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알려주세요 배낚시







한달에 거의 2~3번씩 안았던 바다의 유혹을 매몰차게 거절하고 돌아누워서
끙끙대던 기간이 3개월이 다 되어간다.
전철을 탈때도 버스를 탈때도 창에 바다가 그려지고, 정류장의 예쁜 여인이
서 있을때는 그리운 바다와 함께 창문에 오버랩되어 마치 바다속 인어(人魚)
같아 깜짝놀라 눈이 휘둥그레질때가 한두번이 아니다.

나의 심장박동 같은 바다의 도성(濤聲)을 외면하고 살았던 그동안의 조갈고통
은 정말 반죽음이었다.
그나마 남은 반죽음의 지탱은 이 어부지리로 부터 전해 주시는 멋진 해남
(海男)들의 생생한 그림과 진한 바다내음이 있었기에 가능하지 않았을까?
나에게 평안과 안식을 가져다 주며 삶의 의욕이 분출되게 하는 활력발전소인
그 바다..
남쪽바다 보배로운섬 진도(珍島)로 '꿈속에 나오미'를 내일 만나러 간다.

내가 가는 남해는 지금(4월9일) 13'c 이상의 해수온을 보이고 있다.
비교적 차거운 물을 좋아하는 우럭들은 서해보다 1달가량 빠른 4~5월의 산
란철을 앞두고 신경이 아주 예민해져 입질이 까탈스럽고 조황도 그 어느때
보다 변화무쌍한 계절이다.

이미 낚시바늘에 걸려 올라오는 우럭들은 조황사진에 나타난 것처럼 모두가
배가 빵빵한채로 만삭인데, 산란에 필요한 15'c이상의 적정한 수온으로 상승
되어가는 요즈음, 깊은 물속보다 조금 얕은 연안으로 산란을 위하여 서서히
이동을 준비하고 있다는 것을 예견할 수 있다.

반면, 해수온이 6~7'c에서 맴돌고 있는 서해에서 올라오는 우럭 사진을 보면
거의 홀쪽한 몸집을 유지하고 있다. 배는 홀쪽하지만 성어가 된 이들도 계절적
으로 이미 궁합이 맞는 이성과의 교제를 통해 임신초기에 접어 들었다.

수컷은 항문 바로 뒤에있는 생식기를 암컷의 생식공에 밀어넣어 정자를 암컷
의 몸속으로 보내며, 몸속에 들어간 정자는 난소속에서 보내다 약1개월간 지나
난소가 성숙됨과 동시에 수정을 한다고 한다.

임신이 가능한 암컷의 년령대는 3년(체장35cm)정도 부터이며, 수컷은 2년이
경과된 30cm전후의 싸이즈라고 보면 된다.
임신한 우럭들의 알 수는 3년생(55,000~70,000개), 5년생(100,000~170,000개),
50cm급 개우럭은 대략 350,000~400,000개의 알을 생산할 수 있다고 하니,
우리는 이 자연의 신비스러움에 경탄하지 않을 수 없다.

알을 바깥에 낳아 부화시키는 태생의 노래미와는 달리 수정란이 모체내에서
발육하여 유생(幼生)의 난태생으로 산출(産出)되어 나가는 이 어린것들은
체장이 5mm정도로 위에서 언급한 대로 수온이 15~18'c정도의  30~40m권
연안 암초지대에서 이 산출을 시작한다.
서해에서는 지역별(격포-백령도), 다소 차이가 있겠으나 대체적으로 시기는
남해보다 1달가량 늦은 5~6월이 되지 않을까 싶다.

어미의 몸속에서 나온 이들은 해초가 많은 연안의 표층(특히 방파제나 방조제
돌틈), 또는 얕은 여밭에서 동물성 플랑크톤을 먹고 자란다.
성장과정에서 약70~80%정도는 제대로 성장해 보지도 못한채 먹이사슬에 의해
희생되고 20~30%만 생존하여 성장한 것들이 우리 낚시꾼들을 위해 기꺼이 몸
받치는 개체들 중 일부인이다.

사람들은 요즘 잡히는 우럭들이 맛이 없어 푸석거린다고 한다.
그 이유는 근육중에 많은 콜라겐의 성분과 다른 영양분 모두를 알들의 건강을
위해 빼앗기기 때문일 것이다.
이런 우럭들은 가급적 얇게 썰어 드셔야 그나마 씹힘성(촉감)이 좋다.

동심바다낚시동호회
주야조사(晝夜釣思)

Who's 晝夜釣思(주야조사)

profile
Comment '11'
  • ?
    감성킬러 2010.04.10 09:45
    역시 보석같은 정보~ 잘 보고 갑니다. ^^*
    글 내용 중에 산란 개체수가 눈길을 잡습니다.
    어족자원 보호를 위해 방생해야 할 싸이즈는 역시 큰넘이란 결론인가요?

    진도 출조에서 맘껏 바다를 낚고 오셨으면 좋겠습니다.
    오랜만의 바다행 축하드려요~~^^*
  • profile
    晝夜釣思(주야조사) 2010.04.10 13:40
    그래서 외국 어느 나라는 큰놈을 못잡게 하는 나라도 있다고 들었습니다.
    잘 안내해준 진도 잘~ 댕기올랍니다..
    무탈 기원해 주셔요.. 감사...^^*
  • ?
    똥글이 2010.04.11 12:31
    벌써 진도로 향하는 주야조사님의 행보에 많이 놀랍습니다..
    앞으로 많은 우리 선상낚시인들의 발걸음이 진도로 향하리라 예상하고 있습니다.
    물론 저희 동호회에서도 5월 일정을 잡아놓았구여...
    얌체같은 얘기지만,다녀오셔서는 진도의 뜨거운 조행기 기다리겠습니다...
  • profile
    블루(유지영) 2010.04.11 19:25
    산란철의 배부른 우럭을 잡게 되면 고민하는 분들이 많겠는데요..*^^*
    20% 정도가 아니라.. 1%만 25cm 이상으로 성장 했으면
    진도까지 가실 필요가 없을텐데요...^^
    따듯한 진도에 잘 다녀오시고 좋은 소식 기다리 겠습니다.
  • ?
    앵두 2010.04.12 00:34
    진도까지 가시는군요 ~~ 항상 무탈하시고 대박 나셔요 ~~...
  • profile
    晝夜釣思(주야조사) 2010.04.12 07:59
    여러분 덕분에 무사히 잘 다녀왔습니다.. ^^*
    토요일 밤9시 출발.. 새벽3시 출항.. 올라오니 오늘 새벽 1시경..
    무박3일... 정말 힘들고 먼 여정이었습니다.
    너무 큰 기대를 가지고 갔나요?.. ㅎㅎ 조황은 많이 부진합니다.
    이유는 우러기들에게 물어볼 예정입니다..^*^

    그러나 그토록 아름답다던 천년의 신비를 간직한 매혹스런 비경,
    홍도(紅島: 해질녘 섬 전체가 붉게 물든다 하여)도 일부이긴 하나 구경하고,
    태도와 멀리서 쉬었다 가라고 남 몰래 흐느끼며 외로워 손짓하는 까맣게 탄
    흑산도 아가씨의 흑산도도 먼 발치서 구경..

    진도 길가에 늘어서서 환한 미소로 우리의 여행을 반겨주는 만개의 벗꽃까지...
    선주님의 훈훈한 대접 등등을 종합해 보면 아쉽지만 결코 서운한
    여행이 아니었습니다.

    이번 출조길의 조행기는 함께 떠난 싱싱한 재료로 맛깔스럽게 글요리를
    잘 하시는 싱싱요리 전문가이신 타조님께 부탁했으니
    기대하셔도 좋을 듯 합니다..

    모두 염려해 주셔서 무사히 잘 다녀옴에 위 댓글 주신 분들께
    깊은 감사를 올립니다.
  • profile
    민평기 2010.04.12 16:04
    '우럭포에버'라는 모임이 결성되면 어떤 실천 목표를 세울까요?
    작은 고기 안 잡기? 혹은 큰 고기 놓아 주기?

    외국에 '농어포에버'란 단체가 있다는 얘길 듣고 생각해봤습니다^^*
    흥미로운 정보, 즐감했습니다~~
  • profile
    晝夜釣思(주야조사) 2010.04.13 07:06
    ㅎㅎㅎ 무척 고민되는 질문 주셨네요..
    " 작은 고기 안 잡기? 혹은 큰 고기 놓아 주기? "

    휴~ 답을 드릴 수가 없는 것 같습니다.
    적당히 잡으며 그 양에 만족하는 방법밖엔...
    늘 간강하십시오..



  • ?
    바다사랑 2010.04.13 18:29
    허걱~~!!
    발음대로 읽다보니 "늘~~ 강간하십시요~~"로 읽히네요...ㅋㅋ
    (주야조사님의 마무리글중 늘 간강하십시요...)
    오리시는글 항상 잘읽고있습니다.감사합니다.ㅎ
    무언가 댓글이 이어지리란 예감이~~ㅋ
  • ?
    감성킬러 2010.04.13 21:20
    의도된 오타라는 느낌이 강하게 듭니다. ㅎㅎㅎ
    그러게요~~
    주야조사님, 바다사랑님께서도 늘 간강하시길...ㅋㅋㅋ
  • profile
    晝夜釣思(주야조사) 2010.04.14 06:58
    하하하하 ~~
    감성.. 우쒸!~ 의도된 글... ㅎㅎㅎ
    제가 봐도 의심 살만 하네요....
    재밌다.. 오타도 경우에 따라서 즐거움을 주네요...
    바다사랑님, 잘 계시지요?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날짜 조회 수
207 [기타] 산란철 우럭들의 반란 33 2007.03.21 9203
206 [기타] 카플란 하나 만들어 주세요. 5 2007.03.30 4300
205 [기타] 지겨운 멀미 쉽게 극복하는 제안법 11 2007.04.07 9308
204 [가격정보] 꼴뚜기 미끼 싱싱하며 싸게 살 수 있네요, 12 2007.04.25 11412
203 [낚시일반] 요즘철(5~6월)은 어낚(어초낚시)의 계절 22 2007.05.08 8628
202 [조행후기] 배워도 배워도 끝이 없는게 선상 우럭낚시인가? 17 2007.05.23 9249
201 [기타] 요즘, 투명어묵 같은것이 바늘에 걸려올라오지요? 7 2007.06.12 5349
200 [기타] 8월의 백중사리란? 14 2007.07.24 11613
199 [낚시일반] 편대채비의 매력 11 2007.08.09 12917
198 [기타] 태안반도는 왜 작은 침선들이 많은가? 8 2007.08.28 7447
197 [조행후기] 가을 낚시 여행 4 2007.10.06 5645
196 [기타] 서해를 사랑하는 우리 낚시인이 해야할 일 4 2007.12.14 6206
195 [낚시일반] ☞ 우럭 쌍걸이는 어떻게 하면 잘 할 수 있을까? 2006.06.10 19451
194 [낚시일반] ☞ 여름철 여밭낚시 채비와 방법 2006.06.03 19568
193 [낚시일반] ☞ 낚시는 과학이다.(겨울 배낚시) 2006.10.25 18427
192 [낚시일반] ☞ 가을은 무거운 쿨러와 보너스로 개우럭 애인을 만날 수 있는 낚시인의 계절 2006.09.22 14796
191 [기타] 바람이 우리에게 주는 말 7 2008.12.17 5306
190 [기타] 2009년 띠별 조정비결 (釣亭秘訣: 낚시운세) 10 2009.01.01 7339
189 [출조문의/개인조황공유] 조광자(釣狂者)의 발정기...(그물침선낚시) 12 2009.01.22 8145
188 [기타] 위기의 서해 중북해지역 선상낚시 올해 전망 7 2009.02.04 754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2 Next
/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