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알려주세요 배낚시


인터넷 동영상을 보시면 잘 나와 있는것을 무식한 선장이 글로 써봅니다

저희배 타신 조사님께 물어본것입니다


* 3가지 유형이 있습니다


1 .초리대가 물속으로 쿡 ~ 쿡 처박는데 훅셋이 안되네. 하십니다


    참돔이 타이나 스커트를 물고 늘어질때 입질 유형입니다.


2. 앗!  참돔이 한방 땅 ~  때리고 그냥 가버렸네. 하십니다

   참돔이 헤드를 한번 물었다 뱉어버린 경우의 입질 유형입니다


3. 이번에는 어떻게 입질이 왔나요? 예비 어신도없이 한방에 확 물고 쨋다고합니다.


   참돔이 바늘을 정확하게 물고 처박거나 방향을 틀었을 경우의 입질유형입니다.


어느날은 빠르게 감을때.

어느날은 천천히 감을때.


릴의 감는속도와 참돔이 훅셋되여 올라 오는것과는 조류의 속도와 관계가있는것같습니다

이부분은 선장이 계속 확인중에있습니다.


어탐기에 베이트 피시들이 전혀 안찍히는 포인트에서는 입질이 아주 저조합니다.


베이트 피시들이 놀고있는 무리 중앙에 타이가 들어갔다고 가정을 해봅니다


베이트 피시들의 움직이는 속도와 같이 타이가 움직이면 더 좋겠지요?


베이트보다 타이라바가 더 빠르면 힘들게 더 빠른 먹이감을 쫓지안겠지요?


더 천천이 움직이는 놈이 타이라바면 얼른 공격하겠지요


반대로 베이트보다 너무 천천히 움직이면 흥미를 잃어버리고 관심에서 멀어지겠지요


이부분도 선장이 확인중에있습니다



*다음은 감는 속도에 따른 바늘의 위치입니다


낚시대 꽂이에 낚시대를 꼭고 10노트로 달린다고 가정하면


바늘과 타이가 날리는 각도가 이렇게 나옵니다


물론 겟지렁이를 끼면 지렁이 무게가 더해져 조금더 밑으로 쳐진다고 봐야겠지요


지렁이를 끼우지 안는 경우 참돔이 빈바늘은 공격하지 안고 타이. 스커트 부분을 공격하겠지요


속-1.jpg





아래그림은 20 노트 속도로 달릴 경우를 가정하면


바늘은 더 빠른 바람의 속도로인해 타이와 바늘이 같이 한덩어리가 되여 날리는것을 볼수있습니다


이경우는 지렁이를 끼우지 안아도 참돔을 훅셋하는데는 불리하지 않겠지요


물속 조류가 바람이라고 보면 물속에서도 같은 현상이 일어 나겠지요.


속-2.jpg



그래서 감는 속도가 참돔낚시에 매우 중요한 부분입니다

Who's 안면도꿈에그린호

profile
Comment '6'
  • ?
    피사모 2016.07.25 15:56
    초기 참돔 루어에 빠져 지금까지 .... 초기는 릴링에 지렁이 없이 그리고 유동식은 아예 없었는데
    요즘 저는 실력이 미천인지라 초기에는 쓰지 않았던 지렁이 없이는 ㅠㅠ
    그리고 군산권 쪽과 외연도권은 수심에서 전혀 다르더군요 ,,
    작년 마지막 출조는 군산권 갔다가 꽝 맞고 올해는 이쪽으로 옮겨 재미를 ㅎㅎ
    정말 타이라바 어려운 낚시는 낚시 입니다.
    저는 그래서 더 재미 있고 ,,,,
    계속 누적 경험 올려 주시면 열심히 참고 하겠습니다.
    단 정답은 없고 유동식등의 유행은 사람이 만든듯 합니다 ^^
  • profile
    안면도꿈에그린호 2016.07.25 16:39

    갯바위 돔 낚시 해보신분들은 금방 이해하시드라구요.
    뭐 ~ 전유동과 반유동의 장단점을 잘알고 계신분들은
    유동식을 선호하는것 같습니다.

    선장은 지렁이끼나 안끼나 하루 잡는 참돔 마리수는 똑 같아서

    끼지 않고합니다

    돈. 시간. 잡어의 성화.  타이와 스커트의 유연한 움직임의 방해.등등의 이유로

    끼지 않습니다 
    다음에 고정식. 유동식.의 선장의 경험을 써 보겠습니다

  • ?
    피사모 2016.07.25 17:14
    냅 감사 ^^ 저는 아직까지 유동식을 써 본적이 없어서....
    지렁이 이거또한 사람에 간사한 마음 이라 ㅠㅠ
    냅 좋은 경험 많이 올려 주세요
    그럼 이제 9월초 부터 다시 시작되는 시즌에 도전 해보겠습니다 ^^
  • profile
    안면도꿈에그린호 2016.07.27 12:52
    날씨가 더워 힘드셔서 그렇지 지금이 참돔 잘 잡히는 시기입니다
    참돔이 열대어 이거던요.
  • ?
    졸도사 2016.07.26 09:56
    선장님 좋은 글 감사합니다.
  • profile
    안면도꿈에그린호 2016.07.26 11:31

    네.
    도움이 될지 모르지만 열심히 올려 보겠습니다.
    삼복 더위에 건강하세요.....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날짜 조회 수
810 [출조문의/개인조황공유] 서해안 민어 출조 선사정보 부탁 드림니다. 1 2016.06.29 3453
809 [낚시일반] 동해안쪽에 문어배는 없나요? 4 2016.07.01 3814
808 [장비관련] 수류탄 밧데리 2 2016.07.03 5895
807 [장비관련] 수류탄 배터리 자작및 실전테스트 16 file 2016.07.05 14071
806 [출조문의/개인조황공유] 계마항 베스트호 2 2016.07.07 4968
805 [낚시일반] 내일 낚시 여수 혹은 남해 삼천포 돌문어 낚시 2016.07.11 3303
804 [장비관련] 전동릴 밧데리 충전에 대하여 여쭤 봅니다. 9 2016.07.11 6635
803 [장비관련] 전동릴 2 2016.07.12 4587
802 [조행후기] 여수의 2박3일 문어낚시 조락기(釣樂記) 22 2016.07.20 12571
801 [지역정보] 통영 문어낚시 1 2016.07.23 21749
800 [장비관련] 떼루 (금병죽) 초리대 살수있는곳 알려주세요 2 2016.07.24 2064
799 [낚시일반] 문어낚시 8 2016.07.24 10972
» [루어관련] 참돔 타이라바낚시에 감는 속도가 중요한 이유. 6 file 2016.07.24 9786
797 [루어관련] 참돔 타이라바 합사 원줄 선택은 ? 4 file 2016.07.25 18026
796 [조행후기] 서해 외수질에 감성돔을 낚다. 2 file 2016.07.26 5233
795 [루어관련] 참돔 타이라바 유동식과 고정식의 장단점 비교 9 file 2016.07.26 6754
794 [장비관련] 농어대와 민어대 추천 부탁해요 3 2016.07.28 8075
793 [루어관련] 참돔 타이라바 전용릴의 기어비는 어느것이 좋을까요? 2 2016.07.29 10269
792 [장비관련] 바낚스 카이젠300사용방법 좀 여쭙겠습니다 3 2016.08.01 4859
791 [조행후기] 격포로 떠난 민어낚시 여유 25 file 2016.08.02 11116
790 [낚시일반] 통영으로 밤볼락 지금 갈려구 하는데 선상으로 ...알려 주세요~^^; 1 2016.08.02 2406
789 [장비관련] 갈치낚시대 2 2016.08.03 6836
788 [낚시일반] 백조기 낚시 물때 4 2016.08.03 10847
787 [낚시일반] 갈치낚시미끼 4 2016.08.04 9978
786 [낚시일반] 광어를 싱싱하게 보관하는 방법 좀 알려주십시오 10 2016.08.04 14589
785 [장비관련] 원터치 클립을 찾고 있습니다. 6 file 2016.08.05 3718
784 [낚시일반] 서울, 인천에서 오천항 가는 셔틀버스 있나요? 2016.08.09 6105
783 [낚시일반] 혹시....쿨러에 드라이 아이스 써보신 조사님 계신가요?? 3 2016.08.10 6504
782 [장비관련] 선상갑오징어 전용로드질문합니다! 3 2016.08.10 11683
781 [알림] 바다 낚시꾼이 직접 낚은 고등어로 초절임회(시메사바) 만들기 레시피입니다. 32 2016.08.14 2028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18 119 120 121 122 123 124 125 126 127 ... 149 Next
/ 1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