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알려주세요 배낚시

[장비관련]
2009.06.01 13:26

리튬전동릴 배터리 선택시 참고사항

조회 수 7509 댓글 12
여러가지 이유로 전용 배터리 사용이 늘고 있습니다만  간혹
리튬전지의 특성을 간과하시어 얼마 사용하지 않아 용량이 작다거나
수명이 짧다고 하시는 분들이 계셔서 이해를 돕고자합니다.
배터리는 전동릴의 출력에 큰영향을 받으므로 사용하시는 전동릴의
출력(전기값)에 맞는(대응하는) 용량과 출력이 중요합니다.
리튬전지는 크게 이온과 이온폴리머(이하 폴리머)로 나뉘고 폴리머는
저방전(출력)용과  고방전용으로 나뉩니다.
이온과 저방전 폴리머는 출력이 유사하므로 같이 보시면 되고
전지의 낮은 출력은 용량으로 커버하여 경우에 따라 필요 이상의  용량이
요구되며 용량이 작으면 고출력 전동릴에 사용시 수명(유효 충전용량)은
현저히 짧아 집니다.
고방전 폴리머는 고출력 전동릴에 적합하며 출력에 구애받지 않아 필요한 용량의
배터리를 구성할수 있으며 고출력에 안전하게 대응하여 긴수명이 특징입니다.
전지의 가격이 높은것 외에는 전동릴에 매우 적합합니다.

이온과 저방전용 폴리머 배터리의 적정 용량은 사용하시는 전동릴의 최대 출력에 1/2 이상이면 적당하고 고방전 폴리머 배터리는 출력에 관계 없이 필요한 용량만
선택하시면 효과적으로 사용하실수 있습니다

제목이 적절치 않아 체크사항에서 참고사항으로 변경했습니다.

Comment '12'
  • profile
    민평기 2009.06.01 17:42
    히트님, 안녕하세요.

    전달하고자 하는 내용은
    <<리튬폴리머는 전지의 가격이 높은 것 외에는 전동릴에 매우 적합합니다.>>
    이 내용이신데 '왜 그런지'에 대한 설명은 부족한 것 같습니다.

    두 가지 장점을 얘기하셨습니다.

    1)긴 수명이라 하셨는데, 리튬이온과 리튬폴리머의 수명 차이는 보통 사람에겐
    그다지 와 닿지 않습니다. 이미 오래전부터 리튬이온을 사용해온 분들의 만족도가
    아직도 괜찮은 편인 걸로 봐서요.(이거 이상으로 좋은 참고는 없다고 생각합니다)

    2)'필요한 용량의 배터리 구성'은
    주로 사업자 측이 고려해야 할 사항이라고 생각되고요.

    이온배터리 중에서 수류탄형식의 배터리를 제외한다면
    현재 소비자가 선택할 제품은 몇 가지밖에 없습니다.

    몇 가지가 아니라 사실 4A와 7A+, 이 두 가지죠.
    현재 거의 모든 전동릴이 이걸로 사용 가능합니다.
    대형이나 파워 전동릴 한두 기종은 위의 두 가지 중에 높은 용량에서 잘 되고요.

    그러면 사용자는 가격이 높은 리튬폴리머 전지임에도 불구하고
    구체적으로 어떤 점이 더 좋아서 구매를 고려해야 할까요?

    리튬폴리머는 10~20% 정도로 조금 비싼게 아니라 아주 많이 고가입니다.
    용량 기준으로 리튬이온 대비 2배가 비싼 리튬폴리머를 고려해야하는 이유는?

    여태껏 이에 대한 답을 줄 수 없었기에,
    리튬폴리머 배터리가 시장에 적응할 수 없었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을 해봅니다.

    그 간 사업자임을 밝히시고 글을 써오셨기에 말 돌리지 않고,
    드러내놓고 질문 드립니다.

    나름대로 정확한 전달을 위해서 쓰고자 그랬는데, 제가 봐도 좀 그러네요^^*
    직설적인 표현에 대한 양해를 부탁드립니다.

    글을 읽었음에도
    제목으로 쓰신 '리튬전동릴 배터리 선택시 체크사항'이 궁금증으로 남습니다.

    시간 나실 때 추가 글 좀 부탁드립니다.~~
  • ?
    히트 2009.06.01 22:42
    지적에 감사드립니다.
    글 솜씨가 없다보니 말씀하신대로 핵심이 안보이네요
    이번 것도 솜씨가 없어 글이 길어 질것 같은 불길한 예감이-
    우선 리튬전지의 특성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고 지적하신 부분을
    정리해 보겠습니다.

    리튬이온전지는 용량의 2배(2C)이상으로 방전(출력)시키면
    전지에 열이 발생하여 전해액이 분해되어 누액의 원인이
    되고 낮은 발화점으로 쉽게 불이 붙어 폭발됩니다.
    또한 수분과 반응하면 수소와 열을 발생하며 격렬히 반응하여
    폭발하게 됩니다.(보호회로 없이 쇼트 시키면 폭발합니다.)

    폴리머 전지는 이온 액을 젤(폴리머)상태의 것이며
    누액이 없어 비교적 이온전지보다 안전합니다.
    가장 비교되는 특징이라면 방전(출력)설계가 자유로워 용량의
    30배(30C)까지도 가능합니다.(이것도 쇼트 시키면 터집니다.)

    전동릴 배터리팩에는 모두 보호회로를 부착하여 위에 언급한
    위험은 거의 없습니다.

    폴리머가 수명이 긴 이유는 여러 가지 원인이 있습니다만-
    보통 이온 전지는 1000회의 충,방전이 가능하다고 하는데
    그 조건은 충/방전을 용량(1C)이하로 했을 경우입니다.
    예를 들어 7A 배터리에 다이와 500MT를 사용할 경우
    500MT의 정격출력은 9A, 최대출력은 15A로 배터리는 전동릴의
    정격 출력에 딸립니다. 다만 용량의 2배(14A)까지 허용되므로
    전동릴의 구동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하지만 그만큼
    수명(충,방전 싸이클)이 줄어들게 됩니다.
    폴리머는 고출력에 대응하도록 만들어져 출력으로 인한 수명
    저하는 미미한 수준입니다.

    출력이 전지의 수명에 영향을 끼치는 것을 설명하기는 매우
    어렵습니다. 다소 적절하지는 않지만 비유로 설명 드려봅니다.

    배터리의 충전과 방전은 전하(전기 알갱이)가 양극을 왕복하여
    이동하는 과정으로 그 통로를 차로에 비유하면 이온 전지는
    차선이 한 차선(1C)으로 차가 1대씩 지나가야 이상적이며 급할
    (고출력시) 경우 2대(2배 속도로)까지 통행이 가능합니다. 1대씩
    지나가야 안전한 도로를 2배내지 그이상의 속도로 다니면
    도로(통로)는 손상을 입게 됩니다. 수명이 단축된다는 것이지요.
    고방전 폴리머 중에 15C를 예로 들면 15C란 용량의 15배까지
    방전이 가능하다는 것으로 차선으로 치면 15차선이 됩니다.
    일시에 15대의 차가 통행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이는 최대치로 이온의 2C와 같은 의미가 됩니다.

    이온전지는 부족한 방전율을 용량으로 커버하지만 기본적으로
    전동릴에 사용시 1C이상 방전(출력)에 항상 노출됩니다.
    위에서 언급한 1000회의 충/방전은 있을수 없습니다.

    한가지 더 언급하여 500MT에 맞추기 위하여 15A로 만들었다고
    가정하겠습니다. 이 경우에는 배터리 내에 전지의 수가 많아
    지게 됩니다. 리튬전지는 여러 개의 전지 중에 1개라도 제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면 작동이 정지 되고, 전압 차(셀 밸런스)가 발생하기
    쉬우며 이 역시 배터리로의 기능을 빠르게 상실시킵니다.
    배터리는 전지의 수가 가급적 적게 하는 것이 수명에 유리한
    합니다.

    또 말만 많고 정리가 덜된 느낌이 드네요.
    부족한 부분은 다음에 이를 바탕으로 단순화하여
    추가 하도록 하겠습니다.
    번잡스럽게 해서 송구스럽습니다.
    안녕히 계세요.
  • ?
    앵두 2009.06.01 23:13
    배터리 질문 하나만 할께요. ~~~~
    지금 저희가 사용하는 것은 베터리는 자체 전압을 사용하는데 이것을
    충전지 식으로 되어 있는거는 없나요? 그러니까 아래그림.... 참조
    =====(선박 전원)=====( 충전지 )======(전동릴)========
    충전지에서 전원을 모았다가 안정적으로 방출해주는것 혹시 없나요?
    (전압에 흔들림이 없다면 전동릴 수명도 늘어 나겠죠)
    산업 현장에서는 이러한 SYSTEM 많이 이용하는데... 우리 낚시인에게도 필요 할듯 하다는 생각이 드네요
    혼자만의 생각 이었습니다. 너무 어이 없다고 웃지만 말아 주세요
  • ?
    풍산 2009.06.01 23:44
    시건방지게 앵두님 질문에 짧은소견으로....선박 전원에 직결로 사용되는 레귤레이터를(완전하다면) 사용하면 문제는 해결될것 같고요. 히트님께 저도 질문 하나요...
    축전지 용량이라는것은 예로) 축전지 용량이 15A용량일 경우 소비용량 1A로 15시간 사용함을 용량으로 표시 하는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럼 MT500의 전류 소비용량이 정격출력일경우 9A라 하셨는데 2시간도 못 쓴다는이야기 아닌지요? 지금 시중에서 아직 검증안된 폴리머 축전지가 고개를 들고 있는데 제가 모 낚시점에서 실험용으로 제공한 폴리머 축전지를(완충전 여부는 확인 못하였음) 가지고 출조에 나섰다가 두번째 전동릴 구동하다가 정지 하는 바람에 레귤레이터를 귀항시 까지 사용한적이 있으며 슈류탄 축전지도 몇번 사용하다가 어쩔수 없이......, 폴리머 축전지 용량 6.5A, 슈류탄 축전지 용량 2.6A, 폴리머 축전지는 용량으로는 제 전동릴 소비전류로 카바는 될것 같은데 슈류탄 축전지는 2.6A용량 으로 전압은 모르겠지만 전류의 용량으로는 전동릴 카바는 어렵다 생각이 되는데 어케 생각하시는지? 전문가의 의견을 듣고 싶네요..
  • ?
    히트 2009.06.01 23:53
    앵두님께 말씀하시느거 혹시 UPS아니신지 -
    어째거나 현재 선상에서 님께서 말씀하시는것과 유사한것은 배터리를 내장한
    레귤레이터가 있습니다.
  • ?
    히트 2009.06.02 00:12
    풍산님께
    15A 배터리 1A로 15시간 맞습니다. 500MT 정격출력 9A로는 1.66시간 나오네요.
    이것도 맞습니다. 중요한것은 실제 모터 구동시간입니다. 1회 권상시간이 보통 30초
    전,후가 되니까 산수를 때려보면 대략 200번은 올리수 있을것 같습니다. 이정도면
    아무리 적게 잡아도 3일은 쓸수 있습니다.
    그리고 테스트 결과 일반적인 침선낚시에서 500MT 사용시 하루에 4A면 충분했습니다. 죄송한 말씀인데요. 다이와 배터리 대응일람표에 보면 무선 배터리의 경우 MT씨리즈와 시보그500FT, Z500FT에는 사용하지 말라고 되어 있습니다.
    그리구 폴리머라고 다같은거 아닙니다. 저방전과 고방전용은 물론 함량미달의 중국산과 대만산 공구상가에 가면 널려 있구요.
    리튬전지는 매우 예민하고 까다로운 전지입니다.
    안녕히 계십시요
  • ?
    풍산 2009.06.02 10:19
    죄송헙니다, 제가 히트님의 글에 태글걸려고 댓글 올리는것이 아님을 먼저 말씀드리겠습니다 .
    한가지 더 여쭙고 싶네요. 중국, 대만산은 모두가 함량미달의 제품인지? 아니면 더러는 이런 제품(함량미달)이 있다는 이야기 인지요?
    또한 국산 제품 중에는 이러한 제품(함량미달)은 없는지요?
    그러고 위에 댓글주신 내용중에 산술적으로 200회를 올릴수 있다 하셨는데, 과연그럴까요? 사용한만큼 전류는 소비될테고 남아있는 전류가 횟수가 거듭되어도 처음처럼 힘차게 모터를 구동시킨다고는 생각이 안되는군요 이것은 전류는 남아 있지만 모터를 구동시킬때 어느정도의 전류가 유지되어야 하지 않을까? 생각해봅니다.
    예로 충전이 계속되고있는 자동차 장착 축전지 같으면 처음처럼 같은 힘으로 스타팅모터를 구동시킵니다만 충전이 안되고 있는 상태에서는(단품 축전지) 어느정도 전류가 소모되면 처음처럼 구동이 아니되지요. 결국은 전류가 완전 소모 되기전에 모터는 구동이 어렵고 결국은 산술적인 계산은 맞지않을것 같은 생각이 드는데요...제가 잘못알고 있는지요?
  • ?
    히트 2009.06.02 13:47
    풍산님 제가 늦은 시간에 답글을 달다보니 다소 거칠었습니다. 죄송합니다.
    우선 전지 제작기술이 국산이 중국, 대만보다 우수합니다. 중국,대만 전지의 함량
    미달이라 함은 국산보다 품질이 부족한걸로 이해바랍니다.(이것도 따지면 말이 길어집니다) 권상횟수 200회 부분은 리튬전지의 특성을 이해하시면 의문이 풀립니다.
    리튬전지의 방전 그래프를 보면 초기에 약16.8v에서 15v대로 급격히 떨어진후 거의 수평에 가깝게 14v대로 가다가 잔량이 거의 소진되면 급격히 떨어집니다.
    (이온의 경우 잔량이 10%정도, 고방전폴리머 3~5%) 리튬전지의 여러가지 우수한 특징중에 한가지 입니다. 매우 효율적인 전지라는 겁니다. 전기가 바닥(3~10%)나기 바로 전까지 고출력을 유지합니다.
  • ?
    앵두 2009.06.02 14:28
    히트님,풍산님 맞습니다. ups 맞습니다. 이분야에서 일하시나요?
    정말 해박한 지식에 놀랍니다.
    히트님,풍산님께 귀찮게 자꾸만 질문하게 되네요
    선상에서 배터리를 내장한 레귤레이터가 있다고 하셨는데 어떤걸 말씀 하시는지 모르겠습니다. 설명좀 부탁 드립니다. 사진 같은거 혹시 있을까요?
  • ?
    풍산 2009.06.02 17:07
    제가 알기로 히트님은 전문가이시고 전는 아닙니다, 인천 리더 본점에서 히트님 물건을 접할수 있었고,,,,,, 전 낚시를 좋아하는 사람의 한사람일뿐이며 다만 고등학교(공고) 자동차과에 오래 동안 근무 하다보니 자동차에 사용되는 축전지를 자주 접하고....폴리머 축전지의 우수성을 어께너머로 접하고 공부중입니다.
    레귤레이터는 배에 설치된 전원장치에서 전원을 직접 전동릴에 사용하는것이 아니고 한마디로 일정한 전원을 릴에 공급해주는 물건이라 생각하면 되겠네요. 허나 아직 축전지도 그렇고, 레귤레이터도 그렇고 완전하게 검증된것 같지는 않아보입니다(제생각) 해서 저도 계속 사용해 보고 있네요.
  • ?
    히트 2009.06.02 22:49
    리더에 있느거 이리저리 테스트하던거라 상태가 불량하기도 하고 충전도 않된겁니다. 테스트나 해보시라고 나둔건데 -
    레귤레이터는 배터리 만들기 전에 맹글어 볼라고 자료를 수집하였지만 적지 않은
    문제점이 있어 포기한적이 있습니다. 배터리를 내장한 레귤레이터는 http://www.pcbassy.net 영진 기전입니다. 실물로 본적이 없어 품질및 기타상항은 알지 못합니다. 혹시라도 더 궁금하신점 있으시면 아는 범위내에서 언제든지--
    안녕히 계십시요.
  • ?
    앵두 2009.06.03 23:13
    히트님, 풍산님 잘보았고 이해 했습니다. 감사 합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날짜 조회 수
2970 [조행후기] <font color=red>②</font>왕초짜 [타조]의 두번째 조행기 19 2009.05.12 6434
2969 [지역정보] 제주도 갈치낚시 정보 부탁합니다!! 3 2009.05.12 5824
2968 [낚시일반] 우럭이 점점 줄고 있다는군요 10 2009.05.13 6062
2967 [낚시일반] 돗돔 191cm가 잡혔답니다. 3 file 2009.05.14 5346
2966 [기타어종낚시] 개볼락(돌우럭, 꺽저구..)에 대한 의문.. 4 file 2009.05.18 8034
2965 [조행후기] 안흥 땅을 처음 밟다. 24 2009.05.18 4438
2964 [조행후기] <b>[풍산]<font color=blue>⑤</font></b>출조중 가장 맛난 점심 식사를 ..... 20 2009.05.18 5150
2963 [조행후기] <font color=red>③</font>왕초짜 [타조]의 세번째 조행기 17 2009.05.20 5975
2962 [조행후기] <b>구명조끼의 필요성을 깨우치다.</b> 8 2009.05.20 5111
2961 [기타] 잔 씨알만 부담없이 잡아가라고? 7 file 2009.05.21 4225
2960 [기타] 최악조사 vs 최선 선단 11 2009.05.21 4897
2959 [낚시일반] 구명조끼 필요성 3 secret 2009.05.21 1715
2958 [낚시일반] 대구 낚시 ~~ 7 2009.05.22 7108
2957 [장비관련] 전동릴을 새로 구입하고자 합니다.알려주세여 5 2009.05.22 4464
2956 [낚시일반] 고수님들 초밥 만드는 방법좀 알려주세요 4 2009.05.22 5171
2955 [낚시일반] 가의도에 배가 집합했던 이유는? 4 2009.05.23 6260
2954 [장비관련] 국산전동릴 -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28 2009.05.26 10381
2953 [낚시일반] 시보그 z 500 ft 한글설명서 구함니다 .. 3 2009.05.27 3100
2952 [낚시일반] 이런경우도 있네요! 2 2009.05.29 3986
2951 [장비관련] L.B A/S 현재 진행형 입니다. 10 2009.05.29 4590
2950 [조행후기] 아우들과 아우낚시 10 2009.05.31 3988
» [장비관련] 리튬전동릴 배터리 선택시 참고사항 12 2009.06.01 7509
2948 [조행후기] 알려주 세요? 11 2009.06.01 4213
2947 [조행후기] <b>[풍산]<font color=blue>⑥</font></b>아름답고 조용한 마검포항에서 하루를 보내고... 29 file 2009.06.01 4888
2946 [조행후기] <b>[맑은샘]</b>선장님~ 시원한 맥주 한 잔 드실래요?ㅎ~ 11 2009.06.02 4219
2945 [출조문의/개인조황공유] 6월 6일(토) 현충일 5물 신진도.......물때가 어떨가요?(고저 차이가 많이 나던데요) 6 2009.06.02 5290
2944 [출조문의/개인조황공유] 농어루어 동출 한분모심 2009.06.02 3103
2943 [조행후기] <font color=red>④</font>왕초짜 [타조]의 네번째 조행기 23 2009.06.02 6102
2942 [출조문의/개인조황공유] 야간 우럭 루어낚시 가실분 2분모십니다 8 2009.06.03 4972
2941 [낚시일반] 갈치낚시용 지그헤드 3 2009.06.04 559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 149 Next
/ 1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