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디카조행[민어]

profile
조회 수 10292 추천 수 26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http://user.chollian.net/~wsb92/theme31/theme31-7.asf서해의 우럭은 수온상승의 영향인지 깊은 수심에서조차 호황의 소식은 없고
침선에서는 연일 왕대구가 자리를 잡은 것 같다.
아직도 수온은 높은 편이고 추석 이후나 되어야 근해쪽에도 우럭이 나올것이란 것이
낚시업을 하는 분들의 공통된 생각인 것 같다.
우럭 조황이 안 좋은가보다.

얼마전 배를 타고 나가  미노우와 스푼을 이용한 삼치 루어 낚시를 다녀온후 선상에서 먹어본
삼치회의 맛과, 집에서 예외적으로 반기는 삼치구이용 재료를 구한다는 명분으로 친구 회사의
낚시 동호회 출조에 동행하게 되었고 우럭 낚시도중 커다란 대나무 장대를 내리우며 삼치를 잡는
모습을 언뜻 얘기로만 들었지만 몇가지 이해가 되지 않는 부분이 있어 상당히 궁금했는데,
직접 낚시(조업)를 해보니 궁금증을 한번에 해소할 수 있는 기회가 되었다.

어부지리님과 둘리님과 이른 새벽 안흥항에 도착하여 출항 전까지 고등어와 우럭을 잡기 위해
신진도로 향하고 여의치 않자 다시 안흥 내항으로 돌아와 어부지리님은 찌 낚시를 저와 둘리님은
루어대를 펴고 열심히 낚시 하지만, 어두운 테트라 포트의 위험과 한차례 쏟아지는 비를 피해
자리를 떠야 했다.
저번에도 똑 같은 시간에 비를 맞았는데..오늘도 역시…
요즈음은 비와 인연이 많은가보다..

신진도의 외항 주변의 식당에서 아침을 먹는 동안에도 비는 연신 퍼 붓고 몸이 일부 젖다보니
돌아가고픈 맘도 생긴다. 낚시점에서 친구의 낚시동호회팀과 만나 삼치 트롤링의 실력자로 인정받는
선장님의 배를 타게 된것에 기대감에 승선하니
발에 묻은 흙을 직접 두레박의 물로 퍼 닦아 주는 호의를 배프신다.
처음 있는 일인데….깔끔하신 선장님인가 보다.

배의 한켠에 자리잡은 삼치잡이용 어구를 눈여겨 보며
먼 곳에서 보던 대나무 장대를 보며 고개를 끄덕이며 한번 만저 보는 사이 배는 출항하고
목적지인 난도와 병풍도를 향해 아직도 어두운 새벽바다를 헤치며 나아간다.

신진항을 떠나며...


삼치 트롤링은 개인별로 진행하는 낚시가 아니니 할일도 없을것이고
종일 햇볕 쏘이며 삼치회에 소주만 마시며 유람하면 되는 것 아닌가 하는 느긋함으로
빈둥되고 시간 때울 생각을 했는데…나중에는 백병전을 치루는 보병처럼 아무 생각없이
지시하는대로 신속히 움직이는 기계화 인간이 되어 버렸다.


알섬! 여기가 포인트인가보다.


목적지에 근접하자 선장은 조업 준비에 바쁘다.
커다란 대나무 장대가 30도 각으로 내려 지고 하나씩 줄을 묶고 내리는 사이
2knot 정도의 저속으로 움직이기에 잽싸게 루어대를 펼치고
배의 맨 앞에서 스푼과 미노우를 던졌다.

틈을 이용하여 루어 한번 날리고...


선장보다 먼저 삼치를잡아 보려 했는데 삼치는 올라 오지 않고 어느새 삼치잡이의
장비가 완료 되어 부랴 부랴 루어대를 접었다.
모두들 호기심에 배의 뒷켠으로 모이고 잠시나마 선장으로부터 삼치잡는 요령을
설명 듣는데…
아하~~~ 감이 왔다… 그렇구나!!
원리는 어찌 보면 간단 하지만 만만찮게 볼수 없는 조구다.
먼저 배의 좌.우현으로 10m 정도의 긴 대나무 장대가 있고
대나무 끝에서부터 2m 정도의 간격으로 5섯개의 낚시 줄이 있는것이다.
배의 좌,우현을 모두 합하면 10개의 낚시 줄이 내려지게 되고
낚시줄의 끝에는 삼치를 유혹하는 루어가 연결된다.

낚싯줄 준비에 들어간다.(가이드줄 먼저 준비하고)


삼치트롤링 준비 완료(고무줄 늘어나는 것만 보면 된다고?)


줄을 모두 내리면 당연히 서로 엉킬것인데..
줄마다 모두 길이와 무게(낚시줄에는 일정 간격으로 추가 달려있다.)가 서로 틀리고
배의 안쪽부터 짧고 무거운 줄을 사용하고 배 중심에서 벗어 날수록 길고 가벼운 추를 사용한다.
줄이 무게는 안쪽부터 2kg정도가 되고 두번째줄은 1.8kg, 세번째는 1.6kg..이런 원리로 보면 될 것
같다. 줄길이 또한 안쪽은 60m정도이고 맨 마지막 줄은 100m가 넘는 것 같다.

결국은 배의 안쪽은 깊은 수심…멀수록 얕은 수심에 위치하여 다양한 수심을 공략하고 엉킴을 방지하는
과학적인 방법이라 사료되었다.
삼치가 루어를 물경우 대나무와 낚시줄을 연결하는 부분에 탄력이 있는 고무 재질로(타어어 튜브)
연결하여 어신을 확인 하는 것이었다.

예술이다! 이렇게 복잡하게 얽힌 줄들이 전혀 꼬임이 없다.



조업이 시작되자 배는 3~4knot 정도로 움직이는데 곧바로  좌측5번…우측2번이란다..
무슨소린가??
말 그대로 2개의 낚시줄에 벌써 삼치가 걸려든것이다.
고무줄이 늘어난 정도로 어신을 확인 하기는 상당히 어렵다. 경험이 많은 선장의 지시로
선택해준 줄을 감아 올리면 되고 올리는 줄은 즉시 바다로 재 투입되어 연속 작업이 되는 것이다.
처음 섬주변에서 올라온 삼치는 작은 씨알이다.

언제 어떻게 걸리나? 호기심...(그러나 이것도 잠깐이다. 좀 지루하다)



서로 당겨 볼려고 해보는데.. 삼치의 크기를 떠나 줄 무게와 배의 진행 방향과 조류의 저항으로
초반부터 팔이 아파오기 시작하고
시간이 지날수록 삼치가 60~80급이 되어감에 따라 하나 둘 자리를 뜨기 시작한다.
굵은 씨알의 삼치는 쿨러가 좁아보이고 쿨러가 차올라 가면서 점점 힘이 든다.
이제 줄을 당기는 것이 힘에 부치고 미쳐 2개의 줄을 동시에 감아 들이지만 예약된(미리 걸려든)삼치가
늘어 난다. 종일 잡으면 200kg이상은 족히 잡을수 있을 것 같다.
옆사람보다 짧은줄과 작은 삼치를 올리면 더 좋아한다..ㅎㅎ

릴링이라고 해야하나? 꼭 두명만 동시에 할 수 있다.


삼치의 심한 몸부림은 배에 올라온 뒤에는 더욱 심했으며 무섭게 생긴 날카로운 이빨은
자칫 잘못하면 안전사고를 일으키기 충분했다.
또한 삼치를 루어 바늘에서 빼낸후 루어를 바다로 재투입시에도 상당히 위험하다.
잔뜩 당겨진 루어 바늘에 신체의 일부를 다칠수도 있기 때문이다.
삼치의 이빨에 살짝 스쳤는데도 손가락에 피가 비치고 고통을 참아야 하는 친구 모습이 안스러웠다.

올린 후 조심하지 않으면 크게 다칠 수 있다.



드디어 모든 쿨러가 가득 찼다.
대형 쿨러에는 큰 씨알 작은 쿨러에는 작은 씨알로 가득차고..
시간은 오전 10시 30분….. ㅠㅠ

기념사진은 늘 즐거워...(어떻게 잡았는지 지들이 알리 없지!^^)


기념사진


기념사진


장비를 철수 하는데도 30분이 소요되고 난도에 근접하여 부표에 정박하여 신선한 삼치회와 점심을 먹는데..
모두 지쳐서인지 입맛이 없어 보인다.
삼치회는 초고추장보다는 양조 간장과 겨자를 겸한 양념이 어울린다하여 먹어보니 그맛이 괜찮다.
잠시 섬을 향하여 미노우를 던져 보지만 맑은 물에 해파리와 학공치 떼만 무수히 많을뿐 반응이 없다.
오후까지 나머지 시간을 우럭 낚시로 변경하여 병풍도 궁시도 옹도 지역에서 우럭을 낚아 보지만 씨알이 20이 갓넘는 수준이고 쓸만한 씨알은 극히 드물다.
아직도 수온이 높다고 선장이 혀를 찼다.

아니 이동넨 우럭낚시에도 삼치가... 에구 질려...



들기 버거운 쿨러에서 삼치의 내장까지 정리후 얼음을 채운후 무거운 쿨러와는 반대로 가볍고
즐거운 맘으로 돌아올수 있었다.
아무래도 당분간 밥상에는 삼치구이가 빠지지 않을 것 같고…
이번 경험으로 당분간 삼치가 먹고 싶더라도 아마도 대형 마트나 생선가게에서 돈주고 사먹을 것 같다.
몇일이 지난 지금도 손과 어깨가 저려온다..
아무래도 비가 계속 오려나보다..



대물인지 아닌지 보기전엔 모른다.



뱃전까지 와서야 "4짜네 5짜네..."



요 순간만큼은 진지하게



찰나의 손맛(?)도 있다 1



찰나의 손맛(?)도 있다 2



찰나의 손맛(?)도 있다 3



찰나의 손맛(?)도 있다 4



3~40미터 앞에서 삼치는 수면으로 뜬다



오전에 쿨러채우고 전투 마무리 - 병풍도 우럭낚시로 이동



그러나 우리의 전사들은 픽픽 쓰러진다.



배에서만 맛 볼수 있다는 삼치
지친 우리의 전사들은 입맛도 없다나...
이렇게 남아서 갈매기밥으로 헌납했다.


입안에서 사르르 녹는 그 고소함
삼치 고유의 은은한 향과 담백함은
와사비의 매콤한 맛과 어울려
마치 혀 위에서 차르르 맛 구슬이 구르는 것 같은
특이하고 오묘한 맛입니다.




삼치트롤링
분명 손맛이 어떻다고 말 할수 없습니다만.
그러나 입맛만큼은...


2005년 9월 13일
작성자 : 블루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추천 수
62 보오람찬 핫!둘!(군대 야그) http://user.chollian.net/~wsb92/theme31/theme31-3.asf포천의 일동과 이동을 지나가게 되었습니다. 그동안 잊고 있었던 강산이 두번도 더 바뀐 지금 그 오래전의 몇가지 추억 아닌 기억의 단편이 주마등처럼 지나... file 어부지리 2005.11.14 10003 194
61 비오는 저녁 우왕좌왕 일기 조용히 내리는 비는 담을 수 없나 보다 늦은 저녁 비가 부슬부슬 내린던 날 컴퓨터 앞에서 꼼지락대며 간만에 어느 블로그의 '오늘의 추천곡 모음'을 클릭해 본다. When you're weary feeling small When tears are ... file 어부지리 2006.07.21 10031 225
60 참돔? 광어가 더 아른거리는 그때 태안 앞바다 참돔루어낚시 탐사 급하게 잡힌 스케줄 탓도 있었지만 참돔루어가 흔치 않다 보니 참여할 사람이 별로 없었습니다. 이렇게 프리로 출조 할 수 있는 탐사는 웬만하면 가줘야 하는 건데^^ 어찌어찌 몇 종... file 어부지리 2008.07.12 10068 205
59 갑오징어 시즌 개막전 http://user.chollian.net/~paris68/mid1/055.mid먼바다의 선상 우럭 낚시에서 루어낚시로 눈을 돌려 루어에 입문한지 어언 3개월..*^^* 그동안 서해에서 루어로 가능한 어종은 제법 쫒아 다닌 것 같다. 루어... file 블루 2005.09.26 10081 187
58 내만권 우럭 시작되다 신진항 우럭배낚시 출조 했습니다. 내만권 우럭이 떳다는 소문이 반가웠고, 개인적으로 우럭 손맛 본지도 꽤 지난 것 같습니다. 해가 길어져 출항 직후인데도 저렇게 높이 떠있습니다. 그러고 보니 다음 달에는 낮이... file 어부지리 2007.05.29 10082 171
57 올 겨울 대구지깅 뜨나? ▲ 강원도 삼척 장호항, 대구지깅 배가 많기로 유명한 포구. 매년 겨울이면 대게* 조업으로 활기찬 항이기도 하다. 서해가 먼바다 침선낚시만으로 한 템포 쉬어가는 겨울, 이때가 동해의 대구 지깅은 제철입니다. 작... file 어부지리 2007.12.10 10089 238
56 손맛 짱! 입맛 짱! 동해남부 고등어배낚시 (추가 사진 정리) 고등어배낚시 조행 사진 선상고등어낚시의 중심지, 포항 양포 가는 길... 양포 근처의 해안도로에서. 양포는 포항 남구 소재로 경주와의 접도 지역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앞을 보면 경주, 뒤를 돌아보면 포항. 그러... file 어부지리(민평기) 2010.10.18 10100 154
55 울도 ▶인천남항부두 잔교로 가는 연결로 한 두시간전에 먼저 도착하고 출항을 기다린다. 이렇게 약속시간 한참전에 도착해서 기다리는 데도 지겹지 않은 이벤트가 낚시말고 또 어디 있으랴! ▶출항 준비중인 선박들 오늘 ... 어부지리 2005.05.17 10132 265
54 부시리 손맛에 감격한 날 / '낚시 왜 왔나' 후회한 날 역동하는 장면이 마치 원양 참치잡이 현장의 사진 같습니다. 부시리는 힘이 얼마나 좋은지 지칠 때까지 기다리기도 뭐합니다. 주관적 생각이지만 부시리 손맛은 같은 크기의 농어*2 이상의 손맛처럼 느껴집니다. 아... file 어부지리 2007.10.08 10168 122
53 인천 농어 꽝! 그러나... 1년 동안 묵혀두었던 저가 미노우 손질했습니다. 작년 생각 나네요. 대물 농어 걸고 반 이상 끌어왔을 때 팅... 바늘 연결 링이 쉽게 펴져 거의 불량이라고 볼 수 있는 미노우. 험한 지형 탐색용으로 쓰려고. 잘 숙... file 어부지리 2007.06.22 10177 265
52 3짜 개우럭을 찾아서 낚시가기 전날의 설렘같은 것도 없이, 주말 아침에 눈 일찍 떠지면 그냥 갈 수 있는 곳. 바닷가 가까운 곳에 산다면 언제든 생각날 때 찾을 수 있는 그런 곳 중 하나. 리얼리 바다가 보고프고, 잔챙이 우럭이 반갑다... file 어부지리 2007.09.26 10193 216
51 심해 우럭 맛보기 어느 날부터 '대한해협 침선' '참우럭' '심해왕우럭' 등의 얘기가 들리기 시작했습니다. 관련 조황 사진에는 여지없이 맛없어 보이는 우럭이 보였구요. 하나같이 '빵'이 얼마나 좋은지 우럭 길이가 헷갈리고 어느 정... file 어부지리 2007.03.27 10212 118
50 삼치 삼치 낚시 다녀와서... 비가 부슬부슬 오는 새벽 신진항 한치 앞도 안보이는 방파제 "잡았어!"라는 외마디 외침에 대충 카메라 플래시를 터트려보니... 블루님도 예상치 않던 조과라 기뻐한다. "그런데 우럭은 어디 ... file 어부지리 2005.08.22 10232 227
49 주말 낚시 여행 일기 집이 10채도 안돼 보이는 어느 고성의 포구 아마도 고성만의 어디겠지. 날씨가 잔뜩 흐려 동서남북 방향도 모르겠다. 빈약한 조과 탓이다. 대부분 내 조행기에는 고기 얘기(사진)가 적은 편이다. 조행기를 쓸 때마다... file 어부지리 2007.02.12 10263 218
48 42.195 마라톤 구경가느라 작은애 자전거를 타고 나섰습니다. 에구 힘들어... 자전거가 작아서 걷는 것처럼 힘드네요. 쉬엄쉬엄 고양 종합운동장까지. 휴일임에도 오늘만큼은 이 병원에서 심장전문의가 대기하고 있다는군요... file 어부지리 2006.03.02 10265 273
47 물고기 이야기(참치 편) 그 언젠가 어디선가 3만원(?)/인 가격으로 먹었던 참치회 참치 모임 전경 참치 편, 마치 시리즈로 올릴 것 같은 제목이지요.^^*(다른 물고기 계획은 없습니다) 요즘 취미 생활은 아주 다양합니다. 예전에는 취미라고... file 어부지리(민평기) 2011.06.26 10286 105
» 손맛? vs 입맛 - 끌낚시 http://user.chollian.net/~wsb92/theme31/theme31-7.asf서해의 우럭은 수온상승의 영향인지 깊은 수심에서조차 호황의 소식은 없고 침선에서는 연일 왕대구가 자리를 잡은 것 같다. 아직도 수온은 높은 편이고 추석... file 블루 2005.09.13 10292 262
45 요즘 인천 광어와 갑오징어 - 블루 - 남항부두에서의 출조는 저에게 조금 다른 의미를 갖게 해줍니다.. 집에서 10분 거리에 위치 하기에 안흥과 비교 하면 비용,시간 피곤함등은 비교 할 필요도 없을 정도로 많은 부분이 유리합니다. 그러나 그동안 조과... file 블루 2007.10.16 10297 264
44 KIN 문 어 '알배'에 문어 글 올리고 이번 외계생물과의 전투기는 생략하려고 했습니다. 낚시 분위기를 볼 겸 사진 좀 올리라는 분이 있어, 주요 사진만 간략히 올립니다. 출항은 야미도항에서 했습니다.(비응도항에서도 많이 ... file 어부지리 2007.10.18 10310 193
43 사승봉도 옹진군 안내를 보면 군이 자랑하는 아홉개의 아름다운 공간이 소개되어 있습니다. 옹진군의 비경으로 "옹진 구경(九景)"이라고 합니다. 그중 두번째(二景)로 소개된 사승봉도를 얼마전에 잠깐 다녀왔습니다. 승봉도 ... file 어부지리 2005.06.17 10320 28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Next
/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