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알려주세요 배낚시

[낚시일반]
2013.08.30 16:49

우럭바늘....

조회 수 7109 댓글 4
우럭바늘에 어피 (닭털. 빤작이)달린 것이 우럭조황에 영향이 있나여....

고수님들의 지도부탁드립니다....^^~
Comment '4'
  • profile
    감성킬러 2013.08.30 17:13
    고수는 아니라서 참고가 되실지 모르겠습니다.
    우럭 바늘에 다는 어피는 플러스 알파(+α)의 효과라고 생각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안달아도 상관없지만, 달면 뭔가 달라질 수도 있다는 정도랄까요?

    제 개인적으로 반짝이 바늘은 그 색깔보다, 오히려 물속에서 일으키는 파장에 더 의미가 있다고 보고 있습니다.
    수심 25m가 넘으면 빛의 투과가 이루어지지 않아 모든 색은 그저 검은 그림자처럼 식별될 수밖에 없기 때문입니다.

    반짝이 바늘을 비롯해 여러가지로 실험을 해 본 적이 있었는데, 축광 튜브를 바늘에 끼는 것도 활성도가 좋을 때는 도움이 되지만, 입질이 까다로울 때는 오히려 경계의 대상이 되는 것처럼 느껴졌습니다.
    옆에서는 맨바늘로 우럭을 잘도 뽑아내는데, 축광 튜브를 단 제 미끼는 건드리다 마는 느낌이랄까요?

    낚시에 정답은 없지만, 좀 더 재미있는 낚시를 즐기기 위한 다양한 시도는 나쁘지 않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우럭을 잘잡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우럭이 있는 유영층을 잘찾는 게 최선이라고 생각하고 있긴 합니다만....^^*
  • ?
    휴먼 2013.09.03 00:21
    사용해서 나쁠것도 없지만 구지 꼭 사용할 필요가 있을까요... 닭 털,반짝이 비용도 비싸고 한가지 주의 할 점은

    물을 많이 탄다는 것 입니다. 물심 없는 날도 장소에 따라 포인트에 따라 옆 사람 채비 보다 물을 많이 탑니다.

    결과적으로 옆 사람과 채비 엉킴이 평시 보다 많을 수도 있읍니다...
  • profile
    감성킬러 2013.09.03 08:10
    휴먼님께서 물을 타는 정도가 맨바늘보다 많을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하셨습니다만, 제 생각은 다릅니다.
    우선 바늘에 부착된 반짝이와 닭털 등의 부피와 무게가 '별 것' 아니기 때문인데, 실제로 맨바늘과 반짝이 바늘이 혼용되고 있는 배 위에서 바늘로 인한 채비 엉킴은 거의 느끼지 못했습니다.

    채비 엉킴은 주로 낚시 방법이 잘못 되었을 때나 규격이 다른 봉돌을 사용했을 때 심하게 일어나는데,
    남들은 오징어채나 미꾸라지, 웜 등을 쓰는데, 큰 우럭을 잡는답시고 혼자만 뎁따 큰 오징어 내장을 쓸 경우,
    또는 남들은 모두 100호 봉돌을 쓰는데, 100호 봉돌이 없다는 이유로 80호나 120호를 쓸 경우,
    또는 줄을 풀어선 안되는 타이밍(포인트에 맞추기 위해 배를 빠르게 움직일 때)에 줄을 풀 경우,
    배가 움직이든 말든 하염없이 봉돌을 바닥에 두고 있을 경우,
    밑걸림이 생겼을 때 신속하게 끊어내지 못하고 시간을 지체했을 경우,
    한 마리를 걸어 놓고 쌍걸이를 노린다고 시간을 끌 경우 등이 있습니다.

    휴먼님의 예리한 레이다에 바늘의 종류가 달라 채비 엉킴이 생기는 경우가 걸렸는지 모르겠지만, 이런 사례를 모아 보는 것도 재미있겠네요.^^*
  • profile
    이어도(강인병) 2013.09.06 09:58
    반짝이 바늘이 유용하냐 필요없냐의 논쟁은
    어떤 것이 옳다 라고 말하기 보다는 어떤 상황이냐에 따라 유효한지 말지가 결정된다고 봅니다.
    우선 반짝이 바늘이 필요하냐 여부는 ..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써서 나쁠 것은 없으나, 상황에 따라서는 필요 없다" 아닐까요.
    반짝이 바늘 안써도 활성도가 좋을때는 아무 바늘에 다 반응을 합니다..
    만약, 반짝이 바늘과 그냥 바늘이 있다면 어떤 것에 반응이 올까요..
    저는
    미끼의 종류와 크기 형태가 더 중요하고..얼마나 대상어종의 근처에 위치 하느냐가 더 중요하다고 봅니다.
    그러나, 대상어종에 따라서는 확실히 반짝이라는 것은 흥미를 끌고 관심을 주는 것은 확실합니다.
    예를 들어 열기의 경우는 매우 반짝이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을 볼 수 가 있은데요..
    휴먼 님이나 감성킬러님 말씀은 누구하나도 맞거나 틀린 것이 없다고 보시면 어떨까요??..^.^;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날짜 조회 수
3030 [먹는이야기] 주꾸미 맛있게하는 볶음요리 9 2013.09.14 5212
3029 [기타] 바다 예상 강수량 볼 수 있는 곳이 있나요? 1 2013.09.13 3249
3028 [낚시일반] 칼치회 및 꽁치미끼칼? 5 2013.09.13 10709
3027 [물고기정보] 쭈 갑이가 대풍을 이루는이유? 18 2013.09.11 6534
3026 [지역정보] 인천~서천(홍원항)셔틀버스 1 2013.09.10 4418
3025 [낚시일반] 낚시갈까요.(자유게시판 이동 - 어부지리) secret 2013.09.10 826
3024 [먹는이야기] 만세기 맛있게 먹는법 좀 알려주세요? 6 2013.09.09 20317
3023 [장비관련] 갈치낙시대 1 2013.09.03 6959
3022 [알림] 바다님 연락주시기바랍니다(자유게시판으로 옮겼습니다 - 어부지리) secret 2013.09.02 1050
3021 [낚시일반] 쭈구미포획금지 사이즈 알려주세요? 7 2013.08.31 6877
» [낚시일반] 우럭바늘.... 4 2013.08.30 7109
3019 [기타] 푸른 저 바다로 뛰어들자!~ 그리고 지친 나를 일으켜 세우자!! 35 file 2013.08.29 6412
3018 [낚시일반] 전 개인적으로 갈치낚시 대박이라함은 ? 어부지리 회원 낚시질 하지 않으셨으면 ?? 5 2013.08.29 6375
3017 [출조문의/개인조황공유] 주꾸미 출조 어디가 좋아요? 4 2013.08.29 4644
3016 [낚시일반] 삶은경심 파는데 없나요? 5 2013.08.28 4338
3015 [낚시일반] 경심줄 사용시 부드럽게 하는방법좀 알려주세요^^ 11 2013.08.26 15701
3014 [장비관련] 갈치낙시대 9 2013.08.23 9212
3013 [낚시일반] 50kg급 청새치를 낚다. 그리고 아름다운 백도의 만양(晩陽)이야기 55 file 2013.08.19 12265
3012 [기타] 냉동꽁치 살수있는곳 아시는분 10 2013.08.18 5793
3011 [장비관련] 갈치낚시에서 밧데리 지참소견 file 2013.08.18 5852
3010 [장비관련] 전동릴 소개해주세요. 6 2013.08.18 5340
3009 [지역정보] 배낚시 문의드립니다 6 2013.08.16 4091
3008 [장비관련] 돌돔대개조 2 2013.08.15 5572
3007 받데리의 비교점과 성능에대하여 11 2013.08.13 4647
3006 [장비관련] 전동릴의 고장 유무 10 2013.08.10 5827
3005 [장비관련] 전동릴의 수심채크에서 이두가지 4 2013.08.08 7626
3004 [낚시일반] 갈치바늘 10 2013.08.08 10717
3003 [조행후기] 현재 여수권 갈치밭을 다녀온 8월의 생생 갈치낚시 정보요약 조행기 36 file 2013.08.07 10628
3002 [장비관련] 갈치낚시대 손잡이(그립 ?) 늘이는 방법문의 (다이와 딥죤 낚시대의 단점 개선) 14 2013.08.07 9753
3001 [낚시일반] 갈치낚시에 관한 경험정리1 (좌측 banax코너로 이동했습니다.) 15 2013.08.06 900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 149 Next
/ 149