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알려주세요 배낚시

말도 많고 탈도 많은 전동릴배터리...
전동릴에 많이 사용하는 리튬계열 배터리에 한하여
조금이나마 도움이 될까 해서 꼬박 6년의 경험을 토대로 올려봅니다.
전기가 눈에 안 보이다보니 애매한 경우가 많아 가급적 단순화해서
말씀 올리니 다소 상이한 부분이 있더라도 큰 틀에서 벗어나지 않는다면
이해 부탁드립니다.

1.용어
.셀(cell)- 단위 전압을 갖고 있는 단전지(單電池)
.배터리(battery)- 여러 개의 단전지로 구성(조립)된 것.
.라이프사이클(life cycle)-충, 방전 주기(1cycle=1회 충전과 1회 방전)

2.고장의 원인
a-1.고온의 차량에 방치.
a-2.고출력(고방전)으로 사용하면 셀에 저항이 걸려 열 발생.
보관 중이던 사용 중이던
높은 열에 노출되면 셀을 구성하고 있는 물질들의 성질이 변화하여
충전량을 감소시키거나 심한 경우 폭발의 위험이 있습니다.
빛이 안 드는 곳에 보관과 적정한 출력의 배터리 사용 권합니다.
a-3.접점저항에 따른 열
배터리 단자(terminal)와 악어집게 사이에 염분 등 이물질이 있어 통전(通電)이
불량하거나 누전이 있으면 접점 부위에서 발생하는 열이 회로에 전이되어
회로가 망가집니다.
사용 후 세척 등으로 염분과 이물질 제거
b.전압 밸런스- 충전과 방전을 거듭할수록 각각의 셀에 전압이 서로 달라지는 현상.
리튬전지는 일정량 이상 충전하거나 방전하면 죽어버려 이를 방지하려 보호회로를 둡니다.
충전 시 여러 개의 셀 중에 한 개가 먼저 충전량에 도달하면 남은 것이 충전이 덜 되었어도
충전을 종료합니다. 또한 방전 시에도 한 개가 먼저 방전 한계치에 도달하면 남은 것들을
무시하고 방전을 차단하여 결과적으로 유효 사용량이 줄어듭니다.
리튬이온은 순정 셀로, 리튬폴리머(고방전용)은 밸런스 충전으로 밸런스 유지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 밸런스 충전 할 때는 PCM이 필요 없습니다.
c.방수-바닷물의 침투는 설명이 필요 없이 치명적입니다.
대부분 플라스틱 케이스 사이에 패킹을 넣고 볼트 조립하는데 패킹과 플라스틱의
접촉(마찰) 부분을 넓게 하면 방수 효과를 높일 수 있음.
일산 D사의 배터리 패킹 구조가 이상적임.

3.충전 중 화재
a.불량 셀과 보호회로로 인하여 과 충전으로 발생.
검증된 배터리 사용의 권장과 제대로 된 배터리도 조립과정에 실수로 인하여
발생할 수 있으므로 수면 중에는 충전하지 않는 것이 좋겠습니다.
가시권에서 충전하시길 바랍니다.
b.배터리 단자와 충전기 단자의 접점저항으로 열에 의하여 누전으로 발생.
#접점저항을 간과 하는 경향이 있는데 눈에 보이지 않아서 그렇지 실상은
매우 위험한 요소로 접점부분에 대한 세심한 관리가 필요합니다.

4.라이프사이클(생명주기, 수명)
.궁극적으로 가장 중요한 부분이 아닐 런지요?
용량이 얼마든 출력이 얼마든 내가 쓰고자 하는 상황에서 만족스럽게 쓸 수 있다면
이것저것 다 알아야 할 필요는 없을 겁니다.
라이프사이클은 용량, 출력, 방전율에 의하여 달라지기 때문에 딱 잘라 언급하기는
어렵습니다.
객관성을 높이기 위하여 P사의 홈페이지에 있는 내용을 인용합니다.
SDI 18650 22P와 일반 18650 2200mAh의 셀 비교표(삼성 SDI 인증 배터리와
일반배터리 비교표 2012)에 cycle life을 보면 0.5C 충, 방전 기준일 때  
일반 배터리 300cycle, SDI 셀 700cycle로 표시되어 있습니다.
중요한 부분이 충방전 조건으로
0.5C면 88P를 4.4A로 충전과 방전하는 것을 말합니다.
다이와 전동릴 기준 500시리즈까지 무부하 3A, 정격 9A, 최대 15A
600시리즈이상 무부하 3A, 정격 10A, 최대 30A
전동릴 정격출력의 절반 수준의 기준에서 700cycle이니 정격 또는 그이상의 출력으로
방전하면 생명주기가 줄어드는 것은 말할 필요가 없으며 일반배터리의
경우는 참혹한 수준으로 떨어지게 됩니다.
이것은 전압 밸런스가 잘 유지된다고 해도 출력 부족으로 인하여 생명주기가
짧아지는 것을 피할 수 없습니다.

5.출력에 대하여
통상 용량이 커야 출력이 높고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그렇지만은 안습니다.
하루가 다르게 기술이 발전하고 다양한 목적의 배터리가 나오고 있기 때문에
적정한 용량과 출력의 배터리의 선택도 고려해 볼만 합니다.
(고출력 전지의 구조: 자유 게시판 글 2085 참조)

6.용량에 대하여
유효 용량은 전동릴 기종과 낚시 장르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확정적으로 설명이
어려운 부분이 있습니다.
일산 D사와 S사의 전동릴의 전류 소비량을 보면
S사 전동릴은 기종, 규격에 관계없이 부하량(칼로리?)에 따라 소비량이 거의
일정했습니다.
일부에서 무적이 전기를 많이 먹는다고 하시는데 제가 볼 때는 글쎄요?
D사 전동릴은 기종에 따라 확연히 다릅니다.
같은 환경에서 같은 시리즈라면 MT가 더 소비하고, 600시리즈 이상은 매우 많이
소모합니다.

7.전류 소비량
a.서해안 침선, 남해안 열기, 동해 대구: 약 2~3Ah(2000~3000mAh)
*다이와 MT, 600시리즈이상: 약4~ 5Ah(4000~5000mAh)  
b.동해 대구심해: 약 4~5Ah(4000~5000mAh)
c.서해 쭈꾸미: 약 5Ah(5000mAh)
d.여수, 통영 갈치: 약 5Ah(5000mAh)
*다이와 600시리즈이상: 약 8Ah(8000mAh)
e.제주 심해 갈치: 약 8Ah(8000mAh)
*같은 조건에서도 전동릴 조작 습관과 접점저항에 따른 누설 전류로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8.적정 출력
설명이 좀 난해합니다만
예를 들어 가장 인기 있는 10400mAh(10.4Ah, 154W) 용량의 경우
배터리 안에 들어가는 셀은 메이커 구분 없이 모두 동일한 것입니다.(18650 2600mAh 16개)
따라서 기본적으로 배터리 출력은 모두 같습니다.
다만 보호회로에 과 출력 차단을 몇 A로 설정 했는가에 따라 표시에 차이만 있습니다.
방전전류 20A, 최대 방전전류 40A로 표시한 배터리를 실제로 20A로 방전 테스트를 하면
심하게 열이 발생합니다. 같은 이유로 테스트를 포기 했던 사례가 있습니다.
14.8V에 20A는 294W로 자동차 전조등12V 55W 5개(275W)를 동시에 켤 수 있는 것인데
실험 정신이 많은 분이 계시다면 한번...
근래에는 부시리 지깅에 전동릴을 많이 사용하는 추세인데 대형 전동릴로 미터급 부시리를 걸어 전동으로 릴링 하다보면 과부하로 전기가 차단되는 사례가 종종
들려옵니다.
출력은 임의 표시가 가능하기 때문에 실제 적정 출력 여부는 전동릴 기종과 낚시
장르에 따라 판단하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9.배터리 리셋
리튬배터리는 과 방전(일정량 이하 방전), 고 출력(고 방전), 합선 시에
배터리의 안전을 위하여 보호회로에서 임의로 방전을 차단합니다.
따라서 사용 중 전원이 나가는 것은 지극히 정상적인 것이나 과 출력 차단의 경우에는
생각해볼 문제입니다. 정상적인 전동릴 사용 중에 과 출력으로 전원을 차단하여
리셋이 필요하다면 이미 전동릴이 요구하는 출력에 미달되는 배터리입니다.
일설에는 배터리 출력이 너무 높으면 전동릴에 안 좋다고 하는데 이는 낭설입니다.

10.일반적인 관리
출조 전 충전. 출조 후 충전. 만 충전(full)은 안좋다. 완전 방전은 안좋다. 등등
설이 있으나 기술의 진보로 리튬 계열 배터리는 그렇게 세세한 관리로 성능이
특별히 유지 되거나 하지는 않습니다.
1~2달에 1번 정도 출조한다 해도 출조 전에 한번 충전하는 것으로 충분하고
출조 후 애써 충전은 하지 않아도 되며, 지나치게 뜨거운 장소만 피하여
보관하시면 충분합니다.
만약 1년 이상 사용할 일이 없다면 그때 충전하여 보관하시면 됩니다.
전기 잔량이 10% 정도 남으면 회로에서 알아서 회로에 걸리는 전기도 차단하여
미량의 순수한 자가 방전만 하기 때문에 그리 염려하지 않아도 됩니다.
제조사에서 몇 개월 마다 충전을 요구하는 것은 극단적 상황에 대비하기 위한
것으로 이해하시면 충분합니다.
폴리머는 국산이던 중국산(KC 인증 없으면 수입 불가)이던 드믈게 충전 중에 셀에
가스가 생겨 풍선처럼 되는 사례가 있으니 역시 주의 필요합니다.
오래 사용하는 것 외에 극단적으로 위험한 것은 관리 소홀로 인한 접점저항의
위험과 검증되지 않은 배터리를 충전할 때라고 생각합니다.
항상 안전하고 즐거운 조행 기원합니다.
Comment '2'
  • ?
    갈치초짜 2014.03.18 15:27
    좋은 정보 고맙슴니다^^
  • ?
    알파로 2014.03.23 20:57
    배터리도 많이 복잡한 기능이 있군요,,
    알찬정보,~ 감사합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날짜 조회 수
2910 [조행후기] 대구 타작하러 다녀왔습니다,,, 5 file 2009.09.09 4714
2909 [장비관련] 은성메트릭스 300 사용 설명서(신명낚시 펌) 2013.09.18 4714
2908 [기타] 겨울에 배낚시가면 손이 너무 시려워요~ 7 2005.12.05 4715
2907 [조행후기] 내가 낚시 운이 없는것인가 제기랄........아구 뒤통수야 5 2008.11.13 4715
2906 [장비관련] 낚싯대 생겨 머리아파요..!! 3 2011.03.05 4716
2905 [출조문의/개인조황공유] 출조문제 2 2010.09.15 4717
2904 [낚시일반] 큰바늘인가요? 작은바늘인가요? 6 2004.09.24 4718
2903 [조행후기] 만도리 조행기 5 2007.10.05 4719
2902 [장비관련] 전동릴 관련 문의드립니다 8 2012.05.28 4720
2901 [조행후기] 기분 좋은 날!!! 19 2008.05.30 4722
2900 [장비관련] 시마노 액정표시릴 세팅방법(전동릴 포럼으로 이동) file 2019.08.09 4722
2899 [장비관련] 일본에서 장비 구입할수 있는곳 알고싶습니다. 3 2010.05.21 4723
2898 [장비관련] 낚시대 표시된 적정라인 의미 2 2007.01.19 4724
2897 [낚시일반] <b>초보낚시인이 바랍니다</b> 9 2007.08.28 4730
2896 [낚시일반] 제3회 당진군수배 바다낚시 안내입니다. 2 2010.05.13 4730
2895 [장비관련] 시마노 3000H, BM 3000 라인세팅하는 방법좀 알려주세요. 4 2017.05.28 4732
2894 [출조문의/개인조황공유] 요즘 안흥 침선낚시 조황은? 3 2003.08.10 4734
2893 [기타] 해난사고에 대한 선장/점주의 입장!! 10 2006.09.09 4734
2892 [조행후기] 날로 먹는 배.... 4 2010.06.20 4734
2891 [조행후기] <font color=red>②⑦</font>왕초짜 [타조]의 27번째 조행기 9 2010.01.28 4737
2890 [기타] 3월달 낚시박람회 가시는 분 계신가요 ㅎㅎ 3 2010.02.18 4737
2889 [기타] 회상1 - 부제 "동호회" 5 2013.11.03 4737
2888 [조행후기] 오천항 우럭출조 조행기 4 file 2013.05.20 4738
2887 [장비관련] 시마노 전동 3000 PLYAS - 선상 줄 풀기 속도가 느려요. *.* 7 2010.04.19 4739
2886 [장비관련] 시마노 플레이어 4000 사용중입니다. 4 file 2016.06.12 4739
2885 [출조문의/개인조황공유] 대천항에서 백조기낚시.... 2010.08.12 4742
2884 [낚시일반] 침선이라는 것이..... 1 2008.05.04 4744
2883 [장비관련] 릴의자동방법 6 2013.10.22 4744
2882 [조행후기] 즐거웠던 갈치 낚시 9 2009.11.24 4745
2881 [조행후기] 나의 바다, 그 속 이야기(가자! 농어선상루어 및 광어 다운샷!) file 2012.06.25 474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 149 Next
/ 1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