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알려주세요 배낚시





각종 바늘에서 미늘의 크기를 보면 일본의 유명한 제품들은 미늘의 크기가 작은데 국산이나 중국산 바늘의 미늘을 보면 상당히 크다.
그럼 미늘의 크기와 훅킹되는 조건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어부지리 회원님들의 고견을 구해봅니다.
제 개인적인 의견은 미늘이 크면 고기가 이물감을 더 많이 느끼지 않을까하는 생각입니다만...

Who's 카파(이찬영)

profile
Comment '6'
  • profile
    전동릴 2013.06.25 12:14
    개인적으로 미늘은 필요하기도하며 필요 없기도한 기능이라 생각합니다.
    잡았다 놓아주는 켓취엔릴리즈플레이를 많이하는 민물낚시증 중 특히 중층낚시같은경우 미늘이 필요없다라고 생각합니다.
    미늘은 물고기의 입언저리 또는 깊이 삼켰을때 내장 손상도 미늘이 없는것보다 많이 손상됩니다.
    베스낚시도 미늘을 점차 없에는 추세라고 합니다.

    하지만 선상낚시를 즐기는 동호인으로서 대부분 릴리즈는 하지않고 가져옴으로 고기를 떨구지 안으려면
    최소한 미늘이 있어야 하겠죠. 미늘은 고기가 안떨어지게도 하지만 미끼역시 오래 붙어있도록 해주는 역할을 합니다.

    고기를 걸어야하는 조건중에 좋은 바늘을 선택하는 요인으로 바늘의 기능중 관통력을 꼽습니다.
    미늘은 고기가 훅킹된후 작용하는 기능이지 입질시 이물감을 느끼는
    요인은 아니라고 저는 생각합니다. 우리가 선상에서 사용하는 바늘은 대부분 드릴훅입니다.
    관통력을 높이기 위해 바늘의 각도를 약간 틀어주어 바늘이 물고기의 머리부분의 뼈를 뚫고 지나가도록 용이하게
    만들었다고 보시면 됩니다. 따라서 이미 훅킹된후 바늘털이때 고가 빠져나가는걸 줄이는 기능은 이물감과 별건의 문제라 생각합니다. 다만 미늘이커질수록 낚시도중 옷이나 손가락등이 찔렸을때는 매우 곤란하겠죠..
    억지로 미늘이 없거나 작은것을 찾아 사용하지는 않았지만 담부터 바늘 구입시 고려항 사항이라 생각합니다.
  • profile
    카파(이찬영) 2013.06.25 17:26
    아 그렇군요.
    잘알았습니다.
    지난번 릴 건은 박사님과 잘 해결 했습니다.^^
  • ?
    김포신사 2013.06.26 12:21
    카파님의 글을 읽고 심심해서 낚시바늘에 대해서 생각을 해 보았습니다
    바닷고기를 생각하니 어종별로 바늘이 다 다르다는 생각이 들어서 올려봅니다
    먼저 감성돔바늘.참돔바늘 (타이라버바늘) .우럭.벵에돔.돌돔.농어.깔따구.장어.망둥이.
    송어.숭어.보리멸.전갱이.볼락.보구치.다금바리.이면수.등 어종별로 생각을 해 보니
    바늘의 생김새와 종류도 다양합니다.
    작금에 바늘은 옛날에서 많이 진화된 것들이 참 많은것 같습니다
    다운샷이나 타이라버.문어반짝이 가리개바늘 세발민갈고리바늘 지그바늘 지그헤드바늘
    솜털바늘.뒷미늘바늘.두발바늘.세발바늘..기타......
    바늘은 물고기의 입속에 민첩하게 들어가야 하기 때문에 어종마다 아주 예민하게 만들었다고
    생각하며 미늘은 물고기 입속에 들어간 바늘이 빠지지 않게 제작 되었고 잡은고기를 놓치지 않게 하기 위하여
    만들어진 것이지 입질과 후킹에는 아무런 관계가 없지 않을까 하는 저의 사견을 올려봅니다
  • profile
    카파(이찬영) 2013.06.26 19:26
    신사님말씀에 공감합니다.
    다만 미늘이 작은 것이 더 훅킹이 잘 될 것같은 생각이 들고, 고기를 떼어 낼때도 고생을 덜 하지않을까 하는 생각이 드는군요.
    요즘은 미늘이 점점 더 커가고 있으니...
  • profile
    晝夜釣思(주야조사) 2013.06.28 08:33
    카파님 말씀대로 미늘이 자꾸 커감은 소비자의 심리에 반해서 만들어지는
    판매전략도 한몫합니다.
    미늘이 크다면 대상어의 바늘털이 할 때 효과가 있긴 하지만,
    기존 제품의 효능 하고는 그다지 큰 차이는 없다고 봅니다.
    장단점이 분명 있다고 생각합니다..

    상쾌한 주말 보내셔요...카파님,,,^^
  • profile
    카파(이찬영) 2013.06.28 10:38
    말씀과 같이 판매 전략이죠.~~

    옙,주야님께서도 즐거운 주말이 되시길..^^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날짜 조회 수
2997 [조행후기] 알려주세요~~ 갈치낚시 3 2013.08.05 4362
2996 [낚시일반] 어초및침선낚시도중 밑걸림시 쉬운방법으로 탈출하기쉬운 채비만들기 4 2013.08.05 8693
2995 [조행후기] 장마 중에 터진 갈치의 입질 7 file 2013.08.01 5806
2994 [낚시일반] 여수 갈치낚시배 선비 이벤트성 인하와 선비에 대해.. 5 2013.08.01 13403
2993 [장비관련] 시마노 신형 전동릴 3000 플레이즈 사진입니다.(사진수정) 1 file 2013.07.31 5191
2992 [장비관련] 인터라인 3 2013.07.30 3387
2991 [낚시일반] 바다해무(안개) 관련 2 2013.07.29 4626
2990 [장비관련] 시마노 신형 전동릴 3000 플레이즈 2 2013.07.26 8584
2989 [기타] 갈치낚시를 잘 하는 방법.... 1 secret 2013.07.26 2110
2988 [낚시일반] 비오는 날엔 회를 먹지 말아야.. 잘 먹어야 본전??? (더불어 거제,통영 기행) 31 file 2013.07.23 11289
2987 [기타] 갈치바늘 여쭙니다~^.^ 4 file 2013.07.23 7306
2986 [장비관련] 골드몬드 갈치대 문의 5 2013.07.21 13394
2985 [낚시일반] 7~8월의 여수권 왕갈치 공략수심과 입질행태에 대하여 36 file 2013.07.16 11620
2984 [낚시일반] 왕초짜 [타조] - 이런 방법은 어떨까요? 6 file 2013.07.15 10487
2983 [낚시일반] 갈치낚시 시 바늘줄 길이가 궁금합니다. 5 2013.07.12 9926
2982 [기타어종낚시] 동해조황을 보다가 갑자기 생각나서... 10 2013.07.10 5124
2981 [장비관련] 보증서에 대하여~~ 7 file 2013.07.09 3634
2980 [낚시일반] 고수님!!! 인천권 우럭낚시채비에 대해서 알려 주세요 24 2013.07.06 11941
2979 [출조문의/개인조황공유] 격포권 민어낚시 선사정보 알려주세요 6 2013.07.02 6602
2978 [낚시일반] 쭈꾸미 낚시 15 2013.07.02 9533
2977 [장비관련] 짧은 갈치대 어떤게 있는가요? 15 2013.07.01 10440
2976 [장비관련] 포스마스타3000mk 부품구함-(자유게시판으로 옮겼습니다/어부지리) secret 2013.07.01 724
2975 [조행후기] 외연열도 광어 다운샷 조행기 8 file 2013.07.01 4698
2974 [장비관련] 슈퍼바이져 아이스박스 6 2013.06.30 4606
2973 [출조문의/개인조황공유] 우리 낚시인에게 유익한 정보여서 보완해서 다시올립니다.(수협 수온정보) 7 file 2013.06.28 3975
2972 [출조문의/개인조황공유] 진도배낚시출조점문의 4 2013.06.28 6825
2971 [장비관련] 낚시 대 휨새에 대하여 질문드립니다 9 2013.06.27 4544
2970 [낚시일반] 밤~새벽 낚시 또는 낮낚시 일찍 입항을 찾습니다 2013.06.26 3611
» [낚시일반] 바늘에서 미늘의 크기에 대한 논의 6 file 2013.06.25 5613
2968 낚시 조황에 지진이 어떤 영향을 미치나요? 5 2013.06.24 459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 149 Next
/ 1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