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알려주세요 배낚시

[가격정보]
2009.07.10 16:50

벼락과 열기낚시건

조회 수 5167 댓글 7
몇년前 어부지리 "알,배"코너에 똑같은 질문의 답을 한적이 있는데..

찿아보니 안보이네요...



선상낚시도중 雨中낚시의 경우 벼락이 배에 떨어지면 순간적으로

벼락(전류)은 바다에 通電되어 사람에게는 해가 크게 없다고 하겠으나

마른벼락을 사람이 직접맞으면 살아남을 가능성이 극히 적습니다.

온몸이 흠뻑젖은 상태라면 생존 가능성은 높으나

2도 이상의 身體(장기) 화상에 의해 정상적인 삶을 살아가기 힘듭니다.

아래글을 보시면 아시겠지만 인체는 금속과 관계없이 전도체 역할을 함으로

낚시대와 관계없이 낙뢰를 끌어들입니다..낚시대를 들고있다면 더 더욱 그럴테고요

강한 낙뢰를 맞게되면 전류는 (-)방향으로 흐르기 위해 이동속도를 이기지 못하고

순식간에 사람이 2~30m이상 튀어올라 낙뢰의 피해(화상)와 골절의 피해가

함께있었다는 사례를 볼 수 있습니다.  

    

자료를 찿다보니 몇년전 리더스타이제스트에 나왔던 내용이

네이버에 있길레 퍼왔습니다.




벼락은 간단히 말하자면 땅과 구름 사이에 전기가 통하는 현상입니다.

주로 여름철에 나타나는 적란운이 벼락을 내리는 뇌운입니다.

뇌운은 대개 꼭대기 쪽은 양 전하(+), 그리고 바닥은 음 전하(-)를 띠고 있습니다.

그리고 이런 전하분포는 지면에 양 전하를 띠게 만듭니다.

이때 지표와 구름사이의 전위 차는 수백만 볼트나 됩니다.



전기는 늘 양전하와 음전하사이를 흐르려고 합니다.

그런데 뇌운의 바닥과 지면 사이에 있는 공기는 그다지 좋은 전도체가 되지 못합니
다.

하지만 적란운이 동반하게 마련인 폭우가 쏟아져 공기가 축축하게 되면 전도성이

좋아져서 벼락이 치는 것입니다.

그리고 이때도 조금이라도 거리가 가까운 쪽으로 흐르려고 하다보니 뾰족한 탑이

나 나무, 건물 꼭대기에 번개가 치는 것입니다.

똑바로 서있는 인체는 머리에서 발끝까지 전기도체로 작용한다는 사실이 밝혀졌

고, 인체는 벼락에 대하여 매우 통하기 쉬운 통로가 된다고 합니다.

낙뢰를 유인하는 것은 인체에 붙은 금속이 아니라 인체 그 자체입니다.

머리보다 위쪽에 돌출한 물체가 있으면(예를 들면, 우산) 금속. 비금속에 관계없이

벼락을 유인하는 효과가 커지는데, 벼락을 맞지 않기 위해서는 자세를 낮추는 것이

중요하며, 금속을 버려도 안전하지 않습니다.

피부가 스멀스멀하거나 따끔따끔한 기분이 나고 머리털 등이 일어나면 번개가 칠

조짐이라고 봐도 무방합니다. 주변 지면에 전하가 충만해 있는 것입니다.

그럴 때에는 몸에서 쇠붙이를 떼어내고 큰 나무 밑을 피하는 것이 좋으며 눕거나 엎

드리는 것보다 웅크리고 앉아 머리를 숙이는 자세가 좋습니다.

이따금 벼락에 맞은 사람들의 이야기를 언론 매체에서 접하게 됩니다.

아프리카의 짐바브웨에서는 75년 한 오두막에 벼락이 내리쳐 21명이 몰살당한 비극

이 일어났으며 반면에 미국의 삼림 감시원이었던 로이 설리번이라는 사람은 일곱

번 이상이나 벼락을 맞았는데도 목숨을 부지한 기록이 있습니다.


그러나 대부분은 사람이 벼락을 맞으면 목숨을 잃거나 큰 상해를 입게 됩니다.

여러 정도의 화상, 골절, 내장파괴 외에도 나뭇가지 모양, 번갯불 모양 등으로 피부

에 붉은 반점이 나타나기도 합니다.

소지하고 있던 동전이나 시계 등이 낙뢰로 변형되는 일도 가끔 볼 수 있습니다.

사망의 원인은 호흡이나 기타 중추 신경 마비, 심장 장애, 과열 등이며, 다행히 살아

남은 경우에도 시신경이 위축되거나 백내장 등 눈의 장애가 일어나는 경우가 많다

고 합니다.


그러니까 번개는 안 맞게 벼락이 칠 즈음 잠시 낚시를접고 쉬는것이 좋겠죠?



그리고 아래글보니까 서해 열기에 관해 관심있는분이 많으신데

5년전 안흥프로호가 배 바꾸기前 낚시춘추기자들과 몇몇지인들과 함께

어청도 탐사에 성공해서 한동안 취재열기가 대단했던 기억이 납니다..



7월18일 영목항으로 열기위주의 낚시만 계획해서 출조나갑니다.

중간에 "우럭갑시다" 하시지 않으분만 리플주시면 같이 가겠습니다.

서해 어청과 직도침선위주의 열기 유영 높이는 대부분 알고있으니

좀 더 편한 낚시를 하실 수 있다고 보며 필요하다면 제가 브릿지에서 맨트하겠습니다

열기낚시에 관심있으신분 다섯분정도 리플주시면 되겠습니다.
Comment '7'
  • ?
    감성킬러 2009.07.10 17:21
    한사랑님의 문제제기에 전동릴님이 마무리 해주셨네요.
    오~싹!!!!!
    선상에서의 피해 사례가 아직 보고되지 않았다고 해서 우중 출조를 강행하시려는 분은 다시 한 번 생각해보셔야 할 문제 같습니다.
    장마철에 적절한 문제제기와 답변 때문에 유익한 정보 얻고 갑니다.
    감사...^^*
  • ?
    죽조사 2009.07.11 00:33
    영목학이라면 ㅍㄷㅅㄹ 타고 나가실건가 보네요.
    열기 위주의 출조라... 신선합니다. ^^
    예약현황을 보니깐 우럭+열기로 되어있던데
    혹 다른분이 우럭 나가시는줄 알고 예약하면 난감할수도
    있을것 같은데 한번 확인해보시죠....
    저도 가고 싶지만. 1년정도는
    살생도 삼가야하고... 목구멍이 포도청이라 낚시의 "낚"자를 꺼냈다가는
    마눌님한테 맞아죽을까봐 조심해야하는 처지라...
    다녀오신후 좋은 조황글 뵐수 있었으면 합니다.
    그리고 천둥번개가 치는 날씨의 예보가 있는데... 파도가 잔잔하다는 이유로
    출조를 하는곳이 있다면... 조사님의 욕심 때문일수도 있지만.
    선사측에서 강력하게 못나간다고 해야 마땅한 일이 아닌가 싶습니다.
    조사님을 돈으로 보는지. 아니면 진정 손님으로 보는지는...
    몇몇의 경우를 보면 알수 있죠...
  • ?
    산적 2009.07.11 11:36
    요즘은 열기가 싸이즈가 커서 잡은면 손맛도 괜찬은것같은데///
    이달에 출조가 많아서 마눌님한테 혼나요~~전 담에 기회가 되면...아쉽습니다,,,
  • ?
    항상부자 2009.07.11 11:57
    이~~궁./
    마눌님들.. 눈치 안보고 사는뱅법 ./???
    갈춰 줄분.. 읍나유!!.............................우쒸.
  • ?
    김포신사 2009.07.11 16:58
    오랜 만입니다. 지난번 출조에는 붕장어에 이슬이 많이 하셨는지요. 조황은
    어떠 하셨는지요. 사진이 많이 올라오지 않으셨더군요.
    이번에는 열분정도 가시나봐요.
    좋은 조황 하시고 행복 하세요
  • ?
    전동릴 2009.07.11 22:08
    안녕하세요~~~그리고 김포신사님..
    붕장어는 큰것 1마리와 작은것 7~8마리정도
    이슬이는 댓병 4~5개정도
    열기는 약 5~60마리정도 잡있습니다..그런데 사진은 안찍어주데요..
    집에 6마리정도 가져오고 후배가 잔치가있다고해서 다줘버렸습니다.
    그래서 제 쿨러에 사진이 없었나봅니다..
    담에 시간되시면 동출 함 가야죠...
  • ?
    김포신사 2009.07.11 23:54
    감사 합니다.
    20일 이후에 연락 드릴께요.
    이번에도 좋은 조황 올리세요.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날짜 조회 수
2460 [기타어종낚시] 백조기채비 1 2010.08.10 8267
2459 [낚시일반] 백중사리 2 2005.08.07 6556
2458 [낚시일반] 백중사리... 1 2007.08.27 4132
2457 [낚시일반] 백중사리... 2 2009.08.15 6843
2456 [기타] 백중사리가 8월 25일부터 9월 4일? 3 2004.08.14 6212
2455 [낚시일반] 백중사리때 낚시하기가 어떤가요 2 2007.07.24 5587
2454 [낚시일반] 백중사리와 바다낚시의 상관관계. 4 file 2018.08.14 13831
2453 [낚시일반] 백중사리와낚시 4 2003.07.30 7204
2452 [기타] 버스문의 3 2011.10.28 3689
2451 [낚시일반] 베어링도래 사용해 보신분....? 8 2009.04.27 4278
2450 [장비관련] 베이트릴 2 2011.09.11 5201
2449 [장비관련] 베이트릴 5 2018.08.28 4953
2448 [장비관련] 베이트릴 2020.10.21 3408
2447 [장비관련] 베이트릴 기어비에 대한 문의드립니다 3 2019.07.05 16173
2446 [장비관련] 베이트릴 사후관리 방법 4 file 2017.07.05 11752
2445 [장비관련] 베이트릴 여쭙습니다. 15 2016.09.07 11101
2444 [장비관련] 베이트릴 추천 7 2011.10.20 9716
2443 [장비관련] 베이트릴스플 분리방법 1 2020.07.05 4679
2442 [장비관련] 베이트릴에 맞는 낚시대... 2 2011.05.16 6302
2441 [장비관련] 베터리 A/S에 대하여.. 9 2013.03.22 3739
2440 [장비관련] 베터리 내장형 낚시대 완성 6 file 2009.12.26 4677
» [가격정보] 벼락과 열기낚시건 7 2009.07.10 5167
2438 [출조문의/개인조황공유] 벼르고별러서 4 2006.11.17 4371
2437 [기타] 벽계수호 아나고 전용선 18 file 2009.04.15 6822
2436 [기타] 변형 출조 1박 2일은 않되나요? 3 2008.05.15 3871
2435 [기타어종낚시] 병어는 낚시로 못잡나요? 8 2014.01.21 17237
2434 [낚시일반] 보구치&수조기 낚시법 5 2009.08.07 17477
2433 [낚시일반] 보구치(백조기)낚시법은......?? 3 2003.07.31 11706
2432 [낚시일반] 보구치낚시의 모든것을 정리해 보았습니다. file 2021.07.24 2710
2431 [기타] 보기만해도 든든한 황금봉돌 8 file 2008.11.14 551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 149 Next
/ 1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