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알려주세요 배낚시

[조행후기]
2012.07.30 14:41

광어 다운샷 강물의 채비

조회 수 11354 댓글 5
작년 가을 처음 광어 다운샷 갔을 때, 블루님이 바늘 묶는 법과 웜 다는 법 등을 가르쳐 주었고 그대로 했더니 조과가 좋았습니다. 얼마전 어부지리에서 삼각도래 채비법을 보고 저도 실험을 두어 번 해 보았지만 조과는 형편없었습니다.
역시 정통이 옳은 것이지요.

다만 광어 조과가 전혀 없을 때 생미끼를 사용해보니 놀래미 몇 마리는 나오더군요. 광어 다운샷은 정통 채비가 가장 입질 빈도수가 높다는 것을 확인했습니다. 그런데 저같은 초보자들은 다운샷 묶음법을 현장에서 바로바로 적용 못하니까, 쉽게 할 수 있는 채비법을 적용해 보았는데, 정통 묶음법과 마찬가지 입질을 받았습니다.  뭐 간단한 건데.

원줄 끝에 팔자 도래를 달고, 여기에 5호줄 정도를 1m 정도 달고(쇼크리더 개념),  다운샷 전용바늘 스핀다운 502를 바로 묶습니다.(어부지리 낚시가게에서 팝니다. 501도 사용해 보았는데 봉돌 낭비가 극심합니다. 501바늘은 봉돌을 묶지 않아도 되어 편하긴 한데 조금만 걸리면 봉돌이 떨어져 나갑니다. 502 추천), 바늘 아래 50cm 정도 4호 줄 정도를 묶고 봉돌을 답니다. 대개 채비가 걸리면 봉돌 혹은 봉돌 묶은 부분만 떨어져 나갑니다. 이러면 새로 바늘 묶을 필요가 없어지지요.(정통 묶음법은 바닥 걸리면 대개 바늘 묶은 부분이 떨어져 나가 다시 채비를 만들어야 하지요. 시간 걸리고 열 받습니다.)

제가 하는 채비도 가끔 바늘이 걸리는 수도 있어 원줄 팔자 도래 아래가 통째 날아가는 수도 있으니 5호줄 여분도 준비해야 합니다만, 하루 낚시에 이런 일은 한 두 번 있을까말까 합니다. 이런 채비를 사용하면 바늘 4개면 하루 낚시 가능, 대신 봉돌은 좀 여유있게 가져가야 합니다. 이 채비의 장점은 정통 채비의 장점을 다 가지고 있으면서, 목줄 길이(바늘과 봉돌 사이의 길이)를 수시로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고 낚시 도중 다운샷 채비를 다시 묶을 필요가 없다는 것이지요.

다만 주의할 것은 합사에 바로 바늘 묶으면 안 된다는 것입니다. 바늘 된통 걸리면 합사줄 날아가 낚시 불가입니다.
이런 채비로 저 나름대로의 다운샷 채비는 완성했습니다. 조과도 물론 좋았지요. 요즘 시중에서 파는 기성 채비보다 훨씬 튼튼하고 낭비도 적습니다. 502 바늘 몇 개 준비해서 한 번 해 보시지요. 간단하지만 위력적인 채비법입니다.
모두들 즐낚하시길!
Comment '5'
  • ?
    홍원항 쭈꾸미호 2012.07.31 13:11
    광어 다운샷에 대하여 글을 적고있는 박범수입니다.
    제 글에 관심을 가져주시고 사용해 보셨다니 감사 드립니다.

    저는 광어 다운샷이 한국에서 유행하기 전인 15년전 일본 나가사키에서 생미끼를 사용하는 광어
    배낚시를 처음 접했고 즐기다 3년전부터 제가 직접 낚싯배도 운영하고 자주 직접 배를 몰고 다니며
    웜을 사용하면서도 효율적인 방법을 나름대로 생각하고 실전에서 많이 적용해보면서 나름대로 효과를
    보았기에 소개한 것입니다.

    제 채비를 사용하는데는 상황에 따른 단차 조정이나 바닥권에서의 채비 운용등에 조금은 경험이 필요합니다.
    제 채비가 만능이거나 항상 조과가 앞선다고 할수 없습니다. 채비의 운용과 사용하는 사람에 따라 많이 차이가
    나겠지요.
    채비를 한 두번 사용해보시고 이게 틀렸다, 저게 옳았다라고 평가하기에는 너무 성급한게 아닐까요.

    여러 경우가 있겠지만 처음 사용하시는 분들이나 낚시가 서투신 분들은 바닦확인을 위한 봉돌로 바닥찍기에 집착해서 웜이 바닥권에 끌리면서 채비 꼬임이 많이 발생하고 웜도 바닦에서 둥글어 광어눈에 띄이질 못해 빈작이 되는데
    그렇 상황이 아니었나 싶습니다.
    이 채비에 미숙하신 분들은 처음에는 봉돌에서 도래까지의 거리를 1m정도 두시면 꼬임도 적고 조과도 좋아집니다.
    그리고 처음에는 웜도 도래에서 0~10Cm 정도로 바짝 붙여 사용하시길 권합니다.
    이렇게 쓰시면 처음하시는 분도 기본적인 조과는 따릅니다.

    바다는 넓고 많은 경우에 수가 있습니다.

    어떤게 정통이고 옳다 틀리다란 것 또한 한 개인의 생각에 불과할 수 도 있고
    이것만 옳다라는 판단은 누구도 내릴 수 없는게 낚시입니다.
    물속의 상황을 눈으로 직접 볼 수도 없는 것이고 고기 몇마리 더 잡았다해서 이거다 아니다라고
    단정 짖는 경솔함 또한 쉽게 범하는 낚시에서의 오류입니다.

    저는 이런 채비를 이렇게 사용하고 이런한 장점이 있다고 생각합니다라 적은 글이오니
    그냥 참고만 해 주시고 이렇게 말하는 사람도 있구나하는 정도로 이해를 부탁 드립니다.
  • ?
    좋은친구 2012.07.31 23:16
    저도 가지채비자작해서(우럭외줄채비축소판) 생미끼(미꾸라지)로 광어많이잡아먹었습니다 바다속상황이 그날의 조과를 .......낚시에 정답은없는것 같습니다 바다에나가는것 그설레임이 행복이아닐까요
    모든꾼들 어복이 충만하시길.................
  • ?
    sicera 2012.08.01 09:19
    I Maybe Wrong !
    제가 틀릴 수도 있고 귀하가 틀릴 수도 있습니다.
    정답을 찾기 위해선 충만한 실험정신이 중요할 것이구요, 혹은 정답은 없을지도 모릅니다.
    낚시의 불가해성이나 의외성을 굳이 꼽지 않아도,
    지난 15 차례 조행길에 많은 경우 공통적으로 나타난 현상이 그날 초보 분이 평균 이상의 조황을 하거나 대박하는 것이지요.
    광어 다운샷이나 참돔 지깅에 더러 나타나는 현상인데, 참으로 불가해스러운 현상이 아닐수 없구요,
    제가 주목하는 것은 웜의 움직임입니다.
    가지 채비의 경우에도 보통 채비처럼 웜의 등에 바늘이 줄곳 위 쪽을 향하게 할수 있는 비결이 있다면 최상의 다운샷 채비가 아닐까 합니다.
    조금의 조류만 있어도 채비 역학상 웜은 90도로 물살에 반해 뻗는데요, 그렇다면 미세한 단차의 차이보다 광어 눈에
    보이는 웜의 행태가 더 중요할 거 같다고 생각합니다.
    가지 채비에서도 웜을 계속해서 그렇게 할 수 있는 비법이 있다면 좀 알려주세요.
    기꺼이 3-4회 실험 출조에 조행을 바치겠습니다.
    날도 더운데 즐낚 하세요^^
  • ?
    강물(하응백) 2012.08.01 09:40
    홍원항 쭈꾸미호 작년에 한 번 탄 기억이 납니다. 인상이 좋았던 배입니다. 뭐, 광어 다운샷에 있어서야 저는 초보니까
    제가 틀릴 수도 있겟지요. 낚시에 정답이 없다가 정답이겠지요. 박범수님, 언제 한 번 그 배 또 타겠습니다.
    올해 주꾸미 철이 오면 알라바마리그를 한 번 사용해서 일타 오피에 도전해보려는데, 다른 사람과 줄이 엉키는 문제가 좀 있을 것 같습니다. 백조기 낚시의 경우도 우럭 채비로 하지 말고 좀 가벼운 봉돌을 사용해 참돔이나 광어 장비로 하면 손맛이 훨씬 좋을 것 같은 데, 역시 선상에서 모든 분들이 통일하지 않으면 또 엉키겠지요. 뭔가 새로운 시도를 해보는 것도 낚시의 재미 중의 하나라는 생각입니다. 모두들 즐낚 하시길!
  • ?
    홍원항 쭈꾸미호 2012.08.01 10:18
    sicera님 강물님 안녕하세요.
    이해를 해주시고 격려해주셔 감사합니다.
    언제 기회가 되면 제 배에서 좀더 많은 이야기도 같이하고
    토론과 실험을 했으면 하고 바랍니다.
    더운 여름 건강하세요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날짜 조회 수
2649 [출조문의/개인조황공유] 쿨러를 채운다는 것 8 2009.11.25 4786
2648 [장비관련] 콜롬보님 도와주세요!! 3 2009.11.25 4014
2647 [출조문의/개인조황공유] 11월 28일 제주도 갈치낚시 출조배 추천해 주세요 2009.11.25 6597
2646 [장비관련] 시마노3000xh 수심측정불가? 10 2009.11.26 5396
2645 [장비관련] 시마노 3000h 질문 드립니다~* 3 2009.11.27 3857
2644 [낚시일반] 알려주세요! 14 2009.11.29 3974
2643 [출조문의/개인조황공유] 소청도 우럭 낚시 쿨러조황 보러오세요 8 file 2009.11.30 13942
2642 [장비관련] 은성 매트릭스 700 LB A/S 어떤지요?(갈치낚시) 12 2009.12.01 9110
2641 [조행후기] <font color=red>②③</font>왕초짜 [타조]의 23번째 조행기 15 file 2009.12.01 5644
2640 [출조문의/개인조황공유] 기름값 아까워하는 낚시배 16 2009.12.01 8064
2639 [조행후기] 올해 마지막 문어낚시를 다녀오며~ 8 2009.12.03 4206
2638 [조행후기] [풍산]오랜 기다림 끝에 만난 애인들과 출조를 다녀와... 15 file 2009.12.03 4884
2637 [기타어종낚시] 서해에서 낚이는 '볼락'은 '볼락낚시'의 볼락이 아닙니다 11 file 2009.12.04 13187
2636 [기타어종낚시] ^둘리^님이 사진을 찾으셨네요. 5 file 2009.12.05 4171
2635 [먹는이야기] <b>[^둘리^]</b>맛있는 우럭뱃살회, 뼈 발라내고 회 뜨기 11 2009.12.04 9988
2634 [장비관련] 낚시 선상받침대 2 2009.12.06 5676
2633 [기타] 갈치회 뜨는법 가르쳐 주세요 6 2009.12.06 13988
2632 [낚시일반] 동풍? 3 2009.12.06 5746
2631 [장비관련] 전동릴 다이와500s의 사용후기 문의드립니다. 11 2009.12.07 4703
2630 [조행후기] 갈치 斷想 - 그 첫 경험 1부 16 file 2009.12.09 554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87 88 89 90 91 92 93 94 95 96 ... 224 Next
/ 2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