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알려주세요 배낚시

카본의 종류와 낚싯대의 제조공정
1. 낚싯대를 만드는 소재 카본
낚싯대용 카본 얀( CARBON YARN)은 대부분 일본에서 수입이되고 있는데 미쯔비시(MITSUISHI)나 토레이(TORAY) 주식회사에서 생산되는 제품이 대부분이고 RAYON 계열, PITCH 계열, PAN 계열 외에도 많은 계열로 분류되고 있으나 낚싯대용의 대부분 PAN 계열로 아크릴계 섬유를 내염화(200~300℃ 에서 2시간) 공정을 거쳐 탄소화 (1000~1700℃ 5분) 시키고 흑연화 (2500~3000℃)시킵니다.
여러가지 온도나 제조공법에 따라 저탄성에서 고탄성 까지의 여러가지 고강도 CARBON YARN 이 생산됩니다.

2. CARBON SHEET의 제조공법
탄소섬유(CARBON YARN)는 1/10000mm의 아주강한 필라멘트 실이라 생각하시면 되는데 옷감을 짜는 재봉실처럼 만들어 졌다고  생각하시면 되고 이것(CARBON YARN)을 단독으로는 어떠한 모양을 만들수가 없기 때문에 형태를 만들수 있도록 실과 접착제 기능을 할수 있는 고분자형 EPOXY 수지를 결합시킨 형태를 CARBON SHEET라 할수가 있습니다.
예를 든다면 삼베옷에 풀을 먹이는 공정이라 생각하시면 됩니다.
결국 CARBON YARN을 수입해서 국내에서 EPOXY 수지를 결합해서 CARBON SHEET를 만드는 공정을 거친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CARBON SHEET는 CARBON YARN 65~78% EPOXY + 수지 22~35%로 무게 비율로 구성되어 있으며 최소두께 0.01mm ~ 1.25mm까지 약 15종의 CARBON SHEET가 생상되고 있습니다.
고분자형  EPOXY 수지는 낚싯대, 골프채 등에는 경화온도 130℃에서 2시간 30분, 사용온도는 80℃용 열 경화성 수지를 사용하고 낚싯대는 이러한 CARBON SHEET를 낚싯대 마디마디 굵기에 따라 두께가 알맞는 것을 선택하여 사용하도록 제조되어 있습니다.
현재 낚싯대에 사용되고 있는 카본은 인장탄성율(kgf/㎟)에 따라 24 TON ,30 TON,36 TON,40 TON,46 TON을 주로 사용하고 이러한 CARBON SHEET의 밀도(g/㎤)는 1.76~1.84 정도이고 인장강도는 300~500kg정도 된다고 보시면 됩니다.
이러한 CARBON SHEET는 톤수가 높을수록 인장탄성율과 인장강도가 높아집니다.
결국 낚싯대는 1000℃~3000℃ 정도에서 구어낸 카본실을  EPOXY수지를 첨가하여 카본 SHEET를 만들어 여러가지 형태와 굵기로 만들어진 금형에 카본 시트를 2회~ 수회전 감아서 EPOXY수지가 경화될수 있도록 130℃에서 2시간 30분에서 3시간 정도 경화시켜 봉을 만드는 과정이라 보시면 됩니다.
이렇게 만들어진 카본봉의 명칭을 CFRP공법 제품이라 합니다.
한편으로 생각하면 낚싯대를 만드는 것이 별것 아니구나! 하실수도 있지만 앞서 말씀드렸듯이 낚시용으로 사용하는 CARBON SHEET에도 많은 종류가 있고 또한 같은 46TON 카본 톤수라 해도 내진율에 따라서나 CARBON  SHEET의 두께에 따라서도 종류가 나뉘어 지고 이렇게 많은 종류의 카본을 어떻게 어떠한 부위에 어떠한 공법으로 낚시대를 만드느냐에 따라 낚시대의 휨새나 바란스나 달라지게 되므로  좋은 낚싯대를 만들기 위해서는 상당히 까다로운 공정을 그쳐야 함은 물론이거니와 많은 수작업을 그쳐야 합니다.
또한 이러한 낚싯대를 만드는 방법이 어떠한 교본이 있는 것이 아니어서 낚싯대를 만드는 제조회사의 기술에 대한 노하우가 얼마나 축적이 되어 있느냐에 따라서 낚싯대의 질이 결정이 되어지는 경우가 많다고 보여집니다.
낚싯대는 한마디로 최첨단 기술의 결정체라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낚싯대 제조 공정
ⓐ 만들고자 하는 낚싯대의 종류에 따라 정확히 설계를 한다.
ⓑ 도면설계를 바탕으로 카본시트를 재단한다.
ⓒ 카본시트를 감을수있는 금형을 제작하여 열처리및 준비를 한다.
ⓓ 금형에 카본시트를 붙인다.
ⓔ 금형에 카본시트를 감는다.
ⓕ 각종 보조적인 카본을 붙여 마무리한다.
ⓖ P.P TAPE 또는 P.E.T를 외부에 감는다.
ⓗ 130℃ 성형로에서 2시간 30분 이상 굽는다.
ⓘ 적당한 온도에서 금형과 카본을 분리시킨다.
ⓙ 카본에서 p.p 또는 P.E.T를 벗긴다.
ⓚ 길이에 맞추어 양쪽을 절단한다.
ⓛ 표면을 페파또는 수세미로 연마한다.
ⓜ 연결부위에 1/100mm 이내 오차로 센타레스 연마한다.
ⓞ 표면에 약품 또는 물로 깨끗이 세척한다.
ⓟ 하도 도장
ⓠ 중도 반복도장
ⓡ 상도도장은 도장후 여러번 연마와 세척, 건조를 반복해서 한다.
ⓢ 인쇄, 마크, 마무리한후 마지막 상도를 마무리 한다.
ⓣ HANDLE 도색등 각종 도색을 마무리한다.
ⓤ 마디마디 연결부 길이 체크하여 조립하고 기타부품도 조립한다.
ⓥ 최종검사 포장한다.

출처 : 이씨낚시 http://ecfish6337.tistory.com
Comment '6'
  • ?
    소낙구름 2009.07.10 13:26
    어부지리 홈을 통해 낚시전반에 대해 배운 점이 너무 많았습니다. 항상 감사드리는 마음입니다.
    본인이 낚시에 관해 아는 지식은 전무하고, 아랫쪽 글에 카본 낚싯대와 낙뢰에 관한 글을 읽고 낚싯대 종류가 궁금하여 검색 하던 중 본문을 발견하여 조사님들께 혹여 도움이 될까해서 퍼왔습니다. 사진을 첨부하고 싶었는데 올라가지 않아서리~
  • ?
    감성킬러 2009.07.10 14:12
    자료를 정리하시느라 수고 많으셨네요.
    전문용어가 많아 이해가 어려운 부분도....
    로드의 선전에 나오는 문구가 이해 안되는 용어들이 많았었는데, 덕분에 궁금증이
    많이 풀렸습니다.
    낙뢰와 관련된 부분 때문에 올리신 건 아니죠?
    좋은 참고가 되었습니다. 감사 ^^*
  • ?
    똥글이 2009.07.10 19:18
    조금은 알고 있었지만 소낙구름님이 체계적으로 정리해주시니 명확하게 알것같습니다...역쉬~~~우리 낙구님이세여......
  • ?
    산적 2009.07.11 11:34
    역쉬 좋은 글입니다.. 많은 도움이 됐습니다..감사합니다..
  • ?
    동해(황성해) 2009.07.13 08:39
    아주많이 연구하신분 이십니다

    열정에 ..... 예를 표합니다

    한가지 의문점이 있어서요

    낚시대 허리 힘을 앞으로 주고 뒷쪽 으로 주고 하려면 어찌 해야하는지요???

    예를들면 ... 참돔대 경우 중반 조금 아래에 허리힘이 맞추어져 있구요

    우럭대 경우 3 ~ 5 번 가이드 부분에 허리힘이 맞추어져있더군요

  • profile
    블루 2009.07.13 14:20
    본문에 나와 있는 말을 인용합니다.
    ``사용하는 CARBON SHEET에도 많은 종류가 있고 또한 같은 46TON 카본 톤수라 해도 내진율에 따라서나 CARBON SHEET의 두께에 따라서도 종류가 나뉘어 지고 이렇게 많은 종류의 카본을 어떻게 어떠한 부위에 어떠한 공법으로 낚시대를 만드느냐에 따라 낚시대의 휨새나 바란스나 달라지게 되므로 좋은 낚싯대를 만들기 위해서는 상당히 까다로운 공정을 그쳐야 함은 물론이거니와 많은 수작업을 그쳐야 합니다 ``

    결국 자신이 원하는 로드를 만들려면
    공장에서 카본 시트까지 형성된 반제품 (블랭크)을 구입 또는 가져와야 하며
    원하는 휨새는 블랭크 단계부터 만들어져야 하기에
    기존 금형을 활용한다 해도 몇 개 만들기에는 쉽지 않아 보이네요.

    1PCS 로드라 하여도 초리 부분과 그립부분의 카본 톤수가 틀릴수도 있으며
    이는 일반낚시하는 분들이 구별하기는 어려울 것 같네요.

    원하시는 좋은 낚시대 만드십시요.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날짜 조회 수
4169 [장비관련] 콜롬보님 도와주세요!! 3 2009.11.25 4014
4168 [알림] 코피시2010 한국국제낚시박람회를 다녀와서 8 file 2010.03.17 4541
4167 [낚시일반] 코로나 19 사회적 거리두기 3단계 2 2020.08.26 6721
4166 [조행후기] 캬바레 지깅하러 여서도로 떠났어나 후덜덜한 입질과 함께 녀석을 제압해 가는데 초대형입질 강림에 완급조절에 들어가는데~~~~~ 신나는 트롯트 -bgm- 2018.12.23 3594
4165 [장비관련] 캘커타 300HG 분해문의 2 file 2017.09.16 3255
4164 [조행후기] 캔디의 좌충우돌 문어낚시 조행담 12 file 2009.10.10 6247
4163 [낚시일반] 캐스팅 할때 낚시 방울이 이탈 안되게 간단히 DIY 제작. 2021.08.27 1430
4162 [낚시일반] 칼치회 및 꽁치미끼칼? 5 2013.09.13 10707
4161 [낚시일반] 칼치바늘... 1 2014.06.09 4640
4160 [조행후기] 칼치낚시 처녀 출전 ...... 17 2011.11.07 5179
4159 [장비관련] 칼치 대장쿨러 3 2012.05.15 5811
4158 [장비관련] 2 2012.09.05 5176
4157 [기타] 카플란 하나 만들어 주세요. 5 2007.03.30 4300
4156 [기타] 카풀 모이는 장소(서해안고속도로) 안내 좀 4 2003.07.10 9558
4155 [루어관련] 카파님 찾으시는거 ? 4 file 2014.10.30 3350
4154 [알림] 카파님 오징어썰기 이렇게 함 해봐요^^ 4 file 2014.06.12 7482
4153 [장비관련] 카파(릴닥터)님~ 2 2015.07.01 3065
4152 [장비관련] 카이젠이 여러종류인데 어느걸로 골라야할지? 5 2008.03.20 4679
4151 [장비관련] 카이젠7000xp사용중 15 2009.07.30 6216
4150 [장비관련] 카이젠7000TM 사용해 보신 조사님 사용후기 좀 올려주세요. 9 2011.09.25 7803
4149 [장비관련] 카이젠7000SV에 대해서 고견을 기다립니다. 6 2010.08.07 4671
4148 [장비관련] 카이젠 사용 중이 신분 ? 5 2006.12.25 4657
4147 [장비관련] 카이젠 250 써보신분 추천좀 15 2009.07.14 5034
4146 [장비관련] 카이젠 250 설명서 알수 있는곳. 4 2010.05.11 4685
» [장비관련] 카본의 종류와 낚싯대의 제조공정 6 2009.07.10 5611
4144 [낚시일반] 카본과 호수의 관계사진 5 file 2014.11.07 3397
4143 [장비관련] 카본 비율 1 2007.02.16 4053
4142 [장비관련] 카본 기둥줄 3 2017.08.20 4941
4141 [낚시일반] 카고찌 간단히 만들기 2021.09.20 968
4140 [낚시일반] 침선포인트 및 어초진입 방향 과 요령 4 2005.05.27 809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 7 8 9 10 11 12 13 14 15 ... 149 Next
/ 1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