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알려주세요 배낚시

조금만 있으면 주꾸미 시작이네요.
저는 주꾸미와 광어 선상루어를 해보지 않았는데.
찾아보니 장비를 잘하면 한세트만 구매하면 될것 같습니다.
거기다 잘하면 참돔루어까지 가능할정도랄까...
근데 명확히 장비를 어떤것을 써야 한다라는 기준이 없네요.
광어 선상루어(영흥도)에 대한 정보도 많이 부족하구요.
일단은 제가 예상한 장비는
로드는 M/MH 둘중하나.
릴은 베이트릴로 1.5호 권사가 200m 내외
합사는 1.5호 정도 인데요.
제가 생각한 기준이 맞는지 모르겠습니다.
우선은 배우는 셈치고
질문1. NS  허리케인 솔트워터 762M
         릴은 NS SW100H를 생각하는게 괜찮을런지요?
         MH로 가자니 광어는 상관없을것 같은데. 주꾸미 입질파악이 잘될까?
         라는 의문도 듭니다.
질문2. 릴은 꼭 바다용으로 써야할것 같은데 NS에서 나오는 첫작품이고 해서
        어떨런지 궁금합니다.
질문3. 바다루어 초보용으로 베이트릴 10만원대 이하 제품중에 쓸만한것
         있으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낚시대+릴 해서 20만원 미만으로 해볼까 하거든요.
Comment '8'
  • ?
    감성킬러 2010.08.30 17:22
    죽조사님~ 안녕하시죠? ^^*
    주꾸미 시즌이 열리는 것 같습니다. 생활낚시의 한 장르로서 무척 반가운 소식이기도 하구요.
    허접한대로 참고만 하십시요.

    1번 항목과 2,3번 항목은 묶어도 괜찮을 것 같습니다.
    M/MH 중 아무래도 조금 더 소프한 대가 낫지 않나 하는 생각이 듭니다.
    모두다 아시다시피 주꾸미나, 갑오징어는 입질이라기 보다는 다리질(???)의 느낌 파악이죠.
    갑오징어 낚시에서 탁월한 손끝감각을 가지고 계신 몇 분은 갑오징어가 에기를 끌어 당기는 느낌까지 파악하신다고 하는데, 저는 그저 무게감이 틀린 정도로 파악하고 있습니다. 전체 채비 무게를 손끝이 기억하고 있다가 조금이라도 무거워지는 느낌이면 사정없이 챔질!!!! (이 놈의 무딘 손끝은 방법이 없네요. ㅠㅠ)
    베이트릴이 수직 지깅에 유리한 건 말할 필요가 없겠지만, 릴은 반드시 바다용이어야 합니다. 민물용을 잘 못 가지고 갔다가는 한번 낚시하고 바로 A/S를 보내야 하구요.
    N.S의 신제품은 광고로는 접했는데, 실제로 써 본 분이 계시는지는 의문이 듭니다.
    참돔은 시즌 중이니까, 참돔 타이라바를 좋아하시는 분들 중 답변을 기다려야 할 것 같습니다. 주꾸미는 이제 막 시즌 오픈이라 사용하신 분이 없을 것 같거든요.
    바낙스에서도 베이트릴 신제품이 나왔던데, 아무래도 이번 시즌은 끝나야 평가가 가능할 것 같습니다.
    두 메이커의 브랜드 신뢰도로 볼 때는 선택을 하셔도 큰 무리가 없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주꾸미 시즌에 한번 뵀으면 좋겠네요~~^^*
  • ?
    바람돌이 2010.08.30 19:07
    광어하고 쭈구미하고 참돔 하고 다 같이하려는 모양인데요..
    글쎄요 제가 생각할땐 힘들꺼 같읍니다...
    다른건 모르겟지만 참돔은 장비 차이 마니 납니다..
    타이라바 100그램에서 150그램까지 운용해야 하는데 무게 장난아니고
    합사 가격도 ㅜ.ㅠ 그 무게에 참돔의 미세한 입질을 알아야 하니
    로드도 당연히 가격 비싸지구요...
    장비 좋은분하고 안좋은분하고 당연 조과 차이 마니납니다...
    제 생각엔 쭈꾸미용으로 낚시대 ml 나 m 대 하나 장만하셔서 하시는게
    제일로 낳을듯 하네요..
    릴도 스피닝릴이나 베이트릴이나 별반 차이 없읍니다..
    오히려 손에 익지않은 베이트릴 쓰다보면 빽러쉬 나고 더 힙듭니다..
    일단은 잇는걸로 사용해보시고 꼭 필요하다면 그거에 맞게 구매하는게 젤로 낳을듯
    하네요..
    그리고 쭈꾸미 낚시는 입질 없읍니다.. 들엇다 놧다 일명 고패질 할때
    약간이라도 무거운 느낌 나면 바로 후킹 ...이거 잘하면 남들 한마리 잡을때
    2마리 3마리 잡읍니다..
    초보자는 후킹 세게하세요..

    이상 제 생각이엇구요 참조하시고 대박나세요..
  • ?
    죽조사 2010.08.30 19:23
    아. 그냥 제가 입질이라고 말을 한것이구요.
    제 본의는 그 무게감을 느끼려면 아무래도 연한대가 좋다고 생각하는데
    M대면 어떨가 해서 말씀 드린겁니다.
    참돔루어 까지는 아니고,
    주꾸미+광어선상루어 입니다.
  • ?
    둘리(이영택) 2010.08.30 19:50
    안돼는건 아니구요...
    죽조사님이 연안에서 캐스팅하실거 아니라면 대는(대가 나빠서가 아니라) 비추입니다...
    제가 경험한 바로는 바다루어대가지고 하루종일 선상에서하기엔 팔이 너무 아픔니다...
    바다 루어대와 참돔대의 그립길이가 15cm 정도 차이가 있어 참돔대는 옆구리에 파지가 가능합니다...
    선상에서 사용하실거라면 참돔대쪽으로 알아보심이 좋을듯싶습니다...
    그리고 MH는 사지마시고 M 또는 ML로 선택하시고 662의 길이면 충분할거 같습니다...
    릴의 위 모델은 바다용이네요...
    아직 구경도 못해봐서 답글달기는 좀....
    릴 역시 선상에서 사용하실거라면 기어비가 낮은쪽이 유리합니다...
    바람돌이님하고 반대되지만 전 베이트릴쪽으로 추천합니다..
  • ?
    감성킬러 2010.08.30 20:56
    아, 죽조사님께서 남해 갯바위 낚시의 풍부한 경험이 있는 걸 제가 깜빡했네요.ㅠㅠ
    눈높이를 저와 비슷한 입문자에 맞추다 보니...
    둘리님의 말씀대로 캐스팅용(연안 갯바위 루어나 농어, 삼치 등)이 아니면 선상에서는 베이트릴과 베이트릴 전용대가 단연 유리하죠.
    작년에 갑돌이 가서 베이트릴을 수장시켰더니 무지 아쉽네요.
    참고로 광어 선상에서는 블루님께서 추천하신 메탈지그를 봉돌로 대신해서 쓰는 다운샷 리그가 월등한 조과를 보이는 것 같습니다.
    내일 모레쯤 주꾸미 탐사의 기회가 있는데, 애자와 스푼(훅 제거)을 같이 달아서 조과를 시험해 보려고 합니다.
    작년엔 제법 재미를 봤거든요~~^^*
  • profile
    블루(유지영) 2010.08.31 00:44
    여러 특성이 있겠지만
    광어선상루어,쭈꾸미,참돔루어등을 소화 하려면...
    M급의 참돔로드( 6.*ft)와 바다대을 베이트 릴이 있으면 될것 같습니다.

    말씀하신 20만원도 향후 장비의 엎그레이드는 발생하겠지만 가능 할 것 같네요..
  • ?
    청산 2010.08.31 17:27
    제가 사용하고 있는 로드가 (N.S)허리케인 라바지깅-참돔루어대입니다. 여기에 베이트 릴(아부가르시아 레보인쇼어) 장착하여 참돔, 광어는 많이 잡아봤습니다. NS 허리케인 솔트워터 762M이라면 비교적 연질이면서도 허리힘이 좋을것 같은데 쭈꾸미나 갑씨도 가능할것 같습니다.무게도 쉽게 캐치할수 있는 낭창거림도 좋을것같구요.
  • ?
    죽조사 2010.09.01 00:16
    소중한 답변 감사 드립니다.
    제가 가격적인 면에서 크게 잡지 않는 이유는.
    갯바위낚시를 다니면서 생긴 경험 때문입니다.
    고기가 장비 가격에 따라 물지는 않더라구요.
    그래서 어느정도의 불편함(릴링시부드러움/무게)등의 불편함이 있을지라도
    적정선의 장비라면 크게 하자가 되지 않는다라는 생각입니다.
    오히려 그러한 장점이 늘어나는것에 비해서 더크게 늘어나는게 가격이니까요.
    여튼 "가격대비최고"를 찾는것인데. 사람마다 그 기준이 다르겠지만.
    낚시라는것을 하면 할수록 저는 그 기준이 내려가는것 같습니다.
    전동릴을 제외하면 갯바위낚시나 선상낚시에서
    장비는 개당 10만원대면 충분하다 라는것 제생각입니다.
    고기를 잡고 못잡고는 그사람 실력과 운이 좌우를 하는거니까요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날짜 조회 수
2218 [장비관련] 시마노 전동릴 후카세 쓰시는분 문의드립니다 7 2010.09.15 7205
2217 [낚시일반] 쭈꾸미 채비 만드는 방법 아시는분 7 2010.09.14 12471
2216 [장비관련] 갈치 낚시 팁 17 2010.09.14 12682
2215 [장비관련] 갈치대 문의 2 2010.09.13 6809
2214 [낚시일반] 고등어 낚시에 대해서 3 2010.09.11 5944
2213 [장비관련] 전동릴 줄 쉽게 감고 푸는 방법 - II 12 file 2010.09.11 7093
2212 [기타] 전동릴 줄 쉽게 푸는 방법. 6 file 2010.09.10 8454
2211 [낚시일반] 갈치사냥 in 제주 35 file 2010.09.10 7521
2210 [기타] 시마노 3000번에 나일론 줄 감아보신분? 3 2010.09.09 5270
2209 [장비관련] 다이와 장구통(TANA SENSOR GS-60)수심 카운터.... 2010.09.09 5151
2208 [장비관련] 시마노 전동환 3000H 관련 문의 7 2010.09.09 4881
2207 [장비관련] 고수님들 긴급요 다이와 500mt 2 2010.09.09 4343
2206 [낚시일반] 갈치질문 한가지더 드립니다 6 2010.09.08 6918
2205 [낚시일반] 갑오징어 선상낚시에 집어등 사용 어떨까요? 9 2010.09.07 9765
2204 [먹는이야기] 만세기 먹는법 4 2010.09.06 19021
2203 [장비관련] 전동릴 정전압 레귤레이터 문의입니다 6 2010.09.06 7072
2202 [낚시일반] 갈치낚시 채비 질문 3 2010.09.06 8306
2201 [조행후기] 완도 해*호 갈치 다녀 왓습니다. 9 file 2010.09.06 6241
2200 [장비관련] 우럭대로 갈치를?? 5 2010.09.06 7555
2199 [지역정보] 고등어 낚시터 감포에 난리... 4 2010.09.04 5753
2198 [기타어종낚시] 고등어낚시 3 2010.09.01 6764
2197 [조행후기] [이상복 월간바다낚시 편집위원] 포항 - 열기배낚시 8 2010.09.01 5753
2196 [낚시일반] 장대비 속에 침선을 타다 29 file 2010.09.01 5934
2195 [장비관련] 쭈꾸미낚시대에 대하여 2 2010.08.31 7469
» [장비관련] 주꾸미와 광어 선상 루어 낚시 장비 문의 8 2010.08.30 8727
2193 [출조문의/개인조황공유] 제주 갈치낚시 11 2010.08.29 12283
2192 [장비관련] 갈치대 추천해주세요~ 5 2010.08.27 8265
2191 [낚시일반] 고등어 낚시에 대하여.... 4 2010.08.18 7141
2190 [장비관련] 초보자용 선상용 베이트릴 추천 부탁드립니다. 3 2010.08.25 9830
2189 [조행후기] 왕초짜 [타조] - 초딩이 지깅을...^.^;; 19 file 2010.08.25 614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 149 Next
/ 1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