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알려주세요 배낚시

삼각도래 및 쌍 바늘을 이용하면 매우 유익하리라는 이 곳 글을 읽고 크게 깨닫는 바가 있어,
2 번에 걸친 '시키는 대로 해보는, 실험 출조 결과를 말씀드립니다.
제 조법이 틀리거나 아무 것도 아닐 수 있음을 유의하며 있는 사실 그대로 적어봅니다.

* 7월 12일 외연도 다운샷 출조 결과/
- 전체적으로 입질이 까다로웠으나 전혀 입질이 없었던 것은 아니고 다른 사람 5마리 잡을 때 방생 사이즈 1마리 입질하는 수준 ㅡ 흥행 완전 참패

* 7월 28일 역시 외연도권 출조 결과/
- 삼각도래 조법에 약간 불같은 회의가 들었으나 마음을 다독이고 끓어오르는 실험정신을 널리 고양하여
다시 도전 - 결과는 역시 전과 동. 이 날은 전체적으로 제법 입질이 잇었으나 광어가 삼각지로 돌아가지는 않았고, 오후에
삼각도래를 포기하고 평소 하던대로 임하여 입질을 봄.

그리하여 제가 틀릴 수도 있으나 이틀간의 데아타를 바탕으로 나름 의견을 말씀드리자면,

실패의 제 1원인으로 새드웜이 자극적으로 나풀러기는 것은 좋은데 새드웜 위 아래가 바람에 구른 낙엽처럼 나풀거려 광어가 보기에
웬 미친 물고기가 배를 보였다 등을 보였다 하는가,
저걸 물어 말어 하다가 포인트 다 지나가는 것이 아닌가 하는 의구심을 지울 길이 없다는 것이 제 소결론인 것이고, 역시 생미끼와 루어는 엄연히 다를진대 좀 무리해서 발휘된 상상력의 결과물은 아닌가, 하는 단견 내지는 단상이 유수처럼 교차하는 가운데,
다음 번 부터는 누가 목에 칼을 들이대고 위협을 하더라도 삼각도래 내지는 티자도래는 쳐다 보지 않을 것임을 천지신명께 맹세하였답니다.

그래도 아직 광어가 웜의 등짝과 배를 과연 구분하는 지에 대헤 불같은 의문이 있으신 조사께서는 낚시 과학에 기여한다는 사명감을 바탕으로 새털처럼 많은 출조날 중 하루 정도야 대의를 위해 헌신한다 생각하시고 엄숙히 실험해 보실 것을 삼가 권유함.

이상입니다.^^
Comment '6'
  • profile
    윤따봉 2012.07.30 09:46
    sicera님 고생 하셨네요...님의 실험정신과 개척자적인 정신에 경의를 표합니다..
    다만 조금 의문이 남는게 있어서 몇가지 문의를 드려봅니다.
    첫째 삼각도래에서 웜까지의 거리(길이)는 얼마를 두셨는지요??
    둘째 도래에서 봉돌까지의 길이는 얼마쯤인가요??
    셋째 그러면 또한 웜과 봉돌의 간격은 얼마쯤 주셨나요??
    대충 이정도가 궁금하네요...
    삼각도래를 처음 언급하신 분은 바다낚시계에서 이름깨나 있으신 분으로 알고 있는데...
    그분의 채비와 다른점이 있나 하구요...저두 함 도전해 보려구요...(참고로 전 인천에서 시도하여 대광어 한마리 겨우
    건졌습니다...다른분들은 5~6마리 잡던데....)
    이번 광어 다운샷 삼각도래를 처음 언급하신분의 채비(가령 간격이라던지, 단차 뭐 그런거)와 물때, 물심 이런게
    맞지 않은건 아닌지도.....
    암튼 궁금하여 문의하였으니 가능하시다면 그날 채비의 상세 설명 부탁 드립니다....
    미리 감사 드립니다...
  • ?
    sicera 2012.07.30 10:31
    네에 따봉남, 저도 잡식성 바다낚시로 한 30년 한 사람입니다^^
    도래에서 웜까지의 거리는 15-25센티까지 다양하게 구사해 보았구요,
    봉돌까지의 단차는 30-40 센티 사이에서 운용하였답니다.
    확인 못한 것은 2호 바늘이 표준인가 하는 문제인데, 고기가 잘 물어주지 않아 확인 하기 어려웠구요,
    암튼 시키는대로 열심히 해보았답니다^^
    광어 다운샷은 작년부터 하였지만, 물심에 따라 봉돌 무게를 조절할 정도는 아는 사람입니다.
    제 견해가 무조건 맞지는 않을 것이고, 다른 분들의 참여를 기다립니다.
  • profile
    윤따봉 2012.07.30 10:47
    네...그러시군요...
    저도 인천쪽에서 실험정신이 발동하여 한번 시도해 보았는데....님처럼 꽝 했네요...
    그리고 홍원항에서 또 한번 꽝....그리곤 도래 없이 전형적인 다운샷으로 지난주에 이십여마리 했네요
    그래서 더 궁금했었습니다...
    다음 출조때 오전에 기본 조황을 확보하게되면 오후에 다시한번 도전해 볼려구요...
    아래에 김포신사님께서 쓰신 글을 보노라면...
    다른분보다 월등한 조황을 보셨다길래요...
    암튼 뭐....바다속은 들어가보지 않고서야 알수가 없으니.....운칠기삼인지...기칠운삼인지....
    어쨋든 뭔가 맞으면 아무렇게해도 대박인데....안될려면 별수를 다 써도 안되더라는...그래서 우리는 또 바다로
    고~~고 하는게 아닌가 싶네요...
    답변 감사했구요....늘 안낚하시고 개박 하세요~~
  • profile
    晝夜釣思(주야조사) 2012.07.31 07:41
    입질의 경우 바늘이 늘 위로 향하고 있어서 챔질시 훅킹이 유리한 소위 말하는
    정통채비가 단연 유리할 수 있습니다.
    채비에 관련하여 어느 것이 장단점이 많은지는 경험이 적어
    말씀드리는 것을 좀 그렇지만 선상에서의 낚시중에 줄 엉킴이 있을때는
    정통외줄 채비는 쉽게 풀 수 있는데 비해
    다른 복잡한 채비는 풀기가 쉽지 않아 양방간의 채비를 잘라야 하는
    그런 불편함이 있었습니다.
    간단한 정통채비를 선사에서 권장하는 이유도 여기에 있었습니다.
    절대 유리하지 않고 약간의 유리한 점이 있더라도 옆사람과의 채비를 풀기가
    쉽지않은 엉킴이 있다는것에 대해서는 한번쯤 생각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

  • ?
    김포신사 2012.07.31 18:13
    저의 삼각도래 채비운용 입니다.
    삼각도래 바늘줄 길이는 10cm 안으로 합니다
    (바늘줄이 길면 줄이 꼬입니다.)
    삼각 도래에서 2단 채비의 단차는 50cm로 합니다
    그리고 수심에 따라서 봉돌줄 길이를 다르게 운용 합니다.
    수심이 얕은곳은 봉돌줄을 약 70cm 정도로 하는데 이유는 봉돌이 길면 웜이 높게있어서
    잘 보이기 때문 입니다
    그리고 수심이 깊은곳은 평균 45~50cm 정도로 봉동줄을 줍니다
    또한 그 날 웜의 색상이 어떤것이 잘 먹히는지 다방면으로 실험을 해서 사용합니다
    저의 경우는 1단에는 흰색을 쓰고 2단에는 붉은색 계열이나 분홍색을 사용합니다
    광어 쌍걸이는 하지 못했지만 우럭은 쌍걸이를 여러번 헸습니다.
    광어는 위 아래 골고루 입질을 받았고요...
    외연도/화사도로 출조하면 평균 20수는 하고 돌아옵니다.
    어떤 방법이 정석이다 할 수는 없지만 여러 방면에서 실험을 해 보심도 좋을듯합니다
  • ?
    해류 2012.08.06 13:47
    저만 꽝친줄 알았는데...ㅎ
    저도 삼각도래에 바늘줄 길이는 5~10cm로 짧게...
    버림 봉돌줄은 1단 채비에 뒷바늘은 우럭바늘 18호...
    오천항 씨*이 시*리호 승선했을떼 45cm...
    전곡항 홍*식프로 보트 승선했을때 얕은곳 60~70cm, 깊은곳 40~50cm 로 운용...
    웜은 아침 흰색,해뜨고 빨강위주로 하되...
    동행한 지인들이 잡을때마다 최대한 같은색으로 바꿔주면서 입질유도...
    조과는...단 한마리도... 지처서...남들하는 채비로 바꾸고서 겨우 2마리씩 올리고...
    결론은 망신좀 당했습니다...ㅎㅎ
    제가 뭔가 잘못했겠지만...(그렇게 믿고싶습니다)
    그래도 새로운 도전에 재미는 있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날짜 조회 수
2649 [출조문의/개인조황공유] 쿨러를 채운다는 것 8 2009.11.25 4786
2648 [장비관련] 콜롬보님 도와주세요!! 3 2009.11.25 4014
2647 [출조문의/개인조황공유] 11월 28일 제주도 갈치낚시 출조배 추천해 주세요 2009.11.25 6597
2646 [장비관련] 시마노3000xh 수심측정불가? 10 2009.11.26 5396
2645 [장비관련] 시마노 3000h 질문 드립니다~* 3 2009.11.27 3857
2644 [낚시일반] 알려주세요! 14 2009.11.29 3974
2643 [출조문의/개인조황공유] 소청도 우럭 낚시 쿨러조황 보러오세요 8 file 2009.11.30 13942
2642 [장비관련] 은성 매트릭스 700 LB A/S 어떤지요?(갈치낚시) 12 2009.12.01 9110
2641 [조행후기] <font color=red>②③</font>왕초짜 [타조]의 23번째 조행기 15 file 2009.12.01 5644
2640 [출조문의/개인조황공유] 기름값 아까워하는 낚시배 16 2009.12.01 8064
2639 [조행후기] 올해 마지막 문어낚시를 다녀오며~ 8 2009.12.03 4206
2638 [조행후기] [풍산]오랜 기다림 끝에 만난 애인들과 출조를 다녀와... 15 file 2009.12.03 4884
2637 [기타어종낚시] 서해에서 낚이는 '볼락'은 '볼락낚시'의 볼락이 아닙니다 11 file 2009.12.04 13187
2636 [기타어종낚시] ^둘리^님이 사진을 찾으셨네요. 5 file 2009.12.05 4171
2635 [먹는이야기] <b>[^둘리^]</b>맛있는 우럭뱃살회, 뼈 발라내고 회 뜨기 11 2009.12.04 9988
2634 [장비관련] 낚시 선상받침대 2 2009.12.06 5676
2633 [기타] 갈치회 뜨는법 가르쳐 주세요 6 2009.12.06 13988
2632 [낚시일반] 동풍? 3 2009.12.06 5746
2631 [장비관련] 전동릴 다이와500s의 사용후기 문의드립니다. 11 2009.12.07 4703
2630 [조행후기] 갈치 斷想 - 그 첫 경험 1부 16 file 2009.12.09 554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87 88 89 90 91 92 93 94 95 96 ... 224 Next
/ 2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