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알려주세요 배낚시





안녕하세요.

갈치 왕초보 뉴에이입니다. 이번엔 바늘 관련 문의드립니다. ^^'

몇번의 갈치낚시 후 느낀점은...소위 좋다는 그 야마XX 바늘이..그닥 맘에 안들더라..입니다. 생각보다 끝이 날카롭지 않고...또 몇번 사용후에는 바늘 끝이 무뎌지더군요. 그래서...인터넷에서 바늘을 검색해서 그 야마XX 바늘과, 또 '오너 사베루 훅X'라는 바늘을 구입했는데요...

낚시점에서 구입했을때와는 달리, 야마XX 바늘 끝이 더 길고 더 날카롭더군요. 총 15봉지를 구입했는데, 2봉지는 전에 낚시점에서 구입한것과 동일하게 끝이 짧고 덜 날카롭고, 나머지는 길고 날카롭더군요. 같은 제품인데....ㅡ.ㅡ;

그리고, '오너 XXXX' 바늘은...끝은 매우 날카로운데, 미늘이 좀 짧고, 바늘이 전체적으로 얇은 느낌?...바늘 몸체 뒤쪽에 2개의 작은 미늘이 추가로 있는 형태였습니다. 아직 사용해보질 않아서....

혹시 사용해보신분 계신지요? 바늘이 얇고 날카로워서 쉽게 무뎌지진 않을런지요?

그리고, 야마XX 바늘도...바늘 끝이 긴건 뭐고 짧은건 뭘까요? 그냥 생산 품질 차이일까요?

알려주세요~ ^^

Comment '3'
  • ?
    감성킬러 2010.10.18 18:11
    갈치낚시의 출조 빈도가 높아질수록 저 역시 무척 고민을 하고 있는 부분입니다.
    어줍쟎은 갯바위 경험을 살려보아도 때로는 알 수 없는 부분들이 많이 있습니다.
    감성돔 바늘에도 장타를 날릴 때 크릴이 바늘에서 떨어지는 것을 막기 위해 역미늘을 채용한 형태가 있습니다.
    포인트 여건이 장타가 아니면 접근하기 어려울 경우에 주로 쓰곤 하는데, 이 역시 장타 캐스팅이 숙달된 분들께는 별 의미가 없었습니다.
    캐스팅은 일종의 '기술'의 범주에 들기 때문이죠.
    오너 갈치 바늘에 보이는 역미늘 역시 꽁치 미끼를 보존하기 위한 장치의 일환으로 보이는데, 그 효과는 상당히 긍정적일 것 같습니다.
    일단 완전한 미끼가 갈치 앞에 놓여야 입질 빈도를 높일 수 있다는데는 이론의 여지가 없어 보이구요.
    얼마 전에 제가 개인적으로 느꼈던 경험 하나는 형광튜브의 위치에 따른 훅킹 성공률의 차이입니다. 지인께서 선물해 준 웜훅(그 날카로움이 상상을 초월합니다.)을 썼는데, 영 훅킹이 되질 않더 군요.
    입질 빈도는 높은데 수확이 영 되질 않아서 고민하다가 급기야 선사에서 지급한 바늘로 교체했더니 거짓말처럼 훅킹이 되는 거 였습니다.
    바늘의 예리함은 웜훅이 월등이 앞서는데, 도대체 영문을 몰랐다가 형광 튜브의 위치에 관심이 갔습니다. 선사에서 지급한 바늘은 미늘쪽 가까이, 웜훅은 바늘 귀에 가까이 형광튜브가 위치하고 있더군요.
    이 차이가 훅킹성공률을 좌우했는지는 단언할 수 없지만, 알아 갈수록 점점 더 어려워지는 게 '낚시'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입질 활성도가 바늘을 교체하는 순간 극히 높아졌다는 가정도 어딘가 어정쩡해 보입니다.)

    바늘의 가공기술은 그 '예리함'과 '강도유지'에 있습니다.
    가벼우면서도 예리하고, 가늘면서도 마모가 쉽게 일어나지 않고, 적정한 강도를 유지하는 것이 이론상으로는 좋은 바늘의 특징입니다.
    뉴에이님께서 제기해 주신 오너 '대물대응' 바늘을 한 번 써봐야겠네요.

    답변도 뭣도 아닌 어정쩡한 글 죄송합니다~~ㅠㅠ
  • ?
    김포신사 2010.10.18 18:37
    킬러님 말씀에 공감 합니다....
    저 개인은 낚시점에서 판매하는 10개.5.000원짜리 (중)사서 초록색 튜뷰 벗기고.야광튜뷰(약 7~10cm)로 교체해서 사용 합니다.
    그리고 선사에서 제공하는 바늘을 사용 합니다.
    단 채비만 단차210에 10단 자작채비 사용하고 있습니다.

    무엇이든지 처음 시작하실 때는 이것저것 해보고 싶은것이 많습니다.
    바늘에서 부터 단차.원줄. 전동릴.낚싯대.집어등 기타........
    갈치낚시 채비는 선사에서 제공하는 것이 무난하다고 생각 합니다.
    이것 준비하면 저것도 해야하고....끝이 없습니다.
    저는 그냥 합니다.(짧은 개인의 사견이 였습니다.)
  • ?
    kgb8210 2010.10.19 18:30
    선사에서 지급하는 바늘은 예리한 면이 있으나 대물을 잡을시 벗겨지는 현상이 있어,
    왕갈치/ 대삼치 나올때엔 적정금액의 All59에서 판매하는 낚시바늘로 자작 채비합니다.
    바늘의 끝의 예민함은 손가락으로 끝을 눌러 보면 다른 바늘과 비교할 수 있고,,
    끝의 예민함이 오래가는 것을 확인하려면 시멘트 벽에 몇차레 바늘끝을 스크레치 해보시연 알 수 있습니다.
    최적의 바늘을 선택하십시요..
    갈치 낚시는 뭐니뭐니해도 바늘의 상태에 따라 훅킹을 많이 하냐 못하냐 차이가 나고..
    대물의 잡으시려면 선사에서 지급하는 바늘은 가급적 사용을 피하시는게 좋다고 개인적으로 생각합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날짜 조회 수
3719 [낚시일반] 겨울철 서해 심해,침선낚시방법 조언을... 1 2008.01.04 8515
3718 [장비관련] 국산 전동릴과 시마노 전동릴 고민입니다. 8 2015.04.07 8509
3717 [낚시일반] <font color=red>동해안 원투낚시</font> 3 2005.07.27 8509
3716 [장비관련] 다이와 딥존사용기 알려주세요 2 2011.09.01 8506
3715 [지역정보] 홍원항...오천항...숙박업소 질문드립니다.. 3 2015.08.05 8505
3714 [기타] 열기..맛있게 먹는 방법 알려주세요... 3 2008.01.03 8502
3713 [낚시일반] 답변입니다. 32 2011.10.04 8500
3712 [조행후기] 올 마지막 '슈퍼 갑'이 찾아 떠난 3박4일 서해안 여정이야기. 18 2019.11.14 8498
3711 [낚시일반] 나도 남들만큼 잡고 싶다! 그 비법 공개 제 6 부(쭈꾸미편) 15 2011.10.17 8494
3710 [장비관련] 은성사의 초소형전동릴 메트릭스300과 300Z의 차이점 4 file 2012.11.06 8492
3709 [물고기정보] 왕 열기는 살아있다. (삼복더위의 서해 열기낚시) 41 2010.08.07 8491
3708 [낚시일반] 대청도 우럭 채비 4 2015.06.30 8489
3707 [낚시일반] 갈치낚시 초보자도 대박칠 수 있다 5 file 2011.11.19 8489
3706 [낚시일반] 열기낚시의 특효(???) 미끼 12 file 2013.03.28 8485
3705 [루어관련] 광어 다운샷!! 훅 이야기 8 file 2011.08.10 8483
3704 [낚시일반] 우뢰기용 오징어 미끼 썰기 6 2014.06.12 8473
3703 [낚시일반] 망둥어낚시 1 2011.10.04 8465
3702 [알림] 기내반입, 화물칸 가능 배터리 규격 정보 4 file 2016.05.02 8460
3701 [기타] 갈치..한치.. 11 2014.07.14 8457
3700 [낚시일반] 선상광어다운샷 방법을 정리해보았습니다 2019.04.19 8456
3699 [장비관련] 전동릴 구리스및, 오일 주입구위치 알려주세요 4 2010.06.15 8456
3698 [기타] 전동릴 줄 쉽게 푸는 방법. 6 file 2010.09.10 8454
3697 [장비관련] 합사관리 이렇게 합니다. 16 file 2011.04.05 8448
3696 [낚시일반] 우럭 및 대구의 부레에 관한 소견 8 2009.02.18 8448
3695 [가격정보] 충청 내만권 선비인상 관련입니다. 14 2013.04.30 8440
3694 [장비관련] 갈치 체비 문의합니다, 4 2017.08.22 8439
3693 [장비관련] 전동릴 조치방법 5 2018.07.22 8438
» [낚시일반] [갈치 낚시] 바늘 관련 문의드립니다 3 file 2010.10.18 8433
3691 [장비관련] 갈치낚시대에 대한 생각과 관리 3 2013.11.10 8427
3690 [조행후기] 살아왔습니다. 31 file 2009.04.29 842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 149 Next
/ 1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