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디카조행[민어]

2007.03.27 17:15

심해 우럭 맛보기

profile
조회 수 10212 추천 수 118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어느 날부터 '대한해협 침선' '참우럭' '심해왕우럭' 등의 얘기가 들리기 시작했습니다.
관련 조황 사진에는 여지없이 맛없어 보이는 우럭이 보였구요.
하나같이 '빵'이 얼마나 좋은지 우럭 길이가 헷갈리고 어느 정도인지 가늠이 잘 안됐지요.

손맛 좋았겠다...
저 우럭은 왜 저리 높이(체고)가 높아. 무게 꽤 나가겠네.
심해에서 빛을 못 받아 그런지 희끄무리한 게 맛은 별로겠네.


그런 우럭을 잔 씨알로 한 마리 얻었습니다.


작지요. 워낙 큰 넘들만 봐와서...
도마 대각선이 40cm니 얼추 4짜입니다.

왕.참 우럭 등으로 불리는 이 넘의 실제 이름은 누루시볼락입니다.

양볼락과 볼락속(屬)에 속해있는 볼락, 불볼락, 조피볼락 등이 서로 완전히
다른 어종이듯, 누루시볼락도 조피볼락과는 전혀 다른 종입니다.

조피볼락과 너무나 흡사한 외형때문에
또 방언 및 일반명이 조피볼락과 같은 '우럭'이기에 더욱 헷갈립니다.
불볼락을 열기라 부르고 조피볼락을 우럭이라 부르듯이
누루시볼락도 우럭이라 부릅니다.


●누루시볼락
●방언 : 우럭
●學名 : Sebastes vulpes
●日名 : 기츠네메마루(キシネメバル)
●특징 : 조피볼락과 함께 통칭 우럭으로 불림. 조피볼락과 유사하나
            약간 옅은 체색에, 꼬리지느러미 끝 윤곽에 흰색 테가 있다.



사진이 흔들려서 횟감의 느낌이 안 다가오네요.(횟칼이 무디어 더 그렇게 보입니다)
맛에 대한 얘기는 늘 조심스럽습니다.
각 개인에 따라 다 다른 게 입맛이다 보니.

한 가지만은 확실합니다.
우럭(조피볼락)과는 분명 다른 고기 맛이라는 거.
'무취'라는 표현이 어울릴 지는 모르겠지만, 생선 특유의 냄새가 없어요.
"그럼 맛없는 거 아니냐?"라고 할 분이 있겠지요.

아닙니다. 냄새가 없는 느낌에 '담백'하다는 고급스런 맛이 입 안에 가득합니다.
생선회 맛을 모르고 그리고 잘 안 먹는 큰 애가
"어! 이 회는 아주 맛있네"라고 먹네요.
누루시볼락회는 조피볼락에 비해 단백질 함량 3배, 지방 함량 2.5배라는
자료를 찾았습니다.


'함유량이 많다'가 '맛있다'와 비례하는 건 아닙니다만,
두 어종이 전혀 다른 종류이자 다른 회맛이라는 얘기입니다.


회덥밥용으로 깍둑 썰어 잡어회덮밥 먹듯이 먹어 보았습니다.
초고추장에 숨어있는 단단한 육질에 마일드한 풍미가
꼭꼭 씹을수록 서서히 고소함을 발산합니다.

코로 맡을 수 있는 특유의 향이 없어서 생선을 싫어하는 사람에게도 거부감이 없습니다.
냄새로 다가오는 맛이 아니라,
오로지 입안에서 느끼는 맛이 깊어지며,
씹은 후 삼키는 순간에 최고의 맛을 발합니다.
삼킬 때 맛에 놀라 멈칫하게 만드는 묘한 매력의 회맛이라 할 수 있습니다.
(표현이 좀 이상하네요^^)

아무튼 근래 보기 드문 정상급 회 맛이라는 게 제 개인적인 의견입니다.
손 맛도 우럭과 많이 다르다던데, 그건 경험이 없어서 모르겠구요...


속칭 대한해협이라고 표현하는 이 누루시볼락 포인트는 동해남부쪽입니다.
많이 알려져 있지는 않지만 부산과 울산에서 여러 배가 출조합니다.
울산의 북부나 남부, 혹은 부산에서 출항하든
다 비슷한 포인트에서 낚시한답니다.

포인트까지의 이동은 2시간 대에서 4시간까지 걸린답니다.
추가 소식 접하게 되면 올리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