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알려주세요 배낚시

전동릴 수리를 시작 한 것은 오래전 이지만 전문으로 수리업을 실행 한 것은 3년전일입니다.
먼저 내가 어떤 낚시를 할 것인가가 중점적으로 다뤄져야합니다.
우럭내만권 낚시를 할 것인지 갈치낚시를 병행 할 것인지 지깅 낚시를 할 것인지가 중요합니다.
우럭으로 내만권과 침선 낚시를 주로 할 것이라 생각하고 결정을 했어도 선택된 전동릴로갈치나
지깅(가깝게 동해대구)을  못하는 것은아닙니다.
전동릴에는 스피닝 릴과같이 드랙이 있습니다.
드랙을 잘 이용하면 어떤 낚시도 가능합니다.
그런데 전과틀린것이 전동릴무게입니다. 그리고 스피드도아주 중요합니다.(갈치 낚시의 경우)

우럭낚시만 고집하신다면  선택의폭은넓어집니다.
시마노 1000시리즈 포스마스터 1000MK, 플레이즈 1000 이 있다.
다이와는 레오 브리츠 300J, 시보그 400MM,레오브리츠 400,하이퍼 타나컴400F,레오브리츠300MT등이 있다.
이들의 선택기준은 하루 종일 들고 낚시하는 우럭낚시의 경우 릴 자중이 피로감을 덜해주기 때문에
자중 600g 전후의 릴들이다.(700g 대의 릴들은 사실무겁게  느껴진다.)
국내산 전동릴중에는 은성사의 메트릭스 500/700 시리즈도 무난하다.

그럼 갈치를 중점적으로 한다면 시마노 포스마스터 3000MK, 다이와는 시보그 500MT이다.
포마 3000과 시보그 500MT는 저속릴링이 아주 좋다.
그런데 포마 3000은 90만원대,시보그 500은 120만원대이다.

병행을 하여 갈치와 우럭을 같이 한다면
시마노에 포스마스터 2000 시리즈..다이와는 글쎄??

동해 대구를 한다 해도 우럭낚시에 적용된 모델로도 충분하다고 본다.
그러나 어떤릴이 어느 낚시에 잘 맞는다 안된다 하는 것은 없다고 본다.
낚시 조건에 맞춰 낚시를 하느냐 하는 것이 더더욱 중요하다본다.
만일 조력이 가장 적은 릴로 갈치낚시나 3~4걸이 4짜 우럭을 잡았을때 낚시를 못하는 것이 아니고
내마음의 조급증이 더 문제라고 본다.

전동릴도 이제는 세분화하여 나눠진다고 본다.
주꾸미/갑오징어/무늬오징어등의 에깅낚시를 좋아 한다면 시마노 400C/600정도,다이와는 시보그 270/300계열
이종류의 릴들은 용도가 다양하다고본다.
서해 참돔낚시나 루어낚시도 병행할 수있다.
추가로 참고해야 할 것은 다이와의 150시리즈는 용도가 제한적이라는 것을 알아야한다.
이모델들은 권상력이 너무 떨어져 에깅이외로는...

저는 동해 대구 지깅을 무척 좋아합니다.
그런데 제가 사용하는 전동릴은 모두가 400g대의 료비사 500시리즈(지금 은성사에서 발매하는 메트릭스
500시리즈와 동일한 모델)입니다.
동료들이 그작은 릴로 큰대구를  어떻게 잡느냐고들 합니다.
하지만 저속으로 천천히 놈을 지치게하면서(물론 손맛을 더 느끼려고도 일부러) 끌어 올립니다.
루어 낚시를 가서도 광어보다는 우럭을 잡는 것을 더 좋아 합니다.
수심이 15~20m권에서 루어대로 올리는 우럭의 손맛은 일품입니다.ㅋㅋㅋ

신제품이라하여 가격대가 저렴하다하여 순간적인 구매 욕구에 의해 구입하는 것보다는 자료나 사용후기에
나와있는 문헌을 참고로 하여 선택을 하시는 것이 가장 좋은 것입니다.
무슨 낚시를 주로 할 것인지를 가장 먼저 생각하시길...

더 자세한 질문은 제 전화번호(닉네임 옆에 제카페주소록에서 전화번호를 찾아서..)

Who's 카파(이찬영)

profile
Comment '9'
  • ?
    김포신사 2013.01.17 12:44
    역시 전문가님께서 전동릴에 대해서 좋은 글을 주셨군요.
    저도 아주 고가의 릴을 구매하려고 하고 있습니다.
    참고하여 좋은 선택을 하겠습니다.
  • profile
    카파(이찬영) 2013.01.17 15:29
    과찬의 말씀 감사드립니다.
    요즘 어달에도 대구가 없다는데요??
  • profile
    晝夜釣思(주야조사) 2013.01.17 16:04
    존경하는 카파님의 말씀 본문중에
    <어떤 릴이 어느 낚시에 잘 맞는다 안된다 하는 것은 없다고 본다.
    낚시 조건에 맞춰 낚시를 하느냐 하는 것이 더더욱 중요하다본다.>의 말씀에 동감합니다.
    우럭이나 갈치낚시 때 보면,
    고가의 장비를 가졌다고 해서 저가의 장비를 가진 사람보다 더 많이 잡느냐?
    저는 그것은 아니라고 봅니다.
    국산이건 외산이건 간에 저가(低價)라도 장비의 성능을 잘 이해하고 부족한 점은
    수작동(手作動)으로 조금만 신경쓰면 충분히 커버할 수 있는 제품들이라고 봅니다.
    우리나라 3해바다 상황에서는 현재 출시되는 국산의 제품으로도 손색이 없으니
    외제나 국산중에 저렴한 것을 추천하고 싶습니다.
  • profile
    카파(이찬영) 2013.01.17 18:06
    ㅎㅎㅎ 주야조사님 말씀에 전적으로 지지하는바지만 국산릴들의 대처능력들이 너무
    부족하여 아쉽습니다.
    요즘 국산릴 가격도 외제 중저가 릴 가격을 추월하고 있지만 성능이나 A/S 대처 능력이
    부족한 것이 아쉽습니다.
    잘 계시죠...^^
  • ?
    좋은날 2013.01.18 09:46
    저는 전동릴 전문가가 아니라서 잘은 모릅니다만 제가 가지고 있는
    시마노1000MK HD 는 작고, 가볍지만 힘이 좋아
    쭈꾸미, 광어, 대구 지깅과 우럭 대물, 갈치낚시에 잘 사용하고 있습니다.
    가장 큰 장점은 핸들을 살짝 뒤로 제끼면 트랙 이용 상태로 순간 이동된다는 점입니다.
    연세 드신 분이시라면 긴 낚시대 대신 1M 내외 낚시대도 사용할 수 있는 트랙 이용 장점의
    전동릴 이라고 생각되어집니다.
    대물이라서 떨어 뜨리는 일은 절대 없으니까요.

  • ?
    나이롱 환자 2013.01.19 19:51
    다이와가 시마노에 비해 비싸지만 다이와를 권해 드립니다
    그 중에서도 다이와 씨보그 400 MM.

    우리나라 바다에 시마노 3000이나 다이와 500 (이상 6호 300m)의
    권상력을 가진 릴이 필요없다는 것이 10년 이상의 선상낚시 경험입
    니다. 300m 쓰고 싶으면 5호줄 300 쓰면 되지요
    저는 400MM 으로 우리나라 전 해역, 전 어종을 상대합니다
    합사 5호나 6호, 경심은 18호 약 90 쓰므로 모두 가능합니다

    이를 본 후배가 씨보그 270 MM 으로 바꿨는데, 이 놈도 가능해서
    (16호 경심 92m 권상) 보조릴로 보유하려 생각중입니다

    시마노보다 디자인도 멋지고 강력하나 비싼게 탈이지요
    그래서 일본 아마존을 보는 중입니다.

    참, 오늘 보니 다이와 릴 5% 올랐네요
    시마노는 확인 안했네요
  • ?
    나이롱 환자 2013.01.19 19:55
    그리고 권상력을 기준으로 본문에서 올린 릴들...
    가격상 동급 릴이 아닙니다
    300 mj 는 다이와 최고가 중 하나고,
    제가 쓰는 400mm 은 9만엔입니다

    비교대상으로 1000 플레이즈를 올리시다니
    400mm 유저로써 약간 약오르네요 ㅎㅎㅎ
    농담입니다
  • ?
    우럭최 2013.01.21 11:35
    저도400mm 유저 입니다.
    640g 무게, 빵빵한 힘, 내구성/품질 좋습니다.
    약간 고가인게 흠이지만 세컨드로 신형 ika special 을 갖고 있지만
    2년째 이놈으로 자꾸 쓰게 되네요.
    어쨌던 좋은릴임에는 틀림없습니다.
  • ?
    나이롱 환자 2013.01.21 13:01
    먼젓글에 빠진 내용이 있네요.

    카파님의 글에 "포스마스터는 2000 이면 병용이 가능한데, 다이와는 ?" 이라는 글이 잇는데요.
    다이와 400 시리즈의 권상력이 시마노 2000 번과 같습니다.
    아주 오래 전부터 있었고요. 제가 5~6년전에 다이와 씨보그 400FBe 를 썼었거든요.

    선상낚시를 즐기는 전동릴 매니아님들께 혼란을 일으킬까봐 사족으로 알려드립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날짜 조회 수
3630 [가격정보] 갑오징어 9 2007.09.01 6961
3629 [낚시일반] 갑오징어 물때? 1 2018.10.04 24012
3628 [물고기정보] 갑오징어 가격..그리고 서해와 남해 싸이즈 궁금!! 13 file 2013.10.07 13801
3627 [기타] 갑오징어 낚시 장소 좀.... 4 2005.09.29 5088
3626 [장비관련] 갑오징어 낚시대 9대1 이나 8대2 어느제품이 좋은지 추천해주세요 2 2022.04.23 1360
3625 [낚시일반] 갑오징어 낚시도 물때 영향을 받는지? 5 2006.10.31 14943
3624 [낚시일반] 갑오징어 낚시법 3 2013.10.02 16417
3623 [먹는이야기] 갑오징어 말리는 법 좀 알려주세요. 8 2011.10.12 13535
3622 [낚시일반] 갑오징어 맛있게 먹는 조리법 알려 주세요 4 2012.10.21 6501
3621 [장비관련] 갑오징어 선상 에깅용 낚시대 추천 부탁드립니다. 2 2007.07.26 6994
3620 [낚시일반] 갑오징어 선상낚시에 집어등 사용 어떨까요? 9 2010.09.07 9765
3619 [낚시일반] 갑오징어 신선도 유지(시메)방법 및 내만권 낚시 2 2022.04.14 1516
3618 [낚시일반] 갑오징어 실전 1 낚시대의 중요성 2022.04.01 1115
3617 [낚시일반] 갑오징어 잡으러 갈려구요 5 2006.11.08 4238
3616 [낚시일반] 갑오징어 조과를 높이기 위한 (삼봉 에기에 학꽁치 감는방법) file 2022.03.21 1588
3615 [낚시일반] 갑오징어 조과를 높이는 기본영상 3 2022.04.27 1304
3614 [출조문의/개인조황공유] 갑오징어 쭈꾸미 2 2009.09.15 4647
3613 [기타어종낚시] 갑오징어 채비 몇가지 3 2007.09.22 10506
3612 [장비관련] 갑오징어&문어 낚시대 및 베이트릴 추천 부탁드립니다. 2 2017.09.05 20113
3611 [낚시일반] 갑오징어.... 4 2017.09.12 9933
3610 [기타어종낚시] 갑오징어낚시 9 2010.10.11 10039
3609 [낚시일반] 갑오징어낚시부탁드립니다 4 2006.09.11 4019
3608 [기타어종낚시] 갑오징어에 대해 잘 아시는분의 자문을 구합니다. 2 2007.08.08 7687
3607 [장비관련] 갑오징어에 맞는 낚시대 추천해주세요^^ 1 2017.09.01 10747
3606 [장비관련] 갑오징어의 먹물로 노란색합사를 검정색으로 염색가능할까요? 15 2014.11.17 5596
3605 [낚시일반] 강두석님 2 2008.10.27 4038
3604 [낚시일반] 강릉/주문진/양양쪽에 좋은 선사소개 바랍니다. 2014.01.10 2503
3603 [지역정보] 강릉근처에 있는 대구지깅배좀 갈켜주세요 2 2008.01.07 4937
3602 강물입니다. 카페 개설했습니다. 놀러들 오세요. 6 2013.06.18 2598
3601 [낚시일반] 강원도 고성 선상 해맞이(20 척) file 2007.12.29 393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 149 Next
/ 1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