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알려주세요 배낚시

밖에 눈이 이쁘게 소리없이 내리고 있습니다^^

설 전이라 모두들 조용한 이때~,,,  
문득 예전 어린시절이 떠올라서 이렇게 글을 쓰게 되네요.

먹을게 궁했던 시절...^^;;
국민학교(초등학교) 운동장에서 내리던~
하얀~,,함박눈을 입으로 받아먹으려고 요리조리 뛰어 다니던 기억이 납니다.

워낙에 날랜 넘들이라서 쉽게 입안에 골인 시키는것이 힘들었었지요.
코에 맞던가,,, 일명 눈탱이를 치던가~,,,
온 학교에 아이들이 눈이 오면 정말 개처럼 그냥 뛰면서 좋아했던 기억이 납니다.

이쯤에서~
갑자기 ,,,내리는 눈을 보며  문득 생각이 났습니다.

역지사지~...
내가 우럭이었다면,,,아니 대구나 다른 고기였다면~

물속~,, 머리 위에서 하얀 오징어가 나풀거리는것을 목격했다면
괴기 입장에서는 이것이 뭔 횡재다냐~``` 생각했겠지요.

그런데 이넘이~
가만 있지를 않고,,, 줄듯 말듯~,,

위 아래로 정신없이 왔다갔다 한다면~,,
저 같았으면 기분이 무척~``상했을듯 싶습니다.

줄려면 제대로 줄것이지... 애들 장난하는것도 아니고~
그냥 지풀에 나풀거리게...먹기 좋게 있다면 오 예~`` 를 외치면서
단번에 입에 넣었을텐데 말이지요..^^

제가 아는 바에 의하면~,,,
우럭은 은신처에서 몰래 숨어있다가 먹이를 보면
예민하게 주위를 살피며 서서히 다가서서~,, 단번에 문다라고 알고 있습니다.

그런데... 물살이 있고 주위 경계가 힘들때
정신없이 위아래로 흔들어대면,,, 귀찮아서 먹겠습니까??

자칫~`` 쇳덩이 봉돌에 머리를 맞는 불상사도 감수해야하고~
그런 위험한 상황을 맞을 수도 있는 상황에서... 우럭이가  모험을 할까?? 하는 생각입니다.

제가 낚시를 하면서 제일 힘들었던것이 고패질이었습니다.
얼마의 간격으로 해야하는지??  아직도 저만의 SOP가 없습니다.

무더운 날씨에...괴기도 안 잡힐때~
파도가 또는 너울이 심하게 쳐 속이 안 좋을때~

괴기는 잡아야하니... 팔에 의지해 올렸다 내렸다~
에너자이저도 아니고,,, 무한 반복~,,, ㅡ,.ㅡ
저는 낚시를 갈때마다 이런 의문을 갖습니다.

물론~,, 물때,,수온,,날씨,,계절적인 요소 등등~
많은 변수가 있다는것은 압니다만

옆에 잘 잡는 분의 말을 종합해보면
낚시에 왕도는 없다~,,라는 생각을 지울수가 없더군요.

고패질을 안하고도 편안하게 하면서,,,담배도 여유롭게 피우시면서도..
개우럭을 척척~`` 잡아 내는 분도 계시고~

또 어떤때에는 꾸준하게 어부님들처럼 고패질을 하면서
배에서 가장 많은 수확을 올리시는 분들도 계시고~

제가 온 사이트... 낚시 동호회에 관련 글들을 유심히 봤지만
정답은 그때그때 마다 다른것 같더군요.

고패질을 안하면,,,낚시가 참 편하게 되지요.
중간중간 바닥 높이만 확인하면 될터이니 말입니다.

바닥을 찍고 기다리는 낚시가 있는반면에
좀 더 감고 허공에서 기다리는 방법도 있고,,, 무한 리필하는 고패질도 있공~,,

하루종일 고패질을 할때 괴기가 잡히지 않는다면 무지 힘이 들지요^^
그렇다고 몇바퀴 감고 기다리다가 옆에 분이 고패질 하면서 잡는것을 보면

나만 혼자 허공에서 노는것 같은 불안감에 쌓일때도 있구요^^;;
제 주종목은 침선 낚시인데... 요즘들어 문어,,, 가자미&대구 낚시를 다니다보니

해야하나 말아야하나...이 두가지의 고민은 없는데
앞으로 우럭 낚시를 하게 되면 또 다시 고민을 하게 될 것 같습니다.

어느 분은 고기가 1미터 이상 떠있다~...
또 어떤분은 바닥을 긁었는데 5자를 몇마리를 걸었다~,,,
가자미 눈을 뜨고 옆의 조사님의 모습을 보며 따라해봐도~,,,

역시나 괴기의 운은 하늘이 점지를 해주시는것이라~
수산시장에서 사다먹는것 보다 못한 결과만 낳게 되더군요.

100호 봉돌도 물살에 휩쓸려 줄이 풀려 나가는것을 감안한다면
고패질은 어찌보면 먹는 입장의 우럭을 화나게 만들어 차라리 안먹고 만다~,,,
이렇게 만드는건 아닐까요?? ^^

제가 역지사지를 얘기했지만~
괴기도 사람도 생물학적인 측면에서는 모두 동일하다고 볼때에

아침 일찍은 아침밥을 먹어야하고~,,,
점심전까지는 일단 먹은게 있으니 버티다가 눈앞에 뭔가 있으면 먹고,,,아님 말고~

점심이후 열심히 살기위해 뛰댕기다가~,,,오후쯤부터 슬슬 식욕이 살아나고,,,
일몰쯤에 다시 밥을 먹기위해 왕성한 입질을 보인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결론은,,, 새벽 출항,,,아침 한두시간에는 고패질을 해도 안해도 무방하고
그 이후 시간때에는 먹이를 너무 요동치게 만들면~,,,

활성도가 떨어지는 시간때에는
오히려 역효과가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해봤습니다.

바닥에서 뛰우던지 아니면,,
바닥에 고정시키는 두가지 방법이 낫다라는 생각을 해봅니다.
고기가 없는 곳이라면~,,, 무슨 방법을 동원해도 안물것이고,,,
있다면 편안하게 해주는것이 우럭에 대한 예의가 아닐까 생각해봅니다.^^

아~,,,글쓰는 동안 눈이 그쳤네요.
고향에 내려가시는 분들께서는 눈때문에 차도 더 막히실텐데요^^;;

설 즐겁게 보내시구요~,,, 안전하게 올라 오십시요.
새해 복 많이들 받으시구요~^^*
Comment '3'
  • ?
    감성킬러 2010.02.13 08:09
    고패질의 장단점에 대해서는 많은 논의가 있었던 걸로 알고 있습니다.
    저 역시 우럭이 편안하게 먹을 수 있는 여건에 초점을 맞춘 낚시를 하곤 합니다.
    고패질을 거의 안하는 편이죠.
    여밭이나 작은 침선을 탈 때는 바닥 지형을 가끔 확인하는 선에서 그치고 있구요.
    침선이나 어초를 탈 때는 장애물의 느낌을 읽으려고 아주 짧은 고패질만 하고 있습니다. 하는 둥 마는 둥 정도랄까요?

    자연 상태에서의 우럭의 주된 먹이는 미꾸라지나 오징어채가 아니죠? (구경이나 했겠습니까? ㅎㅎㅎ)
    조류의 상단에서 흘러 들어오는 먹이감을 사냥하는 타이밍에 인위적인 먹이가 눈앞으로 흘러 들어 올 때 그걸 덮친다는 개념으로 이해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고패질이 '미끼의 역동적인 움직임 연출'에 초점이 맞추어진다면 별 의미가 없지 않나 하는 생각이 듭니다.

    고패질에 관한 논의가 재미있는 방향으로 전개될 것 같은 생각이 드네요.
    명절 잘 보내십시요. ^^*
  • ?
    프롤로그 2010.02.15 15:02
    정답이 없는 고패질 질문이었나 봅니다^^;;
    매번 출조시에 고수님들의 낚시를 하는 모습을 지켜보면
    대부분 바닥에서 얼마간을 띄우고 하시는 모습을 자주 봤습니다.
    고패질도 없이 초릿대만 보시는 모습들~,,

    전 가끔 선착장에서 어부님들에게 기회가 있으면 이것저것 물어봅니다만
    역시나 반반이었던 기억이 납니다. 조류가 있을때에는
    고패질은 필요가 없다가 정답이었고, 입질이 없을때, 바닥을 확인해야할때

    이런 경우엔 긴 타이밍으로 고패질을 해주는것이 좋다~,,
    전 이번 동해에서의 경험을 삼아 바닥 확인을 하는 경우를 빼고
    일단 고패질 없이 무조건 얼마만큼 띄우고 하는쪽으로 해 볼 생각입니다^^

    정답은 없겠지만 나름 자기만의 방법을 구축해볼 필요도 있을테니까요^^
    수온이 더 내려가기전에 한번 테스트를 해볼 생각입니다~*
    매번 그때마다 다르게 해왔으니 말입니다^^*
    감킬님도 설 잘 보내셨는지요?? 휴일이 무척 짧아서~
    내일부터 바로 출근을 해야하니... ㅡ,.ㅡ
  • ?
    감성킬러 2010.02.15 16:23
    네~ 프롤로그님 잘 보냈습니다. ^^*
    이틀 연속 음력 송년회(술 마시는데 이유는 정말...ㅋㅋㅋ)로 겨우 겨우 꼭 해야할 일만 했습니다. ㅎㅎㅎ

    고패질에 관한 해법은 역시 포인트 여건에서 찾아야 할 것 같습니다.
    말씀하신 조류와의 상관관계도 빼놓을 수 없는 부분 같구요.
    물이 적당히 흘러 먹이 사냥이 활발한 시간대에는 그저 입질의 느낌에만 집중하고 고패질을 하지 않는게 조과가 좋았던 것 같습니다.
    조류가 섰을 때는 가끔 바닥을 확인하면서 미끼를 적당히 움직여 주는게 효과적일 것 같구요.
    이어도님과 마검포에 갔을 때, 제가 깜팽이만 잡아냈던 악몽(?)이 생각납니다. ㅠㅠ
    선배님들께 배운대로 여밭에선 바닥만 확인하고 봉돌을 드는 낚시에 익숙해져 있던 때였는데, 포인트 지형이 움푹 패인 곳이어서 제 미끼는 그저 허공(?)을 지나가며, 깜팽이들만 유인해 내는데 그쳤었구요.
    고패질로 바닥을 자주 확인하던 이어도님은 웅덩이에 미끼를 밀어넣는데 성공하면서 개우럭만...ㅋㅋㅋ 일년 내내 '깜팽킬러'라고 놀림받던 계기였습니다.
    수온의 영향으로 먹이사슬의 분포가 큰 놈은 아래로, 작은 놈은 위로 뜨는 시기였던 걸 감안하지 않고 습관적으로 낚시했던 결과 였습니다.
    이 후로 어초나 침선, 또는 똥침의 높이가 멘트로 나오지 않는 포인트에선 살짝 살짝 바닥을 확인하는 고패질로 좋은 결과를 거둘 수 있었습니다.
    흔히 고패질의 가장 큰 단점은 바닥을 '쿵!!!!'하고 급하게 찍는 걸 많이 지적하시더 군요.
    '외줄낚시는 고패질 낚시다'라는 명제가 있을 정도로 중요한 테크닉 중의 하나라 낚시를 하면서 다양한 경우의 수가 축적되면 정답에 가깝게 가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해봅니다.

    새해 복 많이 받으십시요. ^^*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날짜 조회 수
2789 [장비관련] 광어다운샷 로드질문... 2 2012.09.28 9384
2788 [장비관련] 시마노 3000H 저속더천천히조정되나요 2 2012.09.27 4066
2787 [기타] 1주일 기상보는 법 좀 알려주세요. 2012.09.26 3765
2786 [조행후기] 나의 바다, 그 속 이야기(갈치낚시이야기 제2부) 8 2012.09.25 5762
2785 [조행후기] 남해바다로 별을 따러 떠난 방랑자들(시즌 도래한 갈치낚시편) 28 file 2012.09.25 7362
2784 [장비관련] 전동릴 자동줄내림 사용법에대해..? 4 2012.09.25 7191
2783 [장비관련] 낚시대가 안빠지는데 어떻게 합니까??고수님들의 대답... 8 2012.09.25 5304
2782 [조행후기] 36면 주사위 당첨 NS샷건 베이트릴 사용후기 2012.09.25 4803
2781 [장비관련] 전동릴 문의드립니다 1 2012.09.24 3546
2780 [장비관련] 또 새로운채비제작 1 file 2012.09.24 7543
2779 [낚시일반] 갈치낚시 수심층 5 2012.09.22 7325
2778 [장비관련] 낚시복 세탁문의^^ 11 2012.09.21 7315
2777 [낚시일반] 주갑채비정리했슈~ 15 file 2012.09.18 7025
2776 [장비관련] 시마노 3000h 전동릴 칼치낚시시 저속 (1단) 감기시 속도 6 2012.09.18 5932
2775 [장비관련] 국산 (인터라인)갈치낚시대 추천 부탁드립니다. 3 2012.09.17 9587
2774 [장비관련] 부시리대 3 2012.09.17 3996
2773 [장비관련] 다이와 전동릴 500fe 관련,, 3 2012.09.17 3782
2772 [낚시일반] 갈치 미끼에 대한 궁금증... 3 2012.09.17 6824
2771 [장비관련] 매트릭스300z 어떤가요? 11 2012.09.17 6714
2770 [낚시일반] 쭈꾸미 어떻게하면 많이 잡을 수 있을까? 25 file 2012.09.17 1138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 224 Next
/ 2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