2019.01.28 4594
1427 [장비관련] 재활용 목줄 관리 케이스 2 file 2010.02.16 4594
1426 낚시 조황에 지진이 어떤 영향을 미치나요? 5 2013.06.24 4591
1425 [조행후기] 용왕니~임~ 파ㄹ ~자~요~오~(조행기) 1 2010.09.20 4591
1424 [낚시일반] <b><2010년 Now!> 다시 찿아간 가거초... 꿈꾸는 2년차.</b> 9 file 2010.02.01 4590
» [장비관련] L.B A/S 현재 진행형 입니다. 10 2009.05.29 4590
1422 [조행후기] <b>B_Ko②</b> 25일 오천항 쭈꾸미, 갑이 조행기 4 2009.10.26 4589
1421 [장비관련] 우럭 선상용 장구통릴에 좌핸들은 없나요? 4 2014.12.11 4588
1420 [장비관련] 전동릴 2 2016.07.12 4587
1419 [낚시일반] 9월5일 출조하구싶은데요~ 4 2007.09.02 4585
1418 [출조문의/개인조황공유] 11월10일(토) 우럭 어초.침선 낚시배 구해요 4 2012.11.01 4584
1417 [출조문의/개인조황공유] 낚싯배 6 2009.10.06 4583
1416 [출조문의/개인조황공유] 오천의 장대낚시 소개합니다 3 2006.08.11 4582
1415 [낚시일반] 꼬임 방지줄,,,,, 6 2004.10.28 4582
1414 [장비관련] 전동릴 사용방법 문의합니다. 2 2004.04.23 4582
1413 [장비관련] 하이퍼타나콤 500e 메뉴얼....... 그리구 밧데리 구입 15 2004.06.17 4579
1412 [장비관련] 전동릴 전원케이블 집게 3 2007.04.13 4578
1411 [낚시일반] "낚시는 과학이다" 스크랩해놨던 글 올립니다. 2 2006.12.29 4575
1410 [기타] 아랫글은 가짜뉴스 1 file 2020.12.04 4572
1409 [먹는이야기] 좀 엉뚱한 이야기 2 2018.01.03 457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 149 Next
/ 1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