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알려주세요 배낚시

[장비관련]
2009.03.17 07:00

장비 문의 드립니다.

조회 수 4685 댓글 5
최근에 군산권에서 많이 한다는
참돔 타이러버 낚시에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습니다.
아직 한번도 해보지 않았고 장비를 구입 하려하는데 ... 너무 어려워요.
조언 부탁드립니다.

질문1
- 고가형말고 보급형 참돔대 & 릴 추천 부탁드립니다.

질문2
- 참돔과 농어 동시에 즐길수 있는 낚시대 추천 부탁합니다.
   (동시에 즐길수 있는게 있기는 한지 모르겠네요)
Comment '5'
  • ?
    감성킬러 2009.03.17 09:26
    안녕하세요? 앵두님!
    참돔 타이라바 낚시를 해보진 않았지만, 저도 바다루어 낚시에
    관심이 많거든요.
    선상 예약이 어려울 때나 물때가 맞지 않을때,
    간편한 장비로 훌쩍~ 가족과 함께 언제든 떠날 수 있는 낚시장르란
    점이 참 매력적이란 생각이 들었습니다. (참돔 타이라바는 선상낚시지만...)
    해서 그동안 어설프게나마 공부했던 정보를 말씀드리겠습니다.
    실제로 참돔타이라바 낚시의 경험이 있으신 선배님들의 답글을 기대하면서요.

    1. ROD
    이 낚시가 일본어부들의 '인치쿠'에서 발전한 관계로 로드의 전문성도 일본이
    뛰어납니다.
    시마노나 다이와에선 전용 로드가 이미 출시되어 있구요.
    국내 메이커는 N.S에 나와있습니다.
    로드는 초릿대가 유연하면서 허리힘이 강하고 질긴 특성에 포인트가
    맞추어져 있습니다.
    타이라바 채비운용의 핵심이 루어에 달린 넥타이 움직임의 연출에
    있기 때문인 듯 합니다.
    초릿대의 유연함은 초기 예신시 참돔의 이물감을
    줄여주려는 의도인 듯 하구요.
    제 생각으론 전용로드 특히 일본제품일 경우엔 가격압박이 너무 심할 듯 하고
    선상과 연안 모두에서 바다루어를 즐기기 좋은 로드를 선택하시는게 좋을 것
    같습니다.
    민물 배스로드 중에서 초릿대가 유연하고 허리힘이 강한 액션의 대를
    선택하시면 별 무리가 없어보입니다.
    인터넷상의 쇼핑몰을 검색하시면 가격과 성능을 비교하실 수 있겠죠?
    참고로 선상 타이라바 낚시에서 로드의 길이는 6.5ft 정도가 알맞다고 하네요.

    2. REEL
    타이라바 낚시에서 중요한 기교중의 하나가 falling(채비내림 혹은 채비떨어뜨림)
    입니다.
    채비를 내리는 방법에 따라 조과가 틀려지고, 바닥에 닿은 채비를 감았다
    다시 내리는 과정에서 잦은 입질이 들어오는 관계로
    스피닝릴보다는 베이트릴을 기본장비로 설정하심이 좋을 듯 합니다.
    스피닝릴은 스풀이 정지되어 있고 라인이 풀려나가는 방식이지만
    베이트릴은 스풀이 회전하면서 라인을 풀어주는 방식이기 때문에
    타이라바 운용에 보다 효과적이라는 뜻입니다.
    기존의 장비를 가지고 있지 않으시다면 릴은 국산보다는 외제를 추천하고 싶습니다.
    국내 기술력을 믿지 못해서가 아니라 '개인의 장비'라는 측면에서
    초기 투자가 필요한 분야라는게 제 생각입니다.
    아부가르샤나 시마노, 다이와 중 솔트워터 전용으로 나와 있는 제품을 선택하시는게
    어떨런지요?

    3. LINE
    작년의 기사들을 모아보니까 결론이 PE(합사)1호가 보편적이더군요.
    참돔낚시는 조류가 어느정도 가주는 상황이 절대적으로 유리한데
    (조류가 안갈 때는 입질 자체가 없을 때가 많았답니다.)
    PE1호 이상이 되면 조류에 라인이 너무 날리는 단점이 발생하고,
    0.6호나 0.8호의 경우엔 쇼크리더(충격을 완충하기 위해 보통 카본3호 정도를
    1m 가량 덧댑니다.)와의 연결부위가 자주 터지는 단점이 있다네요.

    대상어종의 크기나 파워를 생각해 보면 참돔타이라바 장비를 농어루어에
    적용하셔도 별 문제는 없어보입니다.
    작년 학암포에 출조를 갔을 때 선상 루어팀을 만난적이 있었는데,
    이 분들은 같은 장비로 개우럭, 대형광어, 농어까지 무리없이 끌어내는 걸
    봤습니다.
    보다 나은 조과를 위해서 채비나 장비가 세분화 되는 걸 막을 순 없겠지만,
    이걸 다 따라갔다가는 가랑이가 찢어지리란(?) 생각이 들더군요.
    내 손에 익은 장비로 하나하나 접근하는게 최선의 선택이라는 생각입니다.

    장비관련해서는 답글을 쓰다보면 자꾸 장황해지기만 하네요.
    구체적으로 로드는 어느 회사의 이 제품, 릴은 이것....
    이렇게 추천해드렸으면 좋겠는데 제 실력이 워낙 미천해서... 쩝쩝
    참고가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늘 건강하시길....


  • ?
    파비오 2009.03.17 10:20
    감성킬러님께서 좋은자료 올려 주셨네요.
    저도 작년부터 관심을 가지고 장비를 모으고 있는데..생각보단 어렵네요. ㅎㅎ
    제 짧은 소견엔 아직까진 체계적으로 이거다 하고 자리잡힌게 아닌것 같기도 하고요. 사람마다 취향이 틀리니까요.
    참고로 하신다면 고군산 해무니호 홈피(http://www.haemuni.co.k)에 가셔서 게시판 읽어보시면 장비 선택시 많은 도움이 되라라고 봅니다.
    수고하세요!!
  • profile
    민평기 2009.03.17 10:43
    감성킬러님 공부열정(?)은 대단하십니다.
    갯바위 하시다가 선상 입문하셔서 개념 정리하는데도 머리 복잡하실 텐데요.
    어느새 루어도 스터디하고 계시는군요.^^

    개인적으로 시즌 시작 전에 루어(장비)에 대해서 글 올리려 생각 중입니다.
    제목은 정했습니다.^^&
    '따라하지 않아도 된다. 니들만 해라, 허황된 루어 장비 추천'

    그러나 기본적으로 정설은 알고 있는게 좋다고 생각합니다.
  • ?
    피사모 2009.03.17 12:03
    또한분의 바다 루어꾼 탄생 정말 재미 있는낚시.
    바다루어 관련의 동영상은 백문이 불어일견 여기 동영상에서 보시면
    많은 도움이 됩니다 장비와 운용은 여기서 보심 되고
    http://www.best-fishing.kr/html/index.htm
    단 타이러버 운용은 나와있지 않지 않으며 배스트 피싱운영자가
    직접 출연한 ftv의 쾌걸조로라는 프로 검색 다시보기 하시면
    정확히 알수 있습니다. 서해안 문어에 작년은 참돔 올해는 참돔이 아닌
    어떤게 출연할지는 미지수 입니다 금년에 참돔이 나올런지?
  • ?
    앵두 2009.03.18 03:48
    감성킬러님 너무 자세한 답변 감사드립니다.
    감동이 쓰나미 처럼 밀려오네요 ^ㅡㅡㅡㅡㅡㅡㅡ^
    언제 한번 같이 출조할수있는 날을 기대해봅니다.
    그리고 파비오 , 피사모님 가르쳐주신 싸이트에서 공부 많이 할께요 감사 합니다.

    언제나 감동을 주시는 어부리리 회원님들 감사합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날짜 조회 수
3090 [기타] 생선회 100배 즐기기 12 2009.02.26 7187
3089 [알림] 이런 대구 낚으면 연락要 - 상품권 드립니다 3 file 2009.02.27 4864
3088 [낚시일반] 이런 낚시를 계속가는게 나은지?? 11 2009.02.28 5268
3087 [낚시일반] 우럭미끼 문의합니다 11 2009.02.28 9768
3086 [기타] 도다리 쑥국을 꼭 먹어 보고 싶은데.... 3 2009.03.02 5638
3085 [장비관련] 낚시대 문의 합니다... 5 2009.03.04 4857
3084 [낚시일반] 울산 심해낚시 방법을 알려주세요 6 2009.03.04 5418
3083 [낚시일반] 평택항 보트띄울수있는 장소 부탁드립니다 3 2009.03.04 5156
3082 [낚시일반] 영등철(음력2월)의 서해는? 5 2009.03.06 6448
3081 [조행후기] 도다리 쑥국(만?) 학실히 먹고 왔습니다. 8 2009.03.06 5050
3080 [기타] [오피니언] 서해 광어의 방류 모금운동을 제언합니다 5 file 2009.03.12 4085
3079 [낚시일반] 꼴뚜기 미끼에 대해서 여쭤볼것이 있습니다 6 2009.03.12 15824
3078 [낚시일반] 1주일 예상파고...... 4 2009.03.16 4154
3077 [낚시일반] 목포 가이드호 어제 오늘 그리고 내일 - by 그림자 - 3 2009.03.16 5131
» [장비관련] 장비 문의 드립니다. 5 2009.03.17 4685
3075 [장비관련] 선상 우럭낚시에 적합한 구명 조끼 추천 부탁 합니다. 3 2009.03.17 9192
3074 [조행후기] 가거초 그리고 생존경쟁의 어선들 8 2009.03.18 5422
3073 [낚시일반] 과연 이것이 누구를 위한 방법일까요? 42 2009.03.18 9123
3072 [알림] 이글을삭제함을 .... 5 2009.03.20 5194
3071 [장비관련] 시마노 구형 3000xh 설명서 구합니다. 1 file 2009.03.22 3670
3070 [장비관련] 다이와 Z500FT 사용자입니다. 6 file 2009.03.23 3509
3069 [조행후기] 낚으려면 낚여야..... 12 2009.03.23 4518
3068 [조행후기] 서해초짜가 서해바다낚시의 ‘주에스트로’를 만나다. Part-1 8 2009.03.24 4972
3067 [조행후기] 서해초짜가 서해바다낚시의 ‘주에스트로’를 만나다. Part-2 6 2009.03.25 4658
3066 [조행후기] 서해초짜가 서해바다낚시의 ‘주에스트로’를 만나다. Part-3 18 file 2009.03.25 5566
3065 [낚시일반] 배낚시때 배고장으로 회항시 환불기준은 ??? 8 2009.03.25 6003
3064 [장비관련] 시마노 구형 3000xh 설명서 구합니다. 3 file 2009.03.26 3536
3063 [낚시일반] 선상받침대 사용 노하우 부탁합니다. 6 2009.03.30 6726
3062 [장비관련] 시마노 전동릴 6 2009.03.31 5491
3061 [낚시일반] 3월29일 안흥 출조후기 궁금증.. 7 2009.04.02 488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 150 Next
/ 1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