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알려주세요 배낚시



목줄(가지줄)케이스

【사용방법】
1. 바늘케이스(10)를 분리하여 중공에 목즐을 통과시킨 후 바늘을 꼽는다. (사용설명도 1, 2)
2. 바늘케이스(10)의 중공 아래쪽으로 나온 목줄을 목줄케이스(40)에 결합 되어있는 턱부(22)의 중공에 밀어 넣는다. (사용설명도 3)
3. 바늘케이스(10)의 중공을 턱부(22)의 중공부에 끼워 결합한다. (사용설명도 4)
4. 캡(31)을 닫는다.(캡은 턱부의 결합공과 고무줄 등으로 연결)

【부호의 설명】
1 : 낚시바늘               2 : 목줄             3 : 장식물             10 : 바늘케이스  
 21 : 걸이구              22 : 턱부             31 : 캡                  40 : 목줄케이스

낚시줄에 바늘을 묶은 것을 목줄, 또는 가지줄이라고 하며, 통상 ‘목줄’이라 칭한다.
낚시 현장에서 밑걸림에 의한 목줄의 끊김이나 바늘의 크기, 목줄의 길이 변화 등의 이유로 여러 종류, 여러 개의 목줄을 휴대하게 되는데, 현장에서 그 것을 골라 쓰기가 불편하고 목줄의 꼬임이나 꺾임 등은 조과에 악영향을 주기 때문에 보관 및 휴대가 매우 어려울 뿐만 아니라 낚시 현장에서의 관리는 더욱 어려움이 많았다.
특히 선상 등에서는 선박 난간에 설치된 스폰지에 목줄을 꼽아놓고 사용하는데,
정리 및 회수의 노력과 시간이 소모될 뿐만 아니라 줄이 바람에 날려 엉키고, 회수한 바늘은 해수에 의한 녹이 발생하여 재사용이 거의 불가능 하였다.

이에 휴대, 보관, 사용이 간편한 제품을 개발하는데 그 뜻이 있으며,
이 제품은 반복적인 사용에도 낚시바늘의 흔들림이 없이 견고한 고정을 이룰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바늘케이스의 하부에 결합된 목줄케이스에 의해 길게 늘어뜨려진 목줄을 꼬임 및 꺾임 발생 없이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음은 물론 목줄케이스의 길이를 임의 조정할 수 있다.
바늘케이스의 상부를 덮는 캡을 구성함으로써 사용자의 부주의로 인해 낚시바늘이 걸려 빠지는 현상방지는 물론, 오염과 부식을 방지할 수 있으며,
캡의 하부에는 바늘케이스의 상면에 걸리는 단을 형성하여 캡이 완전히 눌리는 것을 방지하고, 캡이 씌워진 바늘케이스의 상측으로 공간부를 형성할 수 있으며,
이로써 낚시바늘에 구성되는 장식물이 훼손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목줄이나 낚시바늘이 외부로 전혀 노출되지 않기때문에 휴대가 매우 편리하다.

그리고, 상기 연결장치 또는 턱부에 구성되는 결합공을 이용하여
본 목줄케이스를 사용자의 벨트나 뱃전 등 유용한 장소에 걸어놓고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낚시 현장에서 바늘이나 목줄의 정리에 소요되는 노력과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    

(게시물 외 2-3 품목 등 특허출원완료. 생산, 관리 1명 요)

*. 게시물의 상품화가 괜찮다는 생각이 드시면 '추천하기'-- 부탁합니다.
Comment '8'
  • ?
    설원 2010.02.14 00:56
    대전님
    채비케이스가 아니라 목줄(가지줄)케이스입니다.
    낚시줄에 바늘을 맨 것을 목줄, 또는 가지줄이라 하지 않나요?
    밑걸림이나, 목줄의 길이 또는 바늘의 크기 교환으로 여러개를 가지고 다니죠.
    물론 줄이 꼬이거나 꺾임이 있으면 조과에 좋지않은 영향을 주구요...
    어느 목줄에도 적용이 가능한 케이스입니다.
    길이는 사용자가 임의 조절이 가능하고, 크기도 다양하게 제조할 예정입니다.

    쉽게 설명드리자면
    발포성 수지 또는 스폰지로 된 바늘케이스에 목줄이 매어진 바늘을 여러개 꼽고,
    그 목줄을 파이프 형태의 목줄케이스에 구김 없이 보관하도록 일체형으로 구성되어,
    현장에서 본 제품을 걸어놓고 목줄이 매어진 바늘을 하나씩 뽑아 쓸 수 있는 것이며,

    이러한 제품을 필요로하신다면 추천 부탁한다는 것입니다.

  • ?
    damin 2010.02.14 01:19
    비슷하게 자작으로 사용했는데요.
    녹색 프라스틱찌케이스 3000원/ 에어콘동관 보호용 발포수지/노란고무줄
    장점보다는 단점이 많더군요.
    저의 단점
    1.부피가 많이나간다. (중형선상가방 기준)
    2.선상낚시중 목줄케이스 둘곳이 없다 (바닥이나 선실지붕에 두면 굴러다닌다)
    3.해수에 접촉된 바늘이 다음에는 사용 불가정도의 녹 발생

    위의 단점으로 저는 그냥 싸구려 지퍼팩에 바늘 6개 정도 보관합니다.
    제가 선상에서 사용한 단점 입니다.
  • ?
    설원 2010.02.14 10:48
    위 그림은 삽화가 아닌 특허출원명세서의 도면을 일부 인용하다보니
    일반인이 보시기에 약간은 난해할 수도 있습니다.
    추후 자세한 것은 다시 올리도록 하겠으며,

    통상적으로 낚시가방의 내부 하단에는 릴 등 장비로 인하여 매우 복잡하지만
    상단은 아주 허름하기 때문에

    아래 목줄케이스 부분은 10mm정도의 원통이며,
    상단 바늘케이스 부분은 30-40mm정도의 원통형인 이 제품을
    통상의 낚시가방에 3-4개 넣어도 불편함이 없었습니다. (필드테스트 결과)
    바늘은 약 20개 정도 꼽을 수 있구요...

    도면 내 21번 걸이구를 이용하여 옷, 벨트, 선상난간 등 사용자가 요구하는
    어느 곳에나 걸어놓고 사용할 수가 있으며,
    오물이나 해수로 인한 부식은 캡으로 예방할 수 있습니다.

    수작업품과 양산품은 많은 면에서 차이가 있을 수 있을 것이며
    소비자가격은 0천원 정도......
  • ?
    대전 2010.02.14 11:52
    이제 이해가갑니다. 설명 감사합니다..
  • ?
    왕짱구 2010.02.14 13:35
    저도 지금 조금은 비슷하게 만들려고 하는데요
    생각을 많이 하고있습니다 .....
  • ?
    설원 2010.02.14 14:12
    소수의 수작업은 모양도 매끄럽지 못하고
    비용도 많이 들어가지요.
    거기에 인건비 계산하면...........
    그래서 양산을 하고, 권리를 보호하기 위해서.........
  • ?
    왕씨알 2010.02.16 01:14
    기다려 지는 군요. 한번 구입을 해볼까 합니다.
  • ?
    설원 2010.02.18 21:39
    왕씨알님
    아마 몇 개 필요하실겁니다. ^..^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날짜 조회 수
2789 [장비관련] 광어다운샷 로드질문... 2 2012.09.28 9384
2788 [장비관련] 시마노 3000H 저속더천천히조정되나요 2 2012.09.27 4066
2787 [기타] 1주일 기상보는 법 좀 알려주세요. 2012.09.26 3765
2786 [조행후기] 나의 바다, 그 속 이야기(갈치낚시이야기 제2부) 8 2012.09.25 5762
2785 [조행후기] 남해바다로 별을 따러 떠난 방랑자들(시즌 도래한 갈치낚시편) 28 file 2012.09.25 7362
2784 [장비관련] 전동릴 자동줄내림 사용법에대해..? 4 2012.09.25 7193
2783 [장비관련] 낚시대가 안빠지는데 어떻게 합니까??고수님들의 대답... 8 2012.09.25 5309
2782 [조행후기] 36면 주사위 당첨 NS샷건 베이트릴 사용후기 2012.09.25 4803
2781 [장비관련] 전동릴 문의드립니다 1 2012.09.24 3546
2780 [장비관련] 또 새로운채비제작 1 file 2012.09.24 7543
2779 [낚시일반] 갈치낚시 수심층 5 2012.09.22 7325
2778 [장비관련] 낚시복 세탁문의^^ 11 2012.09.21 7315
2777 [낚시일반] 주갑채비정리했슈~ 15 file 2012.09.18 7025
2776 [장비관련] 시마노 3000h 전동릴 칼치낚시시 저속 (1단) 감기시 속도 6 2012.09.18 5932
2775 [장비관련] 국산 (인터라인)갈치낚시대 추천 부탁드립니다. 3 2012.09.17 9587
2774 [장비관련] 부시리대 3 2012.09.17 3996
2773 [장비관련] 다이와 전동릴 500fe 관련,, 3 2012.09.17 3782
2772 [낚시일반] 갈치 미끼에 대한 궁금증... 3 2012.09.17 6824
2771 [장비관련] 매트릭스300z 어떤가요? 11 2012.09.17 6714
2770 [낚시일반] 쭈꾸미 어떻게하면 많이 잡을 수 있을까? 25 file 2012.09.17 1138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 224 Next
/ 2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