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알려주세요 배낚시

5A짜리 리튬이온 배터리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사용할때 별로 관심이 없었는데
오늘 꺼내서 충전하려고 보니까
가운데 부분이 불룩 올라와서 터질것 같습니다.

왜 이렇게 된것인지 궁금합니다.

Comment '7'
  • ?
    이상훈(파워맨) 2011.07.12 20:50
    염분이침투했을가능성이있슴니다 폭팔위험성도있으니 실내에보관치마시고 즉시제조사에 문으바람니다
  • ?
    콜롬보 2011.07.13 09:17
    내부에서 쇼트되어서 그럴겁니다
    배가 부를정도면 상태가 않좋은것이니 빨리처분하시는게 좋을것 같습니다
    저도 자작하다가 실패한 배부른 폴리머밧데리 몇개 있었는데 찝찝해서
    몽땅 폐기물로 처분해버렸습니다
  • ?
    어사 2011.07.13 16:50
    배터리을 3s{12.6v} 4s{16.8v} 용량이 소수점까지 똑같은것으로 역어야하는데
    현실이~~~~~ 비숫한것끼리하다보면 충전중 4.2v올라간놈 4.18v올라간놈
    요러면 방전에는 덜 올라간놈이 빨리달겟죠 이것을 수회하다보면 부작용이
    나타나지요 너무길것같아 여까지 ~~~
    소금물에다 넣어두면 자연적으로 부풀어 전압이 0으로갑니다 그때버리세요
  • ?
    콜롬보 2011.07.13 17:59
    결론은 내부쇼트보다는 각배터리셀에 셀전압이 일정치않아서 그렇군요
  • ?
    언제나 2011.07.13 19:21
    네.. 답변감사합니다.
    현재 4개의 셀 각각 3.76V로 모두 똑같습니다.
    제가 궁금한 것은 어떤 화학적 이론으로 팽창되는 것일까 하는 것입니다.

  • ?
    타조 2011.07.14 15:19
    리튬이온하고 폴리머하고는 조금 다른데요... 리튬이온이라고 하셨으니 그에 대해서 말씀드릴게요...

    1. 리튬이온 배터리 내부로 침수가 된 경우.
    리튬이온 배터리는 특성상 전해질 속에서 Li+ 이온의 농도가 수시로 변화하게 됩니다. 그러면 일정한 방전 속도를 가질 수 없기 때문에 LiPF6라는 화학물질을 넣어 안정화 시키는데 이 화학물질이 물과 반응하면 HF라는 물질이 생기게 되고 이물질은 아주 강력한 부식성 가스입니다.

    2. 과충전으로 인한 고온 가열.
    유기용제인 내부 전해질의 기화입니다. 유기용제인 전해질은 끓는점이 낮기 때문에 과충전으로 인해서 고온이 발생되면 기화가 일어날 수 있습니다.

    위 두 가지 경우 모두에서 셀의 모양 변화가 올 정도이면 내부 극판의 기계적 변형이 일어나게 되고 양극과 음극의 분리막이 찢어질 가능성이 생깁니다. 만약 분리막이 찢어지면 바로 폭발합니다... 따라서 바로 폐기하셔야 합니다. 설령 부풀은 것이 가라앉았다 하더라도 내부적으로 손상을 입은 상태이기 때문에 절대로 사용하여서는 안 됩니다. 건전지 폐기함에 버리시면 수거해서 알아서 조치합니다....^.^

    참고로 리튬 폴리머에서는 전해질을 유기용제로 사용하지 않으니 이런 일이 잘 일어나지 않습니다.
  • ?
    언제나 2011.07.14 22:37
    타조님 감사합니다. 이해하는데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날짜 조회 수
2460 [알림] 집 나간 가방을 찿습니다. 2010.04.12 3872
2459 [조행후기] 단소리 이야기... 17 2010.04.13 4154
2458 [장비관련] 시마노 3000 카이젠 후카세 스페셜(2010년 신형) 과 BM 3000 간단한 비교 3 2010.04.13 7177
2457 [장비관련] 시마노 전동릴 가격이 내릴까요? 3 2010.04.13 4862
2456 [출조문의/개인조황공유] 공현진항 및 강원도권 대구 낚시배 추천해주세요 1 2010.04.14 5596
2455 [장비관련] kapa님 도와 주세요*^^* 2 2010.04.14 3466
2454 [장비관련] 아래 kapa 님 글을 보다가.... 11 2010.04.14 4383
2453 [출조문의/개인조황공유] 열기잡아보신분들 갈켜주세요 4 2010.04.14 4432
2452 [장비관련] 정이니님 보세요 3 file 2010.04.14 4425
2451 [알림] <내용추가>비봉IC옆 구 도로에서.. 9 file 2010.04.17 6584
2450 [낚시일반] 물때표 보는법좀 가르쳐주세요 3 2010.04.18 7319
2449 [낚시일반] 배보다 배꼽이 크다면.... 2 2010.04.19 4169
2448 [장비관련] 시마노 전동 3000 PLYAS - 선상 줄 풀기 속도가 느려요. *.* 7 2010.04.19 4740
2447 [낚시일반] 선상낚시도 이리 분야가 많으니… 16 2010.04.19 5378
2446 [장비관련] 선배조사님들 인터라인대 추천좀 해주세요! 갈치~~ 7 2010.04.20 6319
2445 [조행후기] 34,35 왕초짜 [타조] 두번의 무박 삼일 15 file 2010.04.20 5917
2444 [낚시일반] 씁슬합니당..ㅎㅎ 4 2010.04.21 4643
2443 [출조문의/개인조황공유] 선상 고수님 출조지 문의드립니다.. 2 2010.04.21 4364
2442 [낚시일반] 알려 주세요 2 2010.04.22 3898
2441 [낚시일반] 제발 가지마세요.... 5 file 2010.04.22 6645
2440 [장비관련] 혹시 발칸딥파이터 사용해보신분 계시나요? 2 2010.04.22 4604
2439 [장비관련] 스피닝대에 베이트릴 5 2010.04.24 8290
2438 [기타] [정보] 중부고속도로 광주T.G(요금소)에 환승주차장이 마련됐다. 2 2010.04.26 4706
2437 [장비관련] 3000h 분해사진 구할때 없나요? 3 2010.04.26 3704
2436 [출조문의/개인조황공유] 소청도 4월 24일,25일 조황 10 2010.04.26 5485
2435 [조행후기] [풍산]또 다른 즐거움을 찾아서 떠나는 선상 낚시.. 17 2010.04.27 5257
2434 [기타어종낚시] 열기바늘은 세이꼬 몇호 바늘을 사용해야할까요? 6 2010.04.27 6495
2433 [장비관련] 시마노후까세 스페샬 3000 한글설명서 구해주세요 3 2010.04.27 3692
2432 [장비관련] 시마노 3000play 한글설명서 어디가면 볼수 있나요? 4 2010.04.29 3874
2431 [낚시일반] 봄에 주꾸미낚시는 왜 안 하죠? 16 2010.04.29 2762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 149 Next
/ 1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