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알려주세요 배낚시

[장비관련]
2013.01.27 06:41

서해외줄낚시장비및채비법문의

조회 수 7934 댓글 13
여러 조우님들께서 계사년에 복 많이받으셨고 안녕하십니까?
기후도 안바쳐서 낚시도 못가고 방콕(태국아닌내집)에 있습니다.
이참에 궁굼한점이있어 몇가지 질문을 드립니다.
가거초(x)라든가 왕돌짬같은데말구요.
우리가 제일 많이가고 사랑하는곳 인천앞이나 안흥지방 우럭낚시 에서는
어느정도의 낚시대길이가 적당하며 휨세는 어느정도며,
그에따른 2~3단채비의 채비법과 미끼사용법이 궁굼함니다.(바늘묶음과단차정도)
그동안 십수년간 저나름 대로의 방법을 고수해 왔는데 시간이갈수록
더욱더 제겐 미흡한것같고 좋은비법이 고수님들께 있지않을까?싶어서 문의 드리오니
부디 좋은 아이디어가 게신고수께서는 전수 하여주시면 고맙겠습니다.^,.^*
Comment '13'
  • ?
    오케바리 2013.01.27 15:59
    곰님 안녕하세요....^*^
    저두 궁금했는데 곰님 덕분에 저의 궁금증도 해결이 됐으면 좋켔읍니다..
    감기조심하시고 항상 안출하세요.....^*^
  • ?
    김포신사 2013.01.27 22:02
    우럭 외줄낚시 서해안의 대표적인 배낚시 뿐만 아니라 동해안이나 남해안에서도
    손꼽히는 대형급 외줄낚시 어종입니다.
    특히 요즘 50cm이상 개우럭낚시는 우리 낚시인에게는 대단한 인기를 누리고 있지요

    지역별로 보면 서해 중/남부.동해 동/남부.남해 동/서부.제주권 이렇게 나눌 수 있습니다.
    그동안 우러낚시 기법과 테크닉이 너무나 광범위 하여 누구나 선뜻 글을 쓸수가 없었다고 생각합니다

    오늘 장비/채비/미끼/지역에 대하여 댓글을 올리는 것은 순수 저 개인이 운용하는 것이기에
    정석은 아닙니다.
    그냥 참고로 하시면 좋겠습니다

    1.낚싯대
    저는 대구지깅을 할 때 로드는 180/195 두가지로 사용합니다.(동해)
    우럭은 200/210/230/240을 사용하며....(동.서.남.제주)

    2.채비단차는 (지역 공동으로...)
    낚싯대를 200/210을 사용할 때는 70cm의 단차로 3단을 사용하며
    230/240을 사용할 때는 80cm의 단차로 3단을 사용합니다.

    *활성도가 좋다는 판단이 서면(우럭)
    200/210일 경우 60cm의 단차에 4단을 쓰고.
    230/240일 경우 70cm의 단차에 4단을 씁니다.

    *서해안 대구일 경우에는
    로드는 그냥 우럭대로 사용하며 단차만 100cm~110cm로 2단을 사용합니다

    3.미끼는
    개인에 따라 다르게 사용하지만
    보편적으러 미꾸라지와 오징어/한치 살을 사용하지요
    또 표피붙은 고등어 살이나 갯지렁이 소라/조개살을 사용하기도 하며 주꾸미를 쓰기도 합니다
    저는 침선이나 어초를 전문으로 타고 넘을 때는 주꾸미와 오징어(길이 17cm정도 주꾸미는 한마리 통으로...)
    를 주로 사용하며 넓이는 부편적으로 1cm정도로 합니다.

    * 가거초 일 경우 오징어는 넓이는 1cm로 하되 길이는 10cm정도로 하며 채비 단차는
    50cm5단이나 40cm5단 40cm6단을 사용하기도 합니다.

    4.지역별 사용방법은
    저 개인은 인천이나 안흥 홍원 .....어느 지역이나 차별을 두지않고
    보편적인 방법으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5.봉돌은
    동해나서해 모두 비슷한 봉돌을 사용 하는줄 알고 있습니다
    보편적으로 100호를 사용하나 서해 사리물때는 120호 150호를 사용 할 때도 있습니다.

    *수년전에는 우럭낚시는 저세로 하였지만 어느 날 부터 장구통릴이 등장하고
    전동릴이 등장하고......
    테트라포드에서 대나무로 우럭 구멍치기 하고.....

    세월이 지난 지금은 고가의 장비와 낚싯대가 등장하고
    선사별로 최첨단 장비를 설치하여 최고의 조황과 서비스를 제공하기 때문에......

    어느 때 부터인가 우럭낚시의 정도나 기법 정통성은 없어진거 같습니다.
    오로지 본인의 개발과 침선/어초를 어떻게 넘어가고 개인의 조황을 올리느냐가
    관점인거 같습니다...

    위의 글은 순수 저 개인의 운용방법이니 참고만 하시길 바랍니다.
    저도 여러 고수님들의 높은 고견을 경청하고 싶습니다.
  • ?
    김포신사 2013.01.27 22:07
    로드의 휨새는 200/230은 연질을...
    210/240은 중연질을 사용합니다.
    입질이 예민 할 때 연질....활성도가 좋으면 중연질을 사용합니다.
  • ?
    곰(송재흥) 2013.01.28 14:42
    오케바리님!
    조금은 학습이 되셨습니까?
    궁굼하신점이 있으시면 지금 기회에 문의하세요
    여러 고수님들이 답변 해드리니까요.*^,.^*
  • ?
    곰(송재흥) 2013.01.28 14:45

    신사님! 안녕하십니까?
    몇일전에 대구회땀시 자문을 들였는데 또 이렇게 답변주시니 감사할 따름입니다.
    역시 해박하신 님의 고견을 경청하다보니
    풍부하신 경험과 실전에서 터득하시고쓰신 의견에 동감하고 고개가 끄덕여 집니다.
    지역별로 채비가 약간은 다르리라 생각했지만 일부 먼지역을 제외하곤 대등소이 하다는걸 알수있습니다.
    이글을 보시는 많은 조우께서도 큰 도움이 되셨으리라 생각합니다.

    잠깐 저의 채비법을 말씀드릴까 합니다.

    본선합사는6호 로드는 210cm로 선경이1.8mm의 초연질로서 통솔리드 입니다(시중에는없고 이것저것 못쓰게된것을 때려맞춘것입니다)
    채비는 자작으로 서해안 어딜가도 동일합니다.
    채비의길이는 200cm고 단차를90cm둔2단입니다.
    기둥줄은 24호이고 합사와 연결부분에 연결용 맨도래를달고 90cm밑에 1번가지줄80cm달고 다시50cm밑에 2번가지줄80cm를달고 20cm밑에
    추 연결핀도래10호를 체결합니다.
    그래야만 2번가지줄30cm정도가 추밑으로 내려가 어초속에있는 고기의시각을 유도할수 있을것 같습니다.
    채비총길이 (합사연결부분에서1번까지90cm+1번에서2번까지50cm+추연결까지20cm+2번가지줄여분30cm=160cm(채비총길이)
    )
    미끼는 오징어채를0.7~0.8cm넓이고 길이는10~15cm씁니다.

    ★TIP 산미꾸라지가 꿈틀거리며 바늘에서 이탈하지 않게하려면 미꾸라지를 먼저끼우고 다음에 오징어를 끼우면 절대로 미꾸라지가
    이탈하지 못합니다.
    바늘은 세이코26호로 가지줄은 꼬이지않도록 강도가높은 10호줄로 0.5cm얇은 은박쎌로판지와 같이묶습니다.
    두서없는 저의 채비입니다. 참고만 하세요

    신사님!
    여러가지로 많은 상식을 배웠습니다.
    앞으로도 우리 조우들께 번뜩이는 지혜와 풍부한 상식을 심어주세요. 감사합니다.

  • ?
    김포신사 2013.01.28 17:50
    저도 곰님의 채비법을 사용해보겠습니다.
    정석이 없는 우럭낚시 즐겨보시자구요..
    언제 기회되면 선상에서 뵙죠.
  • ?
    오케바리 2013.01.28 22:07
    참나~~
    일케 물어보면 한번에 해결될것을...ㅋㅋㅋ
    이 정보나눔 코너 하루에 30쪽씩 공책에 나름 필요한 요점을 적고 검색해보구...
    집사람과 애들은 뭔공부를 그리 열심히 하냐구 비웃는 마당에...
    김포신사님과 곰님의 설명에 막힌 혈이 쫙 풀리는 느낌 입니다....
    채비를 만들어 놓쿠 미흡해서 다시 해체하길 반복했읍니다..
    저도 고수님들의 채비를 컨닝해 따라해 봐야 겠읍니다...ㅋㅋ
    김포신사님 , 곰님 정말 고맙고 감사드립니다.....^*^

    all59 싸이트에 세이코26호 바늘이 한동안 입고가 안돼는데 맘만 급해지네요....ㅋㅋ
  • ?
    오케바리 2013.01.28 22:09
    세이코 26호 바늘 다른곳 파는데 아시는데 있으심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읍니다...^*^
  • ?
    곰(송재흥) 2013.01.29 08:30
    오케바리님
    이제 많은 학습이 되셨습니까?
    제가 만든 허접한 채비와 묶은반짝이바늘 견양으로 보내드렸으니 참고하시고 함 만들어보세유~~~
    눤하시는 바늘은 이곳 좌측상단에 "어부지리낚시가게"에 가시면 묶음바늘이 호수별로 총망라 되어있습니다.
    글고 반짝이하고 같이묶고싶은 알바늘과 강도높은목줄을 원하시면 032-882-0772해유~~~

  • ?
    오케바리 2013.01.29 17:08
    허접한 채비라 하시면 그럴보고 따라할려는 전 뭐가 돼겠읍니까? ㅋㅋㅋ
    아주 많은 학습 도움이 돼었읍니다..
    신세지기 싫어 사양했건만 보내셨다하니 몸둘바 모르겠네요..
    특히나 자유게시판 제목에 채비의 글을 읽으신분 중에서....( 2010, 1,11 )
    에 보면 설원님이 곰님께 채비부탁을 하지마시라고 하셨는데
    공교롭게 제가 무례를 범했네요....죄송합니다..
    견본이 오면 따라서 만들어 보겠읍니다...그 채비로 얼른 물가에 나가고 싶네요...ㅎㅎ
    글쿠 바늘 구할수 있는곳 전화로 친절하게 알려주셔서 그 또한 감사드립니다...
    항상 안출하세요.....^*^
  • ?
    오케바리 2013.01.29 17:34
    어부지리 낚시가계에서 저번에 대침석 우럭바늘과 어피바늘살때
    묶음바늘을 같이 살것을....머리 나쁘면 이렇케 고생하네요....ㅋㅋㅋ
  • ?
    곰(송재흥) 2013.01.29 18:20
    오케바리님!
    자작채비를 만드실라면 무엇보다도 압착기가 제일 중요한디,,,
    요거이 가격이 만만치 않습네다.(korea\20,000 japan\50,0000
    그래서 제가 저렴하게 만드는 요령을 알려 드릴까합니다.
    먼저 1,000냥백화점(다이소,,,등)가셔서 짱쾌제 닛퍼(大)와 원형이나삼각줄(야스리5mm)을구입하여
    닛퍼날上,下를 2mm정도 갈아주면 채비 만들때쓰이는 파이프도래가 꽈~악 물립니다.(닛퍼\3,000 줄1,000)
    제게 안쓰는 닛퍼로만든 암착기가 3개정도 여유가있는데 원하시면 어느분이든 그냥드리겠습니다.
    오케바리님 보내드린 채비는 로드의길이를 감안하여 과학적근거로 만들었습니다.ㅋ ㅋ ㅋ ㅋ
    ※대침선바늘은 별루 큰효과가 없는듯
    필히 명품을 만들어서 대박하시길 ,,,,^,.^*

  • ?
    오케바리 2013.01.30 16:51
    말씀만이라도 고맙습니다....
    자작채비 준비물은 다준비돼있는데 과학적인 수작업 채비 읍니다...ㅋㅋㅋ
    곰님이 보내주신 채비를 꼼꼼하게 살펴보고 법적(?) 으로 안걸리는 한도내에서
    모방해 만들어 보겠읍니다.....ㅎㅎㅎ
    신경 써주셔서 고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날짜 조회 수
2880 [낚시일반] 왜들 이러는 걸까요?? 8 2013.03.07 5356
2879 [조행후기] 꿈속의 6광구를 찾아 고기 대신 느낀 감정.... 30 2013.03.06 8267
2878 [기타] 예쁜 열기를 닮은 여인..(꿈은 이루어 진다) 72 file 2013.03.01 8031
2877 [장비관련] 시마노 전동릴 사용하시는 분에게 질문좀 드릴께요.. 2 2013.02.27 4965
2876 [조행후기] 열기찾아 강진 마량항으로... 21 2013.02.23 6770
2875 [조행후기] 나의 바다, 그 속 이야기(지금은 열기시대) 10 file 2013.02.22 4182
2874 [조행후기] 2월16일 여수(완도)권 열기,우럭 조행기 10 file 2013.02.17 6120
2873 [기타] 오늘이 '발렌타인데이' 그리고 우리 낚시인이 사랑받기 28 file 2013.02.14 4697
2872 [장비관련] 시마노 BM 9000 한글 사용설명서 구합니다. 2 2013.02.13 3262
2871 [조행후기] 나의 바다, 그 속 이야기(가거초 이야기) 9 file 2013.02.04 5839
2870 [조행후기] ㅋㅋㅋ또 꽝쳤습니다 굿을 해야하나요? 5 file 2013.01.29 5869
2869 [기타] 지긋지긋한멀미퇴치법좀알려주세유~~~~ 7 2013.01.28 6796
2868 마량항 얼음을 제공하여 드리지 못하였으나 이제 몸만 오십시요 6 2013.01.27 4049
» [장비관련] 서해외줄낚시장비및채비법문의 13 2013.01.27 7934
2866 [먹는이야기] 대구 오래 맛있게 먹는 방법 2 file 2013.01.24 6468
2865 [장비관련] 어느 열기대로 선택할까요? 5 2013.01.22 5418
2864 [기타] 마량항 출조선단 인사드립니다 12 2013.01.22 5148
2863 [조행후기] 마량항 기억속에서 지웁니다 13 file 2013.01.21 5727
2862 [물고기정보] 우리가 낚시로잡는 동해쪽 "대구회"를 먹어도 됩니까? 9 2013.01.19 7908
2861 [낚시일반] 가거초 속보 10 2013.01.18 6468
2860 [장비관련] 전동릴 선택 조건(전동릴 추...답변) 9 2013.01.17 8838
2859 [장비관련] 전동릴 추천해주세요... 9 2013.01.16 8305
2858 [가격정보] * 꿈의 우럭낚시 포인트 - 가거초(可居礁:Gageo Reef)에 대한 이야기 29 file 2013.01.13 11893
2857 [기타] [아름다운 바다를 만드는 사람들] 2 file 2013.01.12 3414
2856 [장비관련] 포스마스터 2000MK 출시 8 file 2013.01.07 5710
2855 [조행후기] 나의 바다, 그 속 이야기(스타트 2013) 6 file 2013.01.07 3650
2854 [조행후기] 1월5일 어청도 넘어 먼바다 우럭조황 4 file 2013.01.06 5685
2853 [조행후기] 계사년 새해 첫 출조, 강진 마량항에 왕열기 출조 조행기입니다. 44 file 2013.01.06 6795
2852 [낚시일반] 제전장갑 + PVC장갑 + 목장갑 2 file 2013.01.06 4756
2851 [장비관련] 손시려우세요? 4 2013.01.05 498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 149 Next
/ 1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